• Title/Summary/Keyword: 소유역 구분

Search Result 138,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Runoff of an Small Urban Area Using DEM Accuracy Analysis (DEM의 정확도 분석에 의한 도시 소유역의 유출해석)

  • Park, Jin-Hyung;Lee, Kwan-Soo;Lee, Sam-No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7 no.1
    • /
    • pp.28-38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urban hydrologic state by the use of GIS, resolution and interpolation. The determination coefficient($R^2$) and Regression Formula were derived from the contour of digital map for the accuracy, and DEM data was made by using TIN interpolation by the size of the grid. By using the observed DEM data, topographical factors were extracted from the small basin, size, the width of a basin and the slope, and were applied in the urban runoff model. Through the model, we tried to find out the most suitable runoff model in a small basin of Yosu-Munsu area. As a result of applying models to the drainage considered, the runoff hydrograph estimated by SWMM model was closer to the observed one than that estimated by ILLUDAS model. The difference between the runoff hydrograph by SWMM and the observed one is maximum error of 19%, minimum error of 5% and average error of 13%. The influence of duration in contrast to pick time is insignificant in a urban small basin. As a conclusion of this study, SWMM model was more suitable and applicable for the urban runoff model than ILLUDAS model due to its accuracy and various abilities.

  • PDF

Analysis of Water Cycle at Main Streams in Ulsan Using CAT Model (CAT 모형을 이용한 울산지역 주요 하천유역의 물순환 분석)

  • Lee, Sang Hyeon;Cho, Hong Je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7 no.1
    • /
    • pp.1-10
    • /
    • 2014
  • This study aimed to analyze water cycle at Taehwa river, Dongcheon, Hoiya river and Cheongryang cheon in Ulsan city using CAT model developed by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 To apply CAT model, we separated Teahwa river into 25, Dongcheon into 11, Hoiya river into 17 and Cheongryangcheon into 5 subbasins and discriminated between contribution runoff basins and source basins. The results of water cycle analysis performed using rainfall datas measured from 1975 and 2008 and hydrologic datas of change of land use etc. were that surface runoff increase and interflow decrease, caused by the increase of impervious area. The increases of surface runoff at the basin of Taehwa river and Dongcheon which is a tributary of Taehwa river were small and similar to each other respectively as 1.7% and 2.4%, and increased high rate of 3.2% and 7.7% in Hoiya river and Cheongryangcheon including subbasins which are having high rate of urbanization.

제13차 ICSMFE Special Lecture

  • 홍원표
    • Geotechnical Engineering
    • /
    • v.10 no.2
    • /
    • pp.225-266
    • /
    • 1994
  • 지반의 자연적인 위험성과 인위적인 위험성의 구분은 명확하지 않다. 엄밀히 말하면 인간과 인간의 소유물 및 그들의 행동이 내포되지 않는 위험은 없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자연적인 위험과 인위적인 위험을 분리구분하지 않는 좀 더 광범위한 정의를 적용하였다. 이탈리아 남부지방을 중심으로 발생된 여러경우의 산사태와 침하에 대하여 재검토 하였으며 위험성 평가방법과 위험성 경감방법에 대하여 토의 하였다. 효과적인 위험성 경감방법은 기술문제를 전체로 보아 통함시키고 균형있게 하는 접근방법에 근거를 두어야만 하며 기술자들은 기술적인 역할 이외에 문제의 전체적인 본질을 인지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한다. 위험성 경감활동의 실제성과는 지반위험성 분야에서 이루어진 과학적인 진보의 결과가 아니라 어려운 상황에 처해있는 국가들에서 활동하고 있는 사람들(기술자, 결정권자)의 인지와 대응으로 부터 얻어진 성공의 결과이다.

  • PDF

Managerial Share Ownership and Capital Structure: Evidence from Panel Data (소유경영자지분율과 자본구조: 외환위기 이후기간 패널자료분석)

  • Kim, Byoung-Gon;Kim, Dong-Wook
    • 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Management
    • /
    • v.24 no.2
    • /
    • pp.81-111
    • /
    • 2007
  • The agency relationship between managers and shareholders has the potential to influence decision-making in the firm which in turn potentially impacts on firm characteristics such as value and leverage. Using an agency framework, we examine the relation between ownership structure and capital structure during post-IMF period. We used the balanced panel data for 378 korean listed companies during the 1999-2005. The panel data sets consist of time-series observation on each of 378 cross-sectional units. The results indicate a non-linear U-shaped relation between the level of managerial share ownership and leverage with the relation reaching a minimum at 58.48 per cent of management share ownership. As managerial share ownership increase from a low level, managers have incentive to reduce the debt level for decreasing the financial risk, resulting in a lower lever of debt. However, when corporate managers hold a significant proportion of a firm's shares, managers have incentive to increase the debt level for leverage effects, resulting in a higher lever of debt.

  • PDF

The Developmet and Application of GIS-Based Geomorpho-Hydrological Watershed Model (G2WMS) (GIS기반 지형수문유역모의 모형의 개발 및 적용 연구)

  • Kim, Hong-Tae;Shin, Hyun-Su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 /
    • v.9 no.1
    • /
    • pp.123-133
    • /
    • 2009
  • In this study, we developed the GIS-based Geomorpho-hydrological Watershed Modeling System($G^{2}WMS$) which could consider both nonlilear rainfall-runoff relationship based on Geomorpho-Climatic Unit Hydrograph(GCUH) as well as watershed system inducing river routing. The developed new model was calibrated at the gaged rainfall events at natural watersheds and previewed to apply at the ungaged mountain basins, such as Sulma basin for small mountain basin and Andong-Dam basin for large scale basin, compared single with partitioned basin in the observed unit hydrographs and rainfall-discharge events. Finally, at the large scale Andong dam basin, we concluded that partitioned basin cases which including th nonlinear GCUH and river routing methods were superior to single basins which including the traditional methods in rainfall-discharge simulation at the mountain basins.

Variations of Runoff Quantity and Quality to Landuse Changes in the Hakuicheon Watershed (학의천 유역의 토지이용변화에 대한 유출량 및 수질의 변화)

  • Lee Kil Seong;Chung Eun-Sung;Park Sun-Bae;Jin Lak-S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5.05b
    • /
    • pp.664-668
    • /
    • 2005
  • 근래 지속적으로 진행된 도시화 및 산업화로 인하여 이전보다 불투수 지역이 많이 증가하였고 도심지역에는 대부분 하수관거가 매설되어 있는 등 물순환이 과거에 비해 현저하게 왜곡되어 있다. 이를 올바르게 바로잡기 위해서는 과거와 현재의 수문학적 상태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우선적으로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안양천 유역의 지류인 학의천을 대상유역으로 선정하고 유출 수량 및 오염물질 발생량을 PCSWMM(Storm Water Management Model)과 PLOAD(Pollutant Loading)를 이용하여 모의하였다. PCSWMM은 하수관거를 포함하여 연속유출모의를 수행할 수 있으며 PLOAD는 GIS를 기반으로 하는 Screening 모형으로 토지이용별 원단위를 이용하여 소유역에서 발생하는 오염량을 추정할 수 있다. 기준년도 2002년에 대해 모든 조건은 동일한 상태에서 토지이용만 1975년, 2000년, 2016년으로 변화시켜 모의를 수행하였다. 1975년, 2000년, 2016년의 불투수 면적비는 각각 $2.6\%,\;22.8\%,\;24.1\%$이며 침투량은 1975년의 $23\%$에서 2000년과 2016년에 각각 $17.9\%와\;17.6\%$로 감소하였고, 이로 인해 지표유출량은 1975년의 $48.1\%$보다 2000년과 2016년에 각각 $55.0\%,\;55.4\%$로 증가하였다. 또한 오염물질이 유역에서 발생하여 하천으로 전달되는 유달량은 유역전체로 보면 1975년 보다 2000년에 BOD는 4.0배, COD는 3.3배, SS는 2.7배, TN은 1.3배, TP는 1.6배 증가하였다. 이러한 모의 결과는 학의천 유역에 대해 소유역별로 발생하는 연도별 유출량 및 오염물질 유달량을 정량적으로 제시하므로 유역관리방안을 도출하는데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최대화하기 위한 환경관리 방안 제시에 중점을 두어 수행하였다.ncy), 환경성(environmental feasibility) 등을 정성적으로(qualitatively) 파악하여 실현가능한 대안을 선정하였다. 이렇게 선정된 대안들은 중유역별로 검토하여 효과가 있을 것으로 판단되는 대안들을 제시하는 예비타당성(Prefeasibility) 계획을 수립하였다. 이렇게 제시된 계획은 향후 과학적인 분석(세부평가방법)을 통해 대안을 평가하고 구체적인 타당성(feasibility) 계획을 수립하는데 토대가 될 것이다.{0.11R(mm)}(r^2=0.69)$로 나타났다. 이는 토양의 투수특성에 따라 강우량 증가에 비례하여 점증하는 침투수와 구분되는 현상이었다. 경사와 토양이 같은 조건에서 나지의 경우 역시 $Ro_{B10}(mm)=20.3e^{0.08R(mm)(r^2=0.84)$로 지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유거수량은 토성별로 양토를 1.0으로 기준할 때 사양토가 0.86으로 가장 작았고, 식양토 1.09, 식토 1.15로 평가되어 침투수에 비해 토성별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이는 토성이 세립질일 수록 유거수의 저항이 작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경사에 따라서는 경사도가 증가할수록 증가하였으며 $10\% 경사일 때를 기준으로 $Ro(mm)=Ro_{10}{\times}0.797{\times}e^{-0.021s(\%)}$로 나타났다.천성 승모판 폐쇄 부전등을 초래하는 심각한 선천성 심질환이다. 그러나 진단 즉시 직접 좌관상동맥-대동맥 이식술로 수술적 교정을 해줌으로써 좋은 성적을 기대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특히 교사들이 중요하게 인식하는 해방적 행동에 대한 목표를 강조하여 적용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교하여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또한 HSP 환자군에서도 $IL1RN^{*}2$ a

  • PDF

Future hydrological changes in Jeju Island based on AR6 climate change scenarios (AR6 기후변화 시나리오 기반 제주도의 미래 수문 변화 전망)

  • Chul-Gyum Kim;Jaepil Cho;Jeong Eun Lee;Sun Woo Ch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293-293
    • /
    • 2023
  • 2022년 발간된 IPCC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6차 평가보고서(AR6)에서는 미래 사회경제변화를 기준으로 기후변화에 대한 미래의 완화와 적응 노력에 따라 5개의 시나리오로 구분된 SSP (Shared Socioeconomic Pathways, 공통사회경제경로)를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제주도 지역을 대상으로 SSP 시나리오에 따른 미래 수문학적 변화를 분석하였다. 제주도 지역의 독특한 기후 및 지질학적 특성, 간헐적 하천유출 특성 등을 모의할 수 있는 유역모델링(SWAT)을 기반으로, 미래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수문 변화를 분석하였다. 기후모형에 따른 미래 전망의 불확실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SSP 시나리오 4종(SSP1-2.6, SSP2-4.5, SSP3-7.0, SSP5-8.5)에 대해 18개의 Global Climate Models (GCMs)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또한 지역별 공간적 특성을 충분히 반영하기 위해 하천구간과 고도 특성을 고려하여 총 299개 소유역으로 구분하여 모델링을 수행하였다. 각 GCM 및 SSP 시나리오별 산출된 유역모델링 모의자료를 기반으로 과거 historical 기간(1981~2010년)과 미래기간(2011~2100년)으로 구분하여 강수량, 유출량, 증발산량, 함양량 등에 대한 시공간적 변화를 분석하였다. 대체로 모든 GCM 및 모든 SSP 시나리오에서 미래기간으로 갈수록 강수량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북부지역(제주시)보다는 남부지역(서귀포시)의 증가량이 많으며, SSP5-8.5 시나리오에서 상대적으로 변동폭이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기준증발산량 또한 기온의 증가에 따라 미래로 갈수록 기준증발산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전망되었으며, SSP5-8.5 시나리오에서 가장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준증발산량의 절대값은 북부지역에서 더 크게 나타나며, SSP5-8.5에서 가장 큰 것으로 전망되었다. 과거기간 대비 변화율은 SSP5-8.5에서 가장 크게 증가하며, 최소 10% 이상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었다.

  • PDF

Temporal and Spatial Variation of Stable Isotopic Compositions of Surface Water and Ground Water in a Small Catchment, Muju, Korea (무주지역 소유역내 지표수와 지하수의 안정동위원소 조성의 시공간적 변화)

  • 한원식;우남칠;이광식;이기철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 /
    • v.36 no.5
    • /
    • pp.329-338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temporal and spatial variation of stable isotopic compositions of surface waters and shallow ground waters at a local watershed(100$Km^2$) near the Muju area. For oxygen and hydrogen isotope analysis, water samples were collected from 19-22 sites during August, October 2001, through April 2002. Seasonal variation in the isotopic compositions of surface waters was clearly shown. However, the degree of such isotopic variation was highly attenuated in shallow ground waters because of mixing with preexisting ground waters. Isotope values of surface waters and ground waters were very similar in each season, indicating that precipitation/ground water/surface water interactions were very active and continuous in the watershed. Stable isotopic ratios of surface waters in the study area were lighter than those of the downstream reach of Geum River on south, indicating “latitude effect”. Both “altitude effect” and “amount effect” were also shown in the stable isotopic ratios of surface waters in the study area as well as seasonal variation of stable isotopes.

Development of Grid-Based Distributed Runoff Model in Urban Area (격자기반 도시유역 분포형 유출모형의 개발)

  • Ryu, Hee-Sang;Kim, Mun-Mo;An, Won-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759-763
    • /
    • 2010
  • 본 연구는 격자기반의 지표면 유출 및 도시 유역 우수관거 유출해석모형으로서 유역을 관거 유입구를 기준으로 다수의 소유역들로 구분하고 각 소유역내 지표면 흐름을 비선형저류방정식으로 표현하여 유출량을 산정하는 방법 및 유역을 일정한 크기의 격자로 분할한 상태에서 각 격자의 유입 유출을 계산함으로써 주어진 시간 간격별로 유역 전체에 대한 물수지를 파악하는 격자 물수지식을 이용하는 방법을 결합하여 도시유역의 지표면 유출량을 산정하기 위한 격자기반의 분포형 지표면 유출해석 모형을 개발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하였다. 즉, 본 연구에서 개발한 유출모형은 지표면 유출의 메카니즘을 비선형저류방정식으로 표현한다는 점에서 SWMM의 방법을, 격자기반으로 유출량을 계산 추적한다는 것이다. 또한 도시지역의 침수형태 및 원인을 파악함과 동시에 기존의 도시유출 해석모형을 일부 수정 및 보완하여 집중호우발생시의 지표이동류 흐름, 폐합형 우수관거, 하류부의 배수영향 등을 고려한 우수관거 유출모델을 개발하였다. 본 모형을 이용하여 가상 및 실제 유역에 대한 유출모의를 수행함으로써 모형의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격자기반 도시유출해석모형은 대상유역을 일정한 크기의 격자로 구성하고 개개의 격자마다 유출해석을 위한 지형정보와 수문정보를 입력하여 격자별 유출량을 계산 추적함으로써 유역의 임의의 위치에서의 유출량, 유출심의 시간적 변화와 공간적인 분포를 모의할 수 있다. 가상 및 실제 유역에 대한 유출해석을 통하여 본 연구에서 개발한 모형은 이동강우나 국지적인 집중호우 등 시공간적으로 변하는 수문 특성을 반영할 수 있고, 폐합형 우수관망 해석 및 하류부 배수효과를 검토하여 도시유역의 홍수방재관리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 Study on the Effects of Migration History on Tenure Choice : Focusing on the Determinants and Relationship between Migration Typology and Housing Choice (이주 유형이 자가소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결정요인과 이동유형 별 주거선택과의 연계성을 중심으로)

  • Chun, Jin-Hong;Lee, Seong-Woo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13 no.6
    • /
    • pp.651-673
    • /
    • 2007
  • In the studies on residential move, there has been tendency of dichotomy where short distance moves are largely caused by housing to adjust to changes in households while long distance moves are induced by shift in labor market. However, some empirical studies have proven that residential move is so complex process that the simple dichotomy should be elaborated. In this sense, the present study seeks to identify compounded course of residential move in Korea. In determining migration history, families with younger householders, renters, householders with higher educational attainment and smaller households show a higher probability to move. In case of mobility, women were more prone to move compared to man. Women compared to man, older age augmented the probability to own a house after migration. Families with householders following an occupation of sales and technical service showed lowest tendency to own houses while it marked the highest in the group of professionals. Higher land price of a region was negatively related to owning houses after migration. The present study revealed that factors in macro level as well as micro level significantly affect the move of individuals with varying effects in accordance with migration histor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