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소유물

검색결과 296건 처리시간 0.028초

소유역 지표유출의 공간적 해석을 위한 지리정보시스템의 응용모형(I) -격자 물수지 모형의 개발 및 적용- (GIS Application Model for Spatial Simulation of Surface Runoff from a Small Watershed(I))

  • 김대식;정하우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37권3_4호
    • /
    • pp.23-33
    • /
    • 1995
  • Geographic data which are difficult to handle by the characteristics of spatial variation and variety turned into a possibility to analyze with tlie computer-aided digital map and the use of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GI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apply a GIS application model (GISCELWAB) for the spatial simulation of surface runoff from a small watershed. This paper discribes the modeling procedure and the applicability of the cell water balance model (CELWAB) which calculates the water balance of a cell and simulates surface runoff of watershed simultaneously by the interaction of cells. The cell water balance model was developed to simulate the temporal and spatial storage depth and surface runoff of a watershed. The CELWAB model was constituted by Inflow-Outflow Calculator (JOC) which was developed to connect cell-to-cell transport mechanism automatically in this study. The CELWAB model requests detail data for each component of a cell hydrologic process. In this study, therefore, BANWOL watershed which have available field data was selected, and sensitivity for several model parameters was analyzed. The simulated results of surface runoff agreed well with the observed data for the rising phase of hydrograph except the recession phase. Each mean of relative errors for peak discharge and peak time was 0.21% and2.1 1% respectively. In sensitivity analysis of CELWAB , antecedent soil moisture condition(AMC) affected most largely the model.

  • PDF

도시소유역의 유출해석을 위한 수문모형의 개발과 응용 - Development and Applications of Hydrologic Model of Strom Sewer runoff at Small Urban Area

  • 이영대;박승우
    • 물과 미래
    • /
    • 제23권3호
    • /
    • pp.329-340
    • /
    • 1990
  • 도시화한 소유역에서 배수조직의 물리적 특성 변화에 의한 유출현상과 침수상황을 정성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도시유역에서의 유출해석모형(URAM)을 개발하여 시험유역에서의 실측치와 본 모형을 이용한 모의발생치를 비교하여 모형을 검증한 후 실유역에 적용하여 응용성을 평가하였다. URAM을 이용 시험유역의 유출현상을 모의발생한 결과 실측치와 잘 일치함을 보여 주었으며, 또한 상습침수지역에 대하여 침수현상을 모의발생시킨 결과 계산된 침수특성은 실제 현황과 정성적으로 잘 일치하여 본 모형은 도시소유역 유출해석에 이용가치가 높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유기벼 재배 기본규약의 기준 (Guideline for Basic Standard for Organic Rice Cultivation)

  • 정진영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1-7
    • /
    • 2002
  • CODEX의 유기농업기준에 대하여 기본적으로는 공감하고 있으나, 아시아적 기후의 특성과 농가당 소유면적이 유럽이나 미주$\cdot$오세아니아 지역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너무 협소한 점을 감안하여 아시아의 유기벼 재배농가들에게 과중한 부담을 주지 않을 수 있는 선에서의 유연성을 부여해야 할 것이다. 윤작이나 휴경의 경우, 지역에 따라 벼-딸기 등의 과채류-벼-토마토 등 과채류-벼 행태나, 병-보리 또는 호밀 등의 사료 또는 녹비작물-벼-자운영 등의 사료 또는 녹비작물-벼 행태의 윤작 또는 녹비작물 재배형태의 윤작 또한 유기재배로 인정해야 할 것이다. 완충지배 역시, 일정거리 보다는 경계선상에 주작물보다 상당히 키가 큰 다른 식용이나 녹비용 작물을 재배하면서 이웃 관행농장으로부터의 영농화학물질의 비산을 막아줄 수 있는 조처만으로도 유기재배 인증획득이 가능토록 해야 할 것이다. 제체작업 또한 오리를 이용할 경우, 기본적인 제초효과는 물론 해충포식이 이루어지며, 배설물에 의한 자연적인 시비가 원활히 이루어지게 볏대를 튼튼하게 자극시켜주며, 고랑사이의 공기유통 촉진과 흙탕물에 의한 잡초 발아억제 효과 등 다양한 부대효과를 올리 수 있게 된다. 왕우렁이 제초법 또한 논의 건조와 백로 등 조류의 접근만 차단해 주면 완벽한 제초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불시 경운에 의한 제초법도 유기농업 실천에 크게 기여할 수 있는 최선의 방안으로 활용되고 있는 중이다.

  • PDF

기후변화를 고려한 생태하천 복원 및 관리방향에 관한 연구 (Eco-river Restoration and River Management in Response to Climate Change)

  • 강형식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4권1호
    • /
    • pp.155-165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 유역을 대상으로 물리, 화학, 생물학적의 복합적인 평가요소를 이용하여 수생태 관련 기후변화 취약구간을 선정하였다. 먼저 SWAT 모형을 이용하여 A1B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라 각 소유역별로 유출량, 유사량, 갈수량 변화를 모의하였다. 또한 환경부의 수질 측정망과 수생태 건강성 측정 지점이 서로 일치하는 48개 지점을 대상으로, BOD 및 TP 등의 수질 데이터와 IBI, KSI의 수생물 데이터를 평가에 반영하였다. 한편, 미래 기온 상승에 따른 낙동강 유역 하천에서의 수온 상승 폭을 예측하였고, 이로 인한 수생물 서식처 영향을 분석하여 평가에 반영하였다. 각 평가요소를 종합하여 가장 취약한 상위 10개 지점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하천 생태복원을 위한 취약구간 평가 및 종합적인 평가 결과를 토대로 각 하천 특성에 맞는 하천 관리 계획을 수립하는데 있어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韓國 河川의 日 流出量 模型 (Daily Streamflow Model for the Korean Watersheds)

  • 김태철;박승기;안병기
    • 물과 미래
    • /
    • 제29권5호
    • /
    • pp.223-233
    • /
    • 1996
  • 우리나라의 강수와 유역특성을 고려하여 일강우량과 증발량의 입력자료로 일유출량을 모의발생할 수 있는 "한국 하천의 일 유출량 모형(DAWAST)"을 개발하였다. 이 모형은 개념화 모형을 기본모형으로 최적화모형, 일반화모형 및 수계화모형 등 3개의 부모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기본모형은 유역을 지표면, 불포화층과 포화층의 3개 저수층으로 단순화하고 각 저수층에서 일단위로 물수지를 분석하였다. 최적화모형은 관측유출자료가 있는 유역에서 최적화기법으로 매개변수를 보정하여 적용하고, 일반화모형은 유역특성인자로부터 매개변수를 예측하여 미계측 중, 소유역에 적용하고, 수계화모형은 유역특성인자 조사가 없거나 어려운 지점에서 최적화기법으로 분석된 수문지점의 매개변수를 전용하여 미계측 대유역에 적용하여 일유출량을 추정한다.유출량을 추정한다.

  • PDF

지하수 과잉양수에 따른 미세 지반변형 지역에서의 전기비저항 탐사 (Electrical Resistivity Survey at the Ground with Micro-subsidence by Excessive Pumping of Groundwater)

  • 송성호;이규상;용환호;김진호
    • 지구물리와물리탐사
    • /
    • 제7권3호
    • /
    • pp.197-206
    • /
    • 2004
  • 지하수 과잉양수에 의해 충적층 지반의 미세한 변위가 나타나는 경우는 대상지역 소유역내의 물수지 불균형이 주요한 원인으로, 이러한 미세변위를 효과적으로 계측하기 위해서는 대상지역내 지반의 대표적인 지점들에서 물수지 측정과 연계된 침하량의 장기 모니터링 방법이 효율적이다. 이 연구에서는 롬층과 모래층으로 구성된 지반에 대하여 시추조사를 이용한 3차원 토양단면도를 작성한 후, 2차원 전기비저항 탐사로부터 얻어진 수리지질구조를 이용하여 개념모델을 구성하였다. 이러한 개념모델과 다양한 수리지질조사 결과를 기초로 지하수 유동모델링과 지반침하 모델링을 수행하여 개념모델의 정확성을 검증한 결과, 롬층과 모래층으로 구성된 지반에서 미세 지반변형과 연관된 수리지질 구조를 해석하는 경우에는 hand auger를 이용한 시추조사와 전극간격을 짧게 한 2차원 전기비저항 탐사법을 함께 적용하는 것이 유용함을 확인하였다.

남강댐 상류 3개 소유역의 유출량 추정을 위한 HSPF 모형의 적용성 평가 (Evaluation of HSPF Model Applicability for Runoff Estimation of 3 Sub-watershed in Namgang Dam Watershed)

  • 김소래;김상민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328-338
    • /
    • 2018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applicability of a HSPF (Hydrological Simulation Program-Fortran) model for runoff estimation in the Namgang dam watershed. Spatial data, such as watershed, stream, land use, and a digital elevation map, were used as input for the HSPF model, which was calibrated and validated using observed runoff data from 2004 to 2015 for three stations (Sancheong, Shinan, Changchon) in the study watershed. Parameters for runoff calibration were selected based on the user's manual and references, and parameter calibration was done by trial and error. The $R^2$ (determination coefficient), RMSE (root-mean-square error), NSE (Nash-Sutcliffe efficiency coefficient), and RMAE (relative mean absolute error) were used to evaluate the model's performance. Calibration and validation results showed that annual mean runoff was within a ${\pm}5%$ error in Sancheong and Shinan, whereas there was a14% error in Changchon. The model performance criteria for calibration and validation showed that $R^2$ ranged from 0.80 to 0.92, RMSE was 2.33 to 2.39 mm/day, NSE was 0.71 to 0.85, and RMAE was 0.37 to 0.57 mm/day for daily runoff. Visual inspection showed that the simulated daily flow, monthly flow, and flow exceedance graph agreed well with observations for the Sancheong and Shinan stations, whereas the simulated flow was higher than observed at the Changchon station.

분포형 유역모델을 이용한 농촌지역 소유역의 질산성 질소 지하침출량 평가 (Estimation of Nitrate Leaching Rates for a Small Rural Watershed Using a Distributed Watershed Model)

  • 박민혜;박선화;김현구;황종연;김태승;정현미;조홍래;이태환;구본경;박윤희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661-669
    • /
    • 2017
  • A distributed watershed model CAMEL (Chemicals, Agricultural Management and Erosion Losses) was applied to a small rural watershed where intensive livestock farming sites are located to estimate nitrate leaching rates from soil to groundwater. The model was calibrated against the stream flows, and T-N and $NO_3-N$ concentrations were observed at the watershed outlet for three rainfall events in 2014. The simulation results showed good agreement with the observed stream flows ($R^2=0.67{\sim}0.93$), T-N concentrations ($R^2=0.40{\sim}0.58$) and $NO_3-N$ concentrations ($R^2=0.43{\sim}0.65$). The estimated annual nitrate leaching rate of the watershed was 33.0 kg N/ha/yr. The contributing proportions of individual activities to the total nitrate leaching rate of the watershed were estimated for livestock farming, applications of chemical fertilizer, and manure. The simulation results showed that the highest contributor to the nitrate leaching rate of the watershed was chemical fertilizer applications. The simulation period was for one year only, however, and results may vary depending on different conditions. Gathering input data over a longer period of time and monitoring data for calibration is needed. When this has been accomplished, it is expected that this model can be applied to small rural watersheds for evaluating temporal and spatial variations of nitrogen transformations and transport processes.

LID 기술의 효율성 검증을 위한 강우-유출 모의장치 개발 및 검증실험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Development and Verification of Rainfall-Runoff Simulator for LID Technology Verification)

  • 장영수;김미은;백종석;신현석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7권6호
    • /
    • pp.513-522
    • /
    • 2014
  • 최근 도시화 및 기후변화에 의한 홍수피해의 증가로 인하여 이에 대응하는 방안으로 저영향개발(LID) 요소기술에 관하여 다양하게 개발이 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요소기술에 대한 효율을 검증할 수 있는 표준화된 검증방법 및 기기는 부재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LID 기법에 대한 물순환의 효율성 검증이 가능한 강우-유출 모의장치를 개발하였다. 소유역 내 강우가 균등하게 분사될 수 있도록 강우공간분포실험 및 유입유량-유효우량 관계 실험을 통하여 강우를 검증하고 유입되는 강우와 이로 인해 발생되는 침투 및 지표유출 관계 실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노즐의 종류에 따른 적정유량범위와 RPM의 관계를 정리하였으며 강우-유출 모의장치를 이용한 실험을 통해 투수면과 불투수면에서의 강우 시의 수문학적 물순환(지표유출, 중간유출, 침투량)의 관계를 정량적으로 검증하였다.

국가R&D 논문성과물의 오픈액세스를 위한 법규 개선방안 (A Study on Improving Laws and Regulations for Open Access of Research Papers from National Research and Development Projects)

  • 차미경;송경진;김나영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1권1호
    • /
    • pp.147-174
    • /
    • 2017
  • 공공기금을 지원받아 수행된 논문성과물의 오픈액세스(OA)는 주요국의 경우 국가차원에서 법률을 통해 의무화하는 방향으로 추진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국가R&D에 따라 산출된 논문성과물의 오픈액세스를 추진하기 위해서 필요한 법규의 개선방안을 제안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이미 공공기금에 의한 연구성과물의 오픈액세스를 법제화한 미국, 스페인, 독일, 프랑스의 입법례와 우리나라의 대표 공공기금 연구사업인 국가R&D와 관련된 법령 및 행정규칙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1) 국가R&D 사업의 연구성과물 관련 용어를 통일하고 연구성과물의 정의에 논문을 명시하여 포함시킬 것, 2) 논문의 제출, 공개, 등록 기탁, 소유와 관련한 내용을 기본법인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성과평가 및 성과관리에 관한 법률"에 정함으로써 OA이행 의무를 강화할 것, 그리고 3) 개정된 기본법에 따라 범 부처 공통의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관리 등에 관한 규정"과 행정규칙을 정비할 것 등을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