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소득적정감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3초

부부의 경제생활 만족도 비교분석 -주관적 경제수준 평가와 가계관리행동을 중심으 로- (Comparative Analysis of Economic Life Satisfaction of Wife and Hosband -Concentrated on Subjective Evaluation of Economic Level and Household Managerial behaviors-)

  • 계선자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12권2호
    • /
    • pp.106-117
    • /
    • 1994
  • 본연구는 부부의 경제생활 만족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가정의 사회인구학적 변인과 가정의 경제환경에 대한 지각정된 주관적 경제수준 평가 및 부부가 참여하는 가계관리 행동 변인들이 부부의 가정의 경제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검증하여 비교 분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조사대상자는 서울시 거주의 1자녀 이상을 둔 부부로서 500쌍의 설문지 중 367쌍이 본 연구자료로 사용되었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같다. 남편의 경 제생활 만족도에 여향을 미치는 변인은 소득 적정감 자원 지각도, 상대적 비교감, 자원기여 평가도 경제소준 향상감, 가계관리 참여도, 월평균 가계속득이었으며 부인의 경우에는 소득 적정감 상대적 비교감 자원기여 평가도 자가주택 소유여부 남편의 직업으로 나타났다 남편 과 부인 모두의 경제생활 만족도에 대한 예측력이 가장 큰 변인은 소득 적정감으로 나타났 다 부부의 경제생활 만족도는 주관적 경제수준 평가의 영향력이 사회인구학적 변인의 영향 력보다 상대적으로 큰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주부의 경제적복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conomic Well-Being of Housewives)

  • 이경옥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3권6호
    • /
    • pp.903-915
    • /
    • 2004
  • Now in Korea, many factors-for example, unemployment rate rise, consumer prices, corporate restructuring, etc.-are threatening family economy. Thus many households are faced with an economic crisis. In this circumstances, it is the role of households as a subsystem of family system to keep family and household economy stable for the sake of family growth and development. Economic well-being is differentiated by criterion of household economic status. But it has a large scale of spectrum: household income, asset, consumption, debt and the like. Moreover, these indices have been understood and measured differently by many researchers. In this thesis, we made efforts to distinguish subjective satisfaction from objective satisfaction, and then focus on the former.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399 housewives living in Pusan through questionnaires.

  • PDF

2_Chloroethylphosphonic Acid가 잎담배 성숙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2-Chloroethylphosphnic Acid on Ripening of Tobacco Leaves)

  • 허일;구한서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12권
    • /
    • pp.71-75
    • /
    • 1972
  • 본 실험은 성숙촉진제 C.E.P.A(2-chloroethyl phosphonic acid)를 처리하여 잎담배 성숙촉진 여부와 나아가서 수량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코저 1970-1971년 양년에 걸쳐 소사시험장 및 산지적응시험을 시도한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농도가 높을수록 잎담배 성숙을 촉진시키는 정도가 현저하며 그 효과는 처리후 3-4일부터 나타났다. 2. 열 표면에만 처리해도 효과가 있었으며 성숙촉진 효과는 처리 부분에만 뚜렷하였다. 3. C.E.P.A 처리 효과는 성숙기에 가까운 하위엽에서 뚜렷했고 상위엽에서는 완만하였고 성숙 정도에 따라 차이가 현저하였다. 4. C.E.P.A는 농도가 높을수록 성숙충족효과는 크지마는 900ppm 이상이 되면 잎의 신전율이 떨어져서 약간이나마 감수가 되며 3,000ppm에서는 약 9%의 수량 감을 가져 오므로 적정농도는 900ppm으로 볼 수 있다. 5. C.E.P.A의 성숙충족 일수를 보면 100ppm에서 1일, 300ppm 3일, 450ppm 3일, 900ppm 4일, 3000ppm에서 약 7일간 단축시킬 수가 있었다. 6. 건조 경과를 보면 C.E.P.A처리구는 무처리에 비하여 시간으로 약 29%의 건조시간과 45%의 연료를 절감할 수 있는 가능성이 엿보인다. 7. 그러므로 잎담배 재배에 있어 C.E.P.A를 적정농도(900ppm)로 처리하면 수량의 감소를 가져 오지 않으면서 품질에서 13.5% 수납대금에서 12%의 소득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부수적인 효과로서 3,000ppm에 약 7일, 건조시간에서 약24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고 본다.

  • PDF

교통과태료제도에 대한 국민의식조사 분석 (Public Attitude Survey on Traffic Fine Policy)

  • 김연수
    • 시큐리티연구
    • /
    • 제37호
    • /
    • pp.51-82
    • /
    • 2013
  • 최근 교통환경 개선으로 교통안전이 획기적으로 향상되고 있으나, 여전히 운전태도에는 변화가 없어 많은 사고로 이어지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교통과태료 및 범칙금제도가 갖고 있는 문제점을 지적하고, 국민의식조사를 통해 적정한 과태료 및 범칙금수준에 대해 탐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전국 15개 광역시도의 20세 이상 성인 운전자 90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우리나라 교통환경은 전반적으로 불안전하며, 난폭운전, 과속운전, 음주운전 등 운전자의 교통법규 미준수가 교통사고의 중요한 원인으로 인식하고 있다. (2) 전체 응답자의 61.6%가 연 1회 이상 과속운전을 경험하지만, 최근 3년간 단속을 경험한 운전자는 15.2%에 불과하였다. (3) 교통과태료의 수준에 대한 저항감은 과거보다 낮아졌고, 보다 많은 정보를 제공했을 때 긍정적인 답변을 제시하였다. (4) 벌점을 회피하기 위한 과태료납부의 도덕적 해이현상을 억제하기 위해 범칙금보다 과태료가 최소 5~7만원이상의 차이가 있어야 한다. (5) 교통범칙금은 위반자의 소득수준에 따른 차등부과 형식보다 누진처벌제도를 도입하는 것에 대한 저항이 적었다. (6) 현 도로교통법 위반행위별 부과 과태료는 재정비가 필요하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에서는 현행 도로교통법의 과태료 및 범칙금 제도개선을 위한 정책적 제언을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 (1) 제도개선에 대한 충분한 이해와 공감대 형성이 필수적이다. (2) 차주에 대한 벌점부과 등 금전적 제재보다 행정적 제재를 고려해야 한다. (3) 누진처벌에 대한 제도도입을 고려해야한다. (4) 현 도로교통법 위반행위와 과태료 및 범칙금 수준에 대한 전반적 재정리가 있어야 한다.

  • PDF

친환경농업직접지불제 시비기준의 고추 시비추천에 대한 적합성 및 경제성 평가 (Economical Efficiency of the Sustainnable Agriculture Direct Income Support System on Fertilizer Levels of Red pepper)

  • 강보구;김현주;이경자;박성규;서상택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387-394
    • /
    • 2002
  • 밭작물에 대한 친환경농업직접지불제 시행에 따른 적정시비기준 및 경제성을 평가하여 농업인의 참여의사 결정에 참고자료로 활용하고자 시비수준을 농가관행 대비 표준시비, 토양검정시비 그리고 토양검정시비감비(20, 40, 60, 80% 감비)를 두고 고추를 공시작물로 수행한 결과 다음과 같다. 고추수량은 농가관행에 비하여 표준, 토양검정 그리고 토양검정 20%감비 수준에서는 차이가 없었으며, 토양검정 40, 60, 80% 감비수준에서는 수량감소가 인정되었다. 고추에 시용한 비료의 흡수이용율은 농가관행에서 질소, 인산, 칼리 각각 24, 9, 53%로 가장 낮았고, 시비량이 증가할수록 이용율은 낮아지는 경향이었으며, 60 및 80% 감비 수준에서는 질소와 칼리의 시용량이 부족하였다. 고추재배시 토양검정 결과 적합성 여부 및 친환경농업보조금(524천원 $ha^{-1}$)을 감안한 소득을 농가관행과 비교한 결과 토양검정 및 토양검정20% 감비가 가장 적합한 시비방법으로 친환경농업직접지불제 참여농가에 추천할수 있다.

감의 이용(利用)에 관(關)한 연구(硏究) -제3보(第三報) 품종별(品種別) 수확시기별(收穫時期別) 탈삽적정조건(脫澁適正條件) 조사(調査) 및 실용화시험(實用化試驗)- (Studios on the Utilization of Persimmons -(Part 3) Investigation of the Optimal Conditions in the Removal of Astrigency and Experiment for the Practical Utilization-)

  • 손태화;최종욱;하영선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19권2호
    • /
    • pp.104-111
    • /
    • 1976
  • 경북지방(慶北地方)에서 많이 생산(生産)되는 청도반시(淸道盤?), 사곡시(舍谷?), 의성반시(義城盤?), 골반시(盤?) 및 경산반시(慶山盤?)를 대상(對象)으로 수확시기별(收穫時期別) 및 과실(果實)의 대소(大小)가 탈삽(脫澁)에 미치는 영향(影響)과 아울러 청도반시(淸道盤?)의 실용화(實用化) 시험(試驗)을 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가용성(可溶性) tannin의 함량(含量)은 성숙(成熟)이 진행(進行)됨에 따라 어느 품종(品種)이나 감소(減少)하였으며 최종수확기(最終收穫期)에 있어서는 그 양(量)이 1회 수확기(收穫期)에 비(比)하여 약(約) 반(半)으로 감소(減少)하였고, 탈삽(脫澁) 소요시간(所要時間)도 점차(漸次) 단축(短縮)됨을 볼수 있었다. 2. 과실(果實)의 대소별(大小別)로 볼 가용성(可溶性) tannin의 함량(含量)은 대과(大果)에 비(比)하여 소과(小果)가 품종(品種)에 관계(關係)없이 많았고 탈삽소요시간(脫澁所要時間)도 같은 경향(傾向)으로 소과(小果)가 장시간(長時間) 소요(所要)되었다. 3. 과실(果實)의 대소별(大小別) 경도(硬度)의 변화(變化)는 대과(大果) 경도(硬度)가 품종(品種)에 관계(關係)없이 저하(低下)가 심하였으며 이 현상(現想)은 탈삽경과중(脫澁經過中)이다. 후(後)에도 동일(同一)한 경향(傾向)이었다. 4. 과실(果實)의 대소별(大小別) 당(糖)의 변화(變化)는 소과(小果)에 비(比)하여 대과(大果)가 함량(含量)은 많으나 탈삽경과중(脫澁經過中) 감소현상(減少現象)이 크게 나타남을 볼 수 있었다. 5. 청도반시(淸道盤?)를 대상(對象)으로 한 실용화(實用化) 시험(試驗) 결과(結果)는 시장성(市場性)이 좋고 제반경비(諸般經費)를 공제(控除)하고도 카아바이트 처리(處理) 감보다 26.8%의 소득(所得)의 증대(增大)가 인정(認定)되었다.

  • PDF

채석장의 부지 활용에 대한 의식 및 모델 분석 (Analysis of Consciousness and Model on Land for the Another use After Quarrying)

  • 박재현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1권3호
    • /
    • pp.387-394
    • /
    • 2012
  • 이 연구는 채석장 개발 후 부지에 대한 타용도 활용에 관한 의식 분석을 통하여 타용도로 전환하는 모델을 개발함으로써 효율적으로 산림자원을 이용 개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채석장 개발에 따른 경제적 발전 등 긍정적 측면보다 먼지, 소음, 산림훼손 등 부정적 시각이 약 5% 더 크게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응답자 중 42%는 채석장 개발 후 타용도 전환하여 활용하는 것이 좋다고 응답하였고, 타용도 전환은 문 화예술공간으로(25%), 타용도 활용은 인근 주민의 요구도가 큰 지역(32%), 타용도 전환시 적정한 규모는 5~10 ha의 규모(43%)가 선호도가 높았다. 폐채석지에 대하여 타용도 전환시 SWOT분석 결과, 강점요인은 국토의 효율적 활용, 근대산업유산+문화예술 융합형 콘텐츠의 개발, 인근 도시 및 휴양객의 볼거리 제공, 주변의 수려한 경관과 청정한 환경과의 조화, 주 5일 근무 증가 등에 따른 국내외 관광객의 지속적 증가이었다. 기회요인으로는 새로 개설되는 고속철도 지방도 등을 통한 획기적 교통망(접근성) 개선, 예술창작벨트 조성으로 신성장동력 창출, 관광과 교육의 접목을 통한 차별화된 문화예술공간 제공, 석재 가공품 개발을 통한 지역소득 창출, 에코시티 개발 등 지역개발 활성화이다. 약점요인으로는 심리적 원거리감과 낙후성, 체류형 관광기반의 취약이라고 분석되었다. 위협요인으로는 인근 채석장과 연계하여 개발시 지속적인 재원의 지원이 불가피하고, 폐채석지의 타용도 전환요청에 따른 법적 제도적 정비가 시급하다고 분석되었다. 폐채석지의 타용도 활용을 위한 개발형 복구모델은 조각공원, 폭포공원 및 호수공원, 암벽등산장 등의 유형, 체육공원+산림공원, 자생식물공원 유형, 문화예술공원 유형, 복합공원 유형, 저류지, 산불진화 저류지 유형, 노인병원, 농업시설지, 학교부지 등 기타 시설 유형으로 분석되었다. 토석채취 이용 후 부지에 대한 타 용도 활용은 이용자의 선호도를 고려하여 활용형태에 따른 시설 모형을 설정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