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세포 자멸사

검색결과 131건 처리시간 0.024초

위암에서 발견된 돌연변이형 Fas 단백의 기능적 결함 (Functional Defect of the Fas Mutants Detected in Gastric Cancers)

  • 박원상;조용구;김창재;박조현;김영실;김수영;남석우;이석형;유남진;이정용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3권4호
    • /
    • pp.186-190
    • /
    • 2003
  • Purpose: The balance between cell proliferation and apoptosis is crucial for homeostatic maintenance in a cell population. Decreased apoptosis or uncontrolled proliferation can lead to cancer. The Fas receptor signal through a cytoplasmic death domain is very important in the apoptotic pathway. To identify the effect of the death domain of the Fas gene in the development and/or progression of gastric cancer, we examined the apoptotic potential of five known Fas mutants detected in gastric cancers. Materials and Methods: A wild-type Fas gene was cloned with cDNA from normal liver tissue and full length Fas was sequenced. Mutants of the gene were generated with sitedirected mutagenesis by using the wild-type gene and specific primers. Wild- and mutant-type genes were transfected to HEK293 cells. Forty-eight hours after transfection the cells were stained with DAPI and cell death was counted under fluorescent microscopy. Results: In wild-type Fas-transfected cells, the percentage of apoptotic cells was $85.9\pm3.6\%$, and significant cell death and classic morphologic signs of apoptosis were observed. However, the percentages of apoptotic cells transfected with N239D, E240G, D244V, and R263H of tumor-derived mutant Fas were $29.5\pm2.08\%,\;28.5\pm3.34\%,\;25.225\pm2.06\%,\;and\;36.625\pm4.49\%$, respectively.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inactivation of Fas caused by mutations in the death domain of the Fas gene may be one of the possible escape mechanisms against Fas-mediated apoptosis and that inactivating mutation of the Fas may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r progression of gastric cancers.

  • PDF

Lipopolysaccharide/D-Galactosamine에 의해 유도된 급성 간 손상 생쥐모델에서 굴가수분해물의 간 보호 효과 (Hepatoprotective Effects of Oyster Hydrolysate on Lipopolysaccharide/D-Galactosamine-Induced Acute Liver Injury in Mice)

  • 류지현;김은진;;;;박시향;조수범;송대현;김남길;최영준;강상수;강다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6권6호
    • /
    • pp.659-670
    • /
    • 2017
  • 산화스트레스와 염증은 간 손상의 진행과정에 중요한 인자로 작용한다. 굴가수분해물의 항산화 및 항염증 활성은 지질대사, 혈압 및 혈당, 면역기능의 조절과 같은 다양한 기능에 관여한다. 그러나 급성 간 손상 모델에서 굴가수분해물의 효과를 확인한 연구 결과는 아직 확인된 바 없다. 본 연구는 LPS/D-GalN에 의해 유도된 급성 간 손상 생쥐 모델에서 굴가수분해물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실험군은 대조군(생리식염수), LPS/D-GalN 간 손상군, LPS/D-GalN과 굴가수분해물(100 mg/kg, 200 mg/kg, 400 mg/kg)의 병합투여군 및 LPS/D-GalN과 silymarin(25 mg/kg) 병합투여군으로 나누었다. 급성 간 손상 모델은 $1{\mu}g/kg$의 LPS와 400 mg/kg의 D-GalN으로 유도되었다. 먼저 시료의 항산화 및 항염증 활성을 분석한 결과 굴가수분해물은 농도 의존적으로 높은 DPPH 및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을 보였으며, 인간 정상 간세포주(Chang)에서 과산화수소에 의한 세포 내 활성산소의 생성을 유의적으로 감소시켰다. 또한, 굴가수분해물은 농도 의존적으로 높은 COX-2 및 5-LOX 억제능을 보였으며, LPS에 의해 활성화된 생쥐 대식세포주 RAW264.7에서 발현되는 $TNF-{\alpha}$, IL-6 및 $IL-1{\beta}$의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mRNA 발현률을 감소시켰다. 굴가수분해물 투여는 LPS/D-GalN에 의한 혈청 ALT 및 AST 증가를 유의적으로 감소시켰으며, 간 조직의 출혈 및 간세포의 자멸사를 감소시켰다. 또한, 간 균질의 $TNF-{\alpha}$, $IL-1{\beta}$ 및 IL-6 함량을 감소시켰으며, 감소한 catalase의 활성을 유의적으로 증가시켰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굴가수분해물은 간 보호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판단되며, 급성 간 손상의 예방 및 치료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시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급성 저산소증 상태에서 심장 내 전사인자 NF-κB의 기능 (Role of the Nuclear Transcription Factor NF-κB Caused by Acute Hypoxia in the Heart)

  • 주찬웅;정우석;김재철;이호근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5권9호
    • /
    • pp.1106-1113
    • /
    • 2002
  • 목 적: 전사인자 $NF-{\kappa}B$는 스트레스 등으로부터 세포 자멸사를 조절하여 적응을 유지하는 기본적인 분자로 인식되고 있다. 저산소증 상태는 많은 심장병에서 동반되는 병변으로 성장인자 VEGF와 IGF-I는 저산소증 시에 심장을 보호하는 작용을 할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저산소증과 같은 자극으로부터 심장의 보호 기능이 추정된 $NF-{\kappa}B$의 발현과 함께 VEGF와 IGF-I의 발현 연관성을 검토하여 분자 생물학적인 기전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방 법 : 실험동물로 Sprague Dawley rat을 이용하여, 저산소 자극은 8%의 산소와 92% 질소를 hypoxic chamber로 관류시키며 유도하였다. 심장에 대한 저산소증 자극 후 심근세포로부터 측정 인자들과 관련된 핵 내 단백질, 전단백질 그리고 mRNA를 분리하였다. 핵 내의 전사인자는 EMSA로 측정하였으며, VEGF와 IGF-I의 발현은 competitive-PCR, Western hybridization, Northern hybridization으로 확인하였다. 또한 이러한 성장인자의 발현과 관련된 $NF-{\kappa}B$의 기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NF-{\kappa}B$의 핵 내 이동 억제제인 DDTC를 전 처치로 복강 내 주사하여 그에 따른 VEGF 및 IGF-I의 발현 양상을 비교하였다. 결 과 : 저산소 자극 후에 심근 세포 내에 전사인자 $NF-{\kappa}B$, AP-1, NF-ATc의 활성이 증가되었다. VEGF와 IGF-I의 발현도 저산소증 자극 시 증가되었지만, DDTC 전 처치에 의한 $NF-{\kappa}B$의 핵 내 이동 차단 후 이들 인자의 발현은 의의 있게 감소하였다. 결 론 : 전사인자 $NF-{\kappa}B$는 저산소증 상태에서 그 활성이 증가하고 저산소증 상태와 같은 심장에 대한 이상 자극 시 VEGF와 IGF-I의 발현을 증가시켜 심장을 보호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Dexrazoxane과 Pentoxifylline의 Adriamycin 유발성심근증에 대한 예방 효과 (The Preventive Effect of Dexrazoxane and Pentoxifylline on Adriamycin Induced Cardiomyopathy)

  • 주령;배은정;하일수;서정욱;노정일;최정연;윤용수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8권12호
    • /
    • pp.1378-1384
    • /
    • 2005
  • 목 적 : ADR 유발성심근증 생쥐 모델에서 PTX와 DXR의 심근증에 대한 예방 및 치료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생후 6주된 Sprague-Dawley rat를 정상대조군(n=4), 질환대조군(n=6), DXR군(n=5), PTX군(n=6), 병용치료군(n=5)으로 나누고 정상 대조군을 제외한 4군에 ADR(5 mg/kg)을 1주 간격으로 2회 미정맥으로 투여하여 심근증을 유발하였다. DXR군은 매 ADR 투여 30분 전에 DXR(100 mg/kg)을 미정맥으로 주사하였다. PTX군은 3주간 매일 PTX(50 mg/kg/day)을 경구투여하였다. 5군 모두 3주 뒤에 희생시켜 좌심실 조직의 광학현미경적소견을 관찰하여 심근증의 정도를 분석하였다. 면역조직학적 염색을 통해 Bcl-2 발현의 변화를 조사하였고 $TNF-{\alpha}$와 CTGF에 대한 RT-PCR을 시행하였다. 결 과 : 광학현미경 소견상 세포질의 공포형성과 과수축 밴드괴사 그리고 섬유화는 정상대조군에 비해 질환대조군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병용치료군에서 감소하였다(P<0.01). 심근 섬유화는 PTX군과 병용치료군에서 ADR군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Bcl-2의 발현은 질환대조군에서 낮았으며 DXR군과 병용치료군에서 질환대조군에 비해 Bcl-2의 발현이 증가하여 호전되었다(P<0.05). $TNF-{\alpha}$는 mRNA와 단백질의 발현상 정상대조군과 질환대조군에서 차이가 없었다. 결 론 : ADR 유발성심근증에 DXR과 PTX를 함께 투여하였을 경우 DXR은 bcl-2의 발현을 증가시키고 심근세포의 자멸사를 억제하였고 PTX는 심근 섬유화를 억제하였다. 그리고 ADR과 PTX를 병용 투여하였을 경우 최대의 심근증 예방 효과를 볼 수 있었다.

진행성 비소세포폐암에서 Heme oxygenase-1 발현과 Cisplatin을 포함하는 항암화학요법의 치료반응과의 연관성 (The Relationship between Heme Oxygenase-1 Expression and Response to Cisplatin Containing Chemotherapy in Advanced Non-Small Cell Lung Cancer)

  • 양두경;노미숙;이경은;김기남;이기남;최필조;방정희;김보경;서효림;김민지;김슬기;이수걸;손춘희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0권3호
    • /
    • pp.314-320
    • /
    • 2006
  • 연구배경: 항암화학요법은 수술이 불가능한 진행성 비소세포폐암환자에서 주요한 치료 방법이지만 전신 부작용 때문에 모든 환자들에게 권할 수 있는 치료법이 되지 못한다. 만약 항암화학요법에 대한 반응 정도를 예측할 수 있다면 치료계획 수립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Heme oxygenase(HO)는 헴을 산화 분해하는 효소로 세포를 보호하고 세포자멸사를 억제하는 작용이 있음이 알려져 있다. 이에 저자들은 조직 내 HO-1의 발현이 증가되어 있는 경우는 cisplatin을 포함하는 항암화학요법에 저항성을 보일 것으로 가정하였고, 비소세포폐암조직에서 면역조직화학 염색을 이용하여 HO-1의 발현여부를 평가하고 항암화학요법에 대한 치료반응과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1997년 7월에서 2004년 7월까지 동아대학병원에 내원하여 진행성 비소세포폐암으로 진단받은 환자 중 cisplatin을 포함한 항암화학요법을 2회 이상 시행 받고 치료에 대한 반응을 평가할 수 있는 59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환자들을 cisplatin을 포함하는 항암화학요법에 대한 치료 반응 정도 및 다른 임상 특성에 따라 분류하여 조직 내 HO-1의 발현 정도와의 연관성을 알아보았다. 결 과: 총 59명의 폐암조직에서 HO-1의 발현을 조사한 결과 43명(72.8%)에서 양성을 보였다. 조직형, 병기, 종양의 크기와 HO-1 발현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연관성이 없었으며, HO-1의 치료 전 발현도 cisplatin을 포함하는 항암화학요법에 대한 치료효과와의 연관성도 없었다. 결 론: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진행성비소세포폐암환자의 치료 전 폐암조직에서 HO-1의 발현여부가 cisplatin을 근간으로 하는 항암화학치료의 반응을 예측하는 인자로서의 통계학적 의미는 찾을 수 없었으며 이를 검정하기위한 전향적 연구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고초균에 의한 생강 발효 추출물의 신경세포 보호 효과 (Neuroprotective effect of fermented ginger extracts by Bacillus subtilis in SH-SY5Y cells)

  • 양희선;김미진;김민아;최정숙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4권6호
    • /
    • pp.618-630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생강을 효소처리하여 수용화율을 높인 후 고초균을 이용하여 발효시킨 생강발효물 (FGEs)을 제조하고, 이를 SH-SY5Y에 6-OHDA와 함께 처리하여 세포 보호 효과 및 AChE 저해 활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6-OHDA로 자극된 신경세포에서 FGE를 처리한 모든 실험군에서 세포 생존율이 증가하고 LDH 농도가 감소하였다. 6-OHDA로 유발된 세포자멸사를 억제할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핵의 형태학적인 변화 및 caspase-3 활성을 확인하였다. FGE를 처리한 모든 실험군에서 핵의 손상 및 apoptotic body의 감소와 caspase-3 억제 활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FGE는 AChE의 활성을 유의적으로 감소시켰다. 시료 간의 활성 차이를 비교하였을 때, 생강에 효소 처리 후 고초균으로 발효한 추출물군 (E/BKG와 E/BCG)의 신경세포 보호 활성이 효소 처리하지 않은 발효생강군 (BKG와 BCG) 보다 유의적으로 크게 나타났다. 그러나 발효에 사용된 고초균 2종 간의 활성은 유사하였으며 처리군 간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로부터 효소처리하여 수용화율을 높여 고초균으로 발효한 FGE는 신경세포 보호 및 AChE 저해 효과를 나타내어 향후 신경질환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 제공 및 고부가가치 식품소재 개발에 이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한국인 위암에서 KLF4 단백 발현 양상 (Expression Pattern of KLF4 in Korean Gastric Cancers)

  • 송재휘;조용구;김창재;박조현;김수영;남석우;이석형;유남진;이정용;박원상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5권3호
    • /
    • pp.200-205
    • /
    • 2005
  • 목적: Zinc finger를 가진 KLF4는 위장관 상피세포의 항상성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종양억제유전자이다. 연구자들은 KLF4 단백의 발현 변화가 위암의 발생에 관여하는지를 파악하고 위암의 병리 지표들과 연관성이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84예의 파라핀 포매된 위암조직에서 암세포들을 각각 3군데에서 펀치하여 새로운 파라핀 블록으로 옮겨 위암의 tissue microarray를 제작하였다. Tissue microarray 절편에서 KLF4 단백에 대한 항체로 면역화학염색을 실시한 후 발현 양상을 병리 지표들인 조직학적 소견, 침습 정도, 림프절 전이 및 복막파종 등과의 연관성을 조사하였다. 결과: KLF4 단백은 위점막의 표면과 소와 상피세포의 세포질과 핵에서 주로 발현되고 있었고 조사된 위암 84예 중 43예(51.2%)에서 발현이 현저히 저하되어 있거나 소실되어 있었다. 이러한 KLF4 단백의 발현 소실은 조직학적 소견, 침습 정도, 림프절 전이 및 복막파종과는 통계적으로 연관성이 없었다. 결론: 이러한 연구 결과는 KLF4 단백의 발현 소실이 위장관 상피세포의 비정상적인 성장과 분화를 유도하고 위암의 발생 초기에 관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 PDF

자궁경부암(子宮頸部癌)과 유방암(乳房癌)에 대한 삼릉(三稜)의 세포자멸사 연구 (Study of Apoptosis by Scirpi Tuber in Hela Cell and MCF-7 Cell)

  • 류갑순;이진무;이창훈;장준복;이경섭
    •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1-13
    • /
    • 2011
  • Objectives: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analysis of apoptosis by Scirpi Tuber in Hela cell and MCF-7 cell. Methods: For cytotoxic effect of Scirpi Tuber extract, Scirpi Tuber extract were cultured on NIH3T3 cell in vitro. After treatment with various concentration of Scirpi Tuber, cell growth was evaluated in Hela cell and MCF-7 cell. Hoechst 33342 staining was performed to estimate DNA fragment effect of Scirpi Tuber on the apoptosis in Hela cell and MCF-7 cell. Annexin V/PI apoptosis assay was used to estimate the effects of Scirpi Tuber on the early apoptosis in Hela cell MCF-7 cell. All the stained cells were analyzed by a FACS. RT-PCR was used to estimate the apoptosis gene expression effect of Scirpi Tuber extract on Hela cell and MCF-7 cell. Results: Cytotoxic effect of Scirpi Tuber extract was not found on per NIH3T3 cell. The viability of Hela cell was significantly decreased Scirpi Tuber (500, $1000{\mu}g/m\ell$) in Hela cell 1day, 3day and 5days after treatment (p<0.01). The viability of MCF-7 cell was significantly decresed Scirpi Tuber ($1000{\mu}g/m\ell$) in MCF-7 cell (p<0.01), Scirpi Tuber ($500{\mu}g/m\ell$) in MCF-7 cell only 3days after treatment (p<0.01). In RT-PCR analysis, after treatment of $100{\mu}g/m\ell$ of ACR extract, BCL-2 were decreased and BAX, caspase-3 were increased both in Hela cell and MCF-7 cell. DNA fragmentation was observed the Scirpi Tuber on Hela cell and MCF-7 cell. As time goes on DNA fragmentation incresed. In Annexin V/PI apoptosis assay, after treatment of $1mg/m\ell$ of Scirpi Tuber, the early apoptotic cell increased both in Hela cell and MCF-7 cell. As time goes on apoptotic cell increased. Conclusion: Scirpi Tuber appears to have considerable activity on the apoptosis in Hela cell and MCF-7 cell.

한국인 위암에서 Caspase 2 단백 발현 양상 (Expression Pattern of Caspase 2 in Korean Gastric Cancers)

  • 김창재;박직영;이종흔;조용구;이종우;송영화;김영실;박조현;남석우;이석형;유남진;박원상;이정용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3권1호
    • /
    • pp.38-43
    • /
    • 2003
  • Purpose: Caspase 2, a member of the family of ICE-like proteases, is activated by the Fas pathway and induces apoptosis by triggering the caspase cascad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the expression pattern of caspase 2 might be associated with gastric cancer development and if so, to determine to which pathologic parameter it is linked. Materials and Methods: For the construction of the gastric cancer tissue microarray, 78 paraffin-embedded tissues containing gastric cancer areas were cored 3 times and transferred to the recipient master block. The expression pattern of caspase 2 was examined on tissue microarray slides by using immunohistochemistry and was compared with pathologic parameters, including histologic type, depth of invasion, lymph node metastasis, and peritoneal dissemination. Results: Caspase 2 was expressed on superficial and foveolar epithelial cells and lymphocytes in the gastric mucosa, mainly in cytoplasm. We found loss of caspase 2 expression in 41 ($52.6\%$) of the 78 gastric cancer tissues. Statistically, histologic type and other pathologic parameters were not related with loss of caspase 2 expression Conclusion: Our findings provide enough evidence that loss of caspase 2 expression may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Korean gastric cancer and that it might be one of the possible escape mechanisms from apoptosis in gastric cancer.

  • PDF

흰쥐소장 점막의 허혈재관류손상에서 프로스타글란딘 E1이 세포자멸사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rostaglandin E1 on Apoptosis Induced by Ischemia Reperfusion Injury in Rat Intestinal Mucosa)

  • 배태희;김승홍;김철규;김한구;김우섭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2권3호
    • /
    • pp.369-375
    • /
    • 2005
  • Apoptosis is a physiologic or programmed cell death process which is controlled by genes. It is essential for the function and the appropriate development of multicellular organism. It is also thought to be one of the main mechanisms of cell death in ischemic tissues. The effect of prostaglandin $E_1$($PGE_1$) is proven to be useful in the recovery of ischemic changes by inducing vasodilation of peripheral vessels and platelet disaggregation. $PGE_1$ is also known to suppress apoptosis in human liver sinusoidal endothelial cell from ischemia-reperfusion injur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ffects of $PGE_1$ on the apoptosis in the ischemia reperfusion injury of rat intestine. Thirty Sprague-Dawley rats were used. In control group(N=15), superior mesenteric artery was occluded for 60 minutes and after removing the vessel clamp, it was reperfused for 60 minutes and harvested. In experimental group(N=15), a jejunal flap was also made as in the control group except for the intraarterial administration of the $PGE_1$ right after clamping the artery and removing the clamp. H&E, TUNEL and immunohistochemical stains for p53, bax, and bcl-2 were performed. There were ischemic changes in gross and microscopic findings in both groups. The apoptotic index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experimental group($1.29{\pm}0.82$(p=0.003)) than in the control group ($2.33{\pm}0.95$). The rat intestinal ischemia apoptosis by ischemia-reperfusion was partly related to the modulating of bcl-2, bax, and p53 expression. Our results indicate that $PGE_1$ suppresses the apoptosis in the ischemic jejunal flap and this effect is probably the result of a increase in expression of bcl-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