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세포 매개성 면역반응

Search Result 72,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홍삼 유래 성분들의 면역조절 효능

  • Jo, Jae-Yeol
    • Food preservation and processing industry
    • /
    • v.8 no.2
    • /
    • pp.6-12
    • /
    • 2009
  • 면역반응은 외부 감염원으로부터 신체를 보호하고 외부감염원을 제거하고자 하는 주요항상성 유지기전의 하나이다. 이들 반응은 골수에서 생성되고 비장, 흉선 및 임파절 등에서 성숙되는 면역세포들에 의해 매개된다. 보통 태어나면서부터 얻어진 선천성 면역반응을 매개하는 대식세포, 수지상 세포 등과, 오랜기간 동안 감염된 다양한 면역원에 대한 경험을 토대로 얻어진 획득성 면역을 담당하는 T 임파구 등이 대표적인 면역세포로 알려져 있다. 다양한 면역질환이 최근 주요 사망률의 원인이 되고 있다. 최근, 암, 당뇨 및 뇌혈관질환 등이 생체에서 발생되는 급 만성염증에 의해 발생된다고 보고됨에 따라 면역세포 매개성 염증질환에 대한 치료제 개발을 서두르고 있다. 또한 암환자의 급격한 증가는 암발생의 주요 방어기전인 면역력 증강에 대한 요구들을 가중시키고 있다. 예로부터 사용되어 오던 고려인삼과 홍삼은 기를 보호하고 원기를 회복하는 명약으로 알려진 대표적인 우리나라 천연생약이다. 특별히, 홍삼은 단백질과 핵산의 합성을 촉진시키고, 조혈작용, 간기능 회복, 혈당강하, 운동수행 능력증대, 기억력 개선, 항피로작용 및 면역력 증대에 매우 효과가 좋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홍삼에 관한 많은 연구에 비해, 현재까지 홍삼이 면역력 증강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분자적 수준에서의 연구는 매우 미미한 것으로 확인되어져 있다. 홍삼의 투여는 NK 세포나 대식세포의 활성이 증가하고 항암제의 암세포 사멸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어졌다. 현재까지 알려진 주요 면역증강 성분은 산성다당류로 보고되었다. 또 한편으로 일부 진세노사이드류에서 항염증 효능이 확인되어졌으며, 이를 통해 피부염증 반응과 관절염에 대한 치료 효과가 있는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본 연구는 KT&G 연구출연금 (2009-2010) 지원을 받아 이루어졌기에 이에 감사드린다]. 면역반응은 외부 감염물질의 침입으로 유도된 질병환경을 제거하고 수복하는 중요한 생체적 방어작용의 하나이다. 이들 과정은 체내로 유입된 미생물이나 미세화학물질들과 같은 독성물질을 소거하거나 파괴하는 것을 주요 역할로 한다. 외부로 부터 인체에 들어온 이물질에 대한 방어기전은 현재 두 가지 종류의 면역반응으로 구분해서 설명한다. 즉, 선천성 면역 반응 (innate immunity)과 후천성 면역 반응 (adaptive immunity)이 그것이다. 선천성 면역반응은 1) 피부나 점막의 표면과 같은 해부학적인 보호벽 구조와 2) 체온과 낮은 pH 및 chemical mediator (리소자임, collectin류) 등과 같은 생리적 방어구조, 3) phagocyte류 (대식세포, 수지상세포 및 호중구 등)에 의한 phagocytic/endocytic 방어, 그리고 4) 마지막으로 염증반응을 통한 감염에 저항하는 면역반응 등으로 구분된다. 후천성 면역반응은 획득성면역이라고도 불리고 특이성, 다양성, 기억 및 자기/비자기의 인식이라는 네 가지의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외부 유입물질을 제거하는 반응에 따라 체액성 면역 반응 (humoral immune response)과 세포성 면역반응 (cell-mediated immune response)으로 구분된다. 체액성 면역은 침입한 항원의 구조 특이적으로 생성된 B cell 유래 항체와의 반응과 간이나 대식세포 등에서 합성되어 분비된 혈청내 보체 등에 의해 매개되는 반응으로 구성되어 있다. 세포성 면역반응은 T helper cell (CD4+), cytotoxic T cell (CD8+), B cell 및antigen presenting cell 중개를 통한 세포간 상호 작용에 의해 발생되는 면역반응이다. 선천성 면역반응의 하나인 염증은 우리 몸에서 가장 빈번히 발생되고 있는 방어작용의 하나이다. 예를 들면 감기에 걸렸을 경우, 환자의 편도선내 대식세포나 수지상세포류는 감염된 바이러스 단독 혹은 동시에 감염된 박테리아를 상대로 다양한 염증성 반응을 유도하게 된다. 또한, 상처가 생겼을 경우에도 감염원을 통해 유입된 병원성 세균과 주위조직내 선천성 면역담당 세포들 간의 면역학적 전투가 발생되게 된다. 이들 과정을 통해, 주위 세포나 조직이 손상되면, 즉각적으로 이들 면역세포들 (주로 phagocytes류)은 신속하게 손상을 극소화하고 더 나가서 손상된 부위를 원상으로 회복시키려는 일련의 염증반응을 유도하게 된다. 이들 반응은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발적 (redness), 부종 (swelling), 발열 (heat), 통증 (pain) 등의 증상으로 나타나게 된다. 즉, 손상된 부위 주변에 존재하는 모세혈관에 흐르는 혈류의 양이 증가하면서 혈관의 직경이 늘어나게 되고, 이로 인한 조직의 홍반과, 부어 오른 혈관에 의해 발열과 부종이 초래되는 것이다. 확장된 모세혈관의 투과성 증가는 체액과 세포들이 혈관에서 조직으로 이동하게 하는 원동력이 되고, 이를 통해 축적된 삼출물들은 단백질의 농도를 높여, 최종적으로 혈관에 존재하는 체액들이 조직으로 더 많이 이동되도록 유도하여 부종을 형성시킨다. 마지막으로 혈관 내 존재하는 면역세포들은 혈판 내벽에 점착되고 (margination), 혈관벽의 간극을 넓히는 역할을 하는 히스타민 (histamine)이나 일산화질소(nitric oxide : NO), 프로스타그린딘 (prostagladins : PGE2) 및 류코트리엔 (leukotriens) 등과 같은 chemical mediator의 도움으로 인해 혈관벽 사이로 삼출하게 되어 (extravasation), 손상된 부위로 이동하여 직접적인 외부 침입 물질의 파괴나 다른 면역세포들을 모으기 위한 cytokine (tumor necrosis factor [TNF]-$\alpha$, interleukin [IL]-1, IL-6 등) 혹은 chemokine (MIP-l, IL-8, MCP-l등)의 분비 등을 수행함으로써 염증반응을 매개하게 된다. 염증과정시 발생되는 여러 mediator 중 PGE2나 NO 및 TNF-$\alpha$ 등은 실험적 평가가 용이하여 이들 mediator 자체나 생성관련효소 (cyclooxygenase [COX] 및 nitric oxide synthase [NOS] 등)들은 현재항염증 치료제의 개발 연구시 주요 표적으로 연구되고 있다. 염증 반응은 지속기간에 따라 크게 급성염증과 만성염증으로 나뉘며, 삼출물의 종류에 따라서는 장액성, 섬유소성, 화농성 및 출혈성 염증 등으로 구분된다. 급성 염증 (acute inflammation)반응은 수일 내지 수주간 지속되는 일반적인 염증반응이라고 볼 수 있다. 국소반응은 기본징후인 발열과 발적, 부종, 통증 및 기능 상실이 특징적이며, 현미경적 소견으로는 혈관성 변화와 삼출물 형성이 주 작용이므로 일명 삼출성 염증이라고 한다. 만성 염증 (chronic inflammation)은, 급성 염증으로부터 이행되거나 만성으로 시작된다. 염증지속 기간은 보통 4주 이상 장기화 된다. 보통 염증의 경우에는 염증 생성 cytokine인 Th1 cytokine (IL-2, interferone [IFN]-$\gamma$ 및 TNF-$\alpha$ 등)의 생성 후, 거의 즉각적으로 항 염증성 cytokine인 Th2 cytokine(IL-4, IL-6, IL-10 및 transforming growth factor [TGF]-$\beta$ 등)이 생성되어 정상반응으로 회복된다. 그러나, 어떤 원인에서든 면역세포에 의한 염증원 제거 반응이 문제가 되면, 만성염증으로 진행된다. 이 반응에 주로 작용을 하는 염증세포로는 단핵구와 대식세포, 림프구, 형질세포 등이 있다. 암은 전세계적으로 사망률 1위의 원인이 되는 면역질환의 하나이다. 산화적 스트레스나 자외선 조사 혹은 암유발 물질들에 의해 염색체내 protooncogene, tumor-suppressor gene 혹은 DNA repairing gene의 일부 DNA의 돌연변이 혹은 결손 등이 발행되면 정상세포는 암화과정을 시작하게 된다. 양성세포 수준에서 약 5에서 10여년 후 악성수준의 암세포가 생성되게 되면 이들 세포는 새로운 환경을 찾아 전이하게 되는데 이를 통해 암환자들은 다양한 장기에 동인 오리진의 암세포들이 생성한 종양들을 가지게 된다. 이들 종양세포는 정상 장기의 기능을 손상시켜며 결국 생명을 잃게 만든다. 이들 염색체 수준에서의 돌연변이 유래 암세포는 거의 대부분이 체내 면역시스템에 의해 사멸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계속되는 스트레스나 암유발 물질의 노출은 체내 면역체계를 파괴하면서 최후의 방어선을 무너뜨리면서 암발생에 무방비 상태를 만들게 된다. 이런 이유로 체내 면역시스템의 정상적 가동 및 증강을 유도하게 하는 전략이 암예방시 매우 중요한 표적으로 인식되면서 다양한 형태의 면역증강 물질 개발을 시도하고 있다. 인삼은 두릅나무과의 여러해살이 풀로써, 오랜동안 한방 및 민간에서 원기를 회복시키고, 각종 질병을 치료할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는 대표적인 전통생약이다. 예로부터 불로(不老), 장생(長生), 익기(益氣), 경신(經身)의 명약으로 구전되어졌는데, 이는 약 2천년 전 중국의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에서 "인삼은 오장(五腸)을 보하고, 정신을 안정시키고, 혼백을 고정하며 경계를 멈추게 하고, 외부로부터 침입하는 병사를 제거하여주며, 눈을 밝게 하고 마음을 열어 더욱 지혜롭게 하고 오랫동안 복용하면 몸이 가벼워지고 장수한다" 라고 기술되어있는 데에서 유래한 것이다. 다양한 연구를 통해 우리나라에서 생산되는 고려인삼 (Panax ginseng)이 효능 면에서 가장 탁월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특별이 고려인삼으로부터 제조된 고려홍삼은 전세계적으로도 그 효능이 우수한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대부분의 홍삼 약효는 dammarane계열의 triterpenoid인 ginsenosides라고 불리는 인삼 saponin에 의해 기인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들 화합물군의 기본 골격에 따라, protopanaxadiol (PD)계 (22종) 및 protopanaxatriol (PT)계 (10종)으로 구분되고 있다 (표 1). 실험적 접근을 통해 인삼의 약리작용 이해를 위한 다양한 노력들이 경주되고 있으나, 여전히 많은 부분에서 충분히 이해되고 있지 않다. 그러나, 현재까지 연구된 인삼의 약리작용 관련 연구들은 심혈관, 당뇨, 항암 및 항스트레스 등과 같은 분야에서 인삼효능이 우수한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 그러나 면역조절 및 염증현상과 관련된 최근 연구결과들은 많지 않으나, 향후 다양하게 연구될 효능부분으로 인식되고 있다.

  • PDF

Respiratory Viral Infection and Bronchial Asthma (호흡기 바이러스 감염과 기관지 천식)

  • Hwang, Young-Sil;Lee, Jong-Deog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v.49 no.1
    • /
    • pp.18-29
    • /
    • 2000
  • 호흡기 바이러스 감염은 모든 연령층의 천식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데 영아에서 RSV는 천명을 야기하고 대부분 일시적이나 재발성 일수도 있다. 어릴 때 바이러스 감염은 면역체계 형성에 영향를 미쳐 알러지와 천식의 위험을 완하할 수있다고 한다. 또한 소아와 성인 천식에서 RV같은 감기 바이러스는 천식의 급성 증상을 유발한다. 호흡기 바이러스 감염에 대한 면역반응이, 기관지로 부터 바이러스 제거 기능외에 기도수축과 호흡기 증상에 관여한다고 한다. 이러한 변화가 일어나는 기전은 호흡기 바이러스가 proinflammatory 사이토카인과 매개체 생성을 유도하는 능력과 연관성이 있는 것 같고 이들이 상하기도 호흡기 증상 및 기도반응 변화에 관여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호흡기 바이러스 감염에 대한 면역반응을 요약하면 바이러스 감염으로 상피세포, 내피세포, 과립백혈구가 활성화되며, 상피세포는 사이토카인, 키모카인, 매개체들을 분비하여 항 면역 반응를 주도하다. 이와 같은 상피세포와 다른 기관지 세포들의 조기 활성화로 내피 세포에 유착분자 표현을 증가시켜 백혈구 동원 증가 및 혈관 투과성을 증가시켜 부종과 분비물을 증가시킨다. 바이러스 또는 바이러스 유발 사이토카인에 의해 활성화된 과립 백혈구, 대식세포, T세포들도 기도염증 증가, 기도폐쇄를 야기하고 기도반응을 증가시킨다. 세포독성 임파구에 의한 바이러스 감염세포의 분해, TGF-$\beta$ IL-10 같은 사이토카인에 의해 부분적으로 염증억제, 기도 remoldeling에 의한 기도구조의 재생등이 바이러스 감염후 기관지 기능의 지속적 변화를 결정한다. 끝으로 천식환자에서 RV 감염의 병인에 관한 기본적 문제는 RV감염이 정상인에서는 경한 증상을 나타내는 데 천식환자에서는 왜 심한 임상증상을 나타내는지 아직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다. 항 바이러스에 대한 면역반응이 천식환자에서 손상되었는지 또는 천식환자에서 RV감염에 의한 중증의 임상증상은 어떤 다른 세포가 관여하는지? 이들에 대한 답은 기도염증이 천식에서 어떻게 조절되는지 또한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악화된 증상을 어떻게 치료할 것인가에 대한 방향을 제시해줄 것이다.

  • PDF

The Effect of Cordycepin on the Product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in Mouse Peritoneal Macrophages (코디세핀이 마우스 복강 대식세포에서 전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생성에 미치는 영향)

  • Seo, Min-Jeong;Kang, Byoung-Won;Kim, Min-Jeong;Lee, Hye-Hyeon;Seo, Kwon-Il;Kim, Kwang-Hyuk;Jeong, Yong-Kee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v.46 no.1
    • /
    • pp.68-72
    • /
    • 2014
  • The effect of cordycepin purified from Cordyceps militaris on macrophage activation was investigated in peritoneal macrophages isolated from C57BL6 mice. Lipopolysaccharide-induced mouse peritoneal cells showed that cordycepin treatment increased the expression of the inflammatory cytokines interleukin (IL)-$1{\beta}$, IL-12, and tumor necrosis factor-${\alpha}$ (TNF-${\alpha}$), leading to early inflammation-mediated reactions, the activation of immunological responses, and T lymphocyte activation. T lymphocytes, activated by a greater production of IL-6, resulted in antibody-generating immune reactions, suggesting that cordycepin was effective at inducing immunological responses. Consistent with the increase in the inflammation-mediating factors including nitric oxide (NO) and hydrogen peroxide ($H_2O_2$), the toxic response of macrophages was activated and effectively induced inflammation. These findings demonstrate that cordycepin is involved in reducing cell injury provoked by inflammatory reactions. Therefore, these results suggest that cordycepin treatment of mouse peritoneal cells induces inflammation-mediated immunological responses and immunostimula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Cell-mediated Immunity and Subtypes of Lymphocyte in BAL Fluid and Peripheral Blood in Patients with Pulmonary Tuberculosis (폐결핵 환자의 말초 혈액 및 기관지 폐포세척액내의 임파구 아형과 세포성 매개면역과의 관계)

  • Uh, Soo-Taek;Cha, Mi-Kyung;Lee, Sang-Moo;Kim, Hyun-Tae;Chung, Yeon-Tae;Woo, Jun-Hee;Kim, Yong-Hun;Park, Choon-Sik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v.39 no.4
    • /
    • pp.334-342
    • /
    • 1992
  • Background: The activated T lymphocyte by inhalaed mycobacterial antigen may evoke cell-mediated immunity in patients with active pulmonary tuberculosis. These activated lymphocyte may influence the response of tuberculin-purified protein derivative (PPD) in skin test. But occasionally, anergy to PPD appear in patients with pulmonary tuberculosis in spite of active stage. Thus we evaluated the effect of change of subtypes of lymphocyte in bronchoalveolar lavage fluid (BAL) and peripheral blood on anergy to PPD in patients with active pulmonary tuberculosis. Method: We performed tuberculin skin test and flow-cytometry analysis of lymphocytes obtained from BAL fluid and peripheral blood in 11 healthy normal volunteers and 20 patients with active pulmonary tuberculosis. Results: 1) The composition of lymphocyte significantly increased in patients with active pulmonary tuberculosis when compared with that in healthy control ($25.2{\pm}4.8$ vs $6.5{\pm}1.3%$, p<0.01), but composition of monocyte significantly decreased ($69.6{\pm}5.7$ vs $89.2{\pm}1.4%$, p<0.05) in analysis of BAL fluid. 2)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compositions of cells in BAL fluid between responders and no-responders to PPD. 3) The compositions of CD3 (+), CD4 (+), CD3 (+) IL-2R (+), CD3 (+) HLA-DR (+) significantly increased in BAL fluid when compared with those in peripheral blood in patients with active pulmonary tuberculosis. But the composition of CDS (+), CD4/CDS were not different between BAL fluid and peripheral blood. 4) There were no correlations between response to PPD and compositions of cells and lymphocyte subtypes in BAL fluid and peripheral blood in all patients with tuberculosis, responders, and no-responders, respectively. Conclusion: From these results, we suggest no direct relationship between compositions of inflammatory cells in bronchoalveolar lavage fluid and we could not rule out the possibility of compartmentalization of activated lymphocyte involving in anergy to PPD in skin test in patients with active pulmonary tuberculosis.

  • PDF

Inflammatory Bowel Disease and Cytokine (염증성 장질환과 사이토카인)

  • Choi, Eun Young;Cho, Kwang Keun;Choi, In Soon
    • Journal of Life Science
    • /
    • v.23 no.3
    • /
    • pp.448-461
    • /
    • 2013
  • Inflammatory bowel disease, known as Crohn's disease and ulcerative colitis, is an unexplained disease characterized by chronic inflammation that repeats a cycle of relapse, improvement, and complications. The cause of inflammatory bowel disease is not clearly known, but it is predicted that a complex of various factors precipitate its occurrence. In particular, inflammatory mediators, such as cytokine, induce an increase in cell-mediated inflammatory responses. Focal tissue damage then occurs in the intestinal mucosa because of the weakening of the immune-modulating functions of cotton. Immune and inflammatory responses do not decrease appropriately but continue until they lead to chronic inflammation. Current research has focused on the cytokine genes, which have important roles in these inflammatory responses. Cytokine is a glycoprotein that is produced mostly in activated immune cells. It connects the activation, multiplication, and differentiation between immune cells, which causes focal tissue damage and inflammatory response. Moreover, butyrate, which originates in dietary fiber and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the intestinal area, shows control functions in the intestinal immune system by decreasing the proinflammatory cytokine and increasing the anti-inflammatory cytokine. Therefore,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molecular mechanism of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butyrate to comprehend the cytokine controlling abilities of butyrate in the immune cells. Butyrate is expected to have potential in new treatment strategies for inflammatory bowel disease.

Identification of Calretinin-immunoreactive AII Amacrine Cells in the Brazilian Opossum (Monodelphis domestica) (브라질산 주머니쥐(Monodelphis domestica) 망막 내에서의 calretinin 면역반응성을 가지는 AII 무축삭세포의 동정)

  • Jeong, Se-Jin;Jeon, Chang-Jin
    • Journal of Korean Ophthalmic Optics Society
    • /
    • v.19 no.2
    • /
    • pp.271-277
    • /
    • 2014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mmunoreactivity of calretinin in Brazilian opossum (Monodelphis domestica) retina. Calcium-binding protein calretinin is known to play a key role in calcium-mediated signal transduction. Methods: Experiments have been performed by standard immunocytochemical techniques on retina of the Brazilian opossum. Results: Calretinin-immunoreactivity was exhibited within the horizontal subpopulations, AII amacrine and ganglion cell subpopulations in the Brazilian opossum retina. Especially, all calretinin-immunoreactive AII amacrine cells also expressed parvalbumin. Conclusions: Similar to other mammalian retinas, calretinin-immunoreactivity was also observed within the AII amacrine cells in the Brazilian opossum retina. Thus, calretinin can be a marker of AII amacrine cells in the Brazilian opossum retina.

경구면역관용(經口免疫寬容)과 식이항원(食餌抗原)에 대한 면역의 조절

  • 김우호
    • Journal of the korean veterinary medical association
    • /
    • v.32 no.1
    • /
    • pp.43-51
    • /
    • 1996
  • 경구적으로 투여된 항원에 대해서 특이적으로 T세포의 기능과 항체산생이 억제되는 현상이 경구면역관용(oral tolerance)인 것이다. 지금까지 해석이 곤란하였던 이 현상에 대해서 최근 분자생물학적인 기법이 적용되기 시작한 결과, 이 현상에 관여하는 세포가 주로 $CD8^+$ T세포에의한 억제 혹은 $CD4^+$T세포의 불응답(unresponsiveness)에 기인하다는 것이 명백해졌다. 또한 각종 cytokine중 IFN$\gamma$, TGF$\beta$, IL-10 등이 이 현상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는 것이 밝혀지고 있다. 사실 경구면역관용은 말초면역관용을 야기한다는 것이 오래전부터 알려진 한 방도이다. 경구적으로 투여된 항원이 관용을 야기하는 일차적인 기전은 능동적인 억제의 발생 혹은 clone성 anergy(과민증에 대한 무감증)에 의거하는 것이다. 낮은 량의 경구투여항원은 능동적인 억제를 야기하기 쉬우나 반대로 높은 양의 경구투여항원은 clone성 anergy를 야기하는 경향이 있다. 능동적인 억제를 매개하는 조절세포는 경구면역관용에 의해서 격발된 후 TGF$\beta$및 IL-4와 같은 억제성 cytokine의 분비에 의해서 능동적 억제작용을 한다. 더구나 GALT(gut-associated lymphoid tissue)를 선별적으로 자극하는 항원은 Th2형 세포반응을 발생한다. 또한 이와같은 유도기구의 해석과 동시에 사람에서 면역반응의 이상으로 야기되는 관절 rheumatism이나 다발성경화증(multiple sclerosis) 그리고 각종 allergy도 이 경구면역관용을 이용하여 치료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는 것이다.

  • PDF

Effects of HYEBATON, an Extract from Herb Mixture Containing Sunflower, on Immune Activity and Metabolism of Glucose and Lipid (해바라기를 주원료로 한 복합조성물(해바톤, HYEBATON)의 면역활성 증진효과와 당뇨 및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

  • 조성기;정차권;변명우
    • Food Industry And Nutrition
    • /
    • v.7 no.3
    • /
    • pp.27-34
    • /
    • 2002
  • 해바라기를 주원료로 한 복합조성물인 해바톤(HYE-BATON, (주) 새벽을여는사람들)의 면역활성 증진효과와 당뇨 및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시험관 내에서 HYEBATON을 첨가하여 먼역세포를 배양한 결과 면역세포가 현저하게 활성화되었다. 생쥐에 HYEBATON을 투여한 결과 세포 매개성 면역반응이 증진되었으며, 암세포 이식 생쥐에서 종양의 생장을 억제시켜 생존기간을 연장시키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HYEBATON이 혈당과 지질 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흰쥐에서 살펴보았다. 쥐를 정상식이군, streptozotocin (STZ) 투여에 의한 당뇨군, 고지방식이군으로 나누어 HYEBATON을 7주간 투여하였다. 경구포도당 내성 검사에서 HYEBATON은 당뇨군의 증가된 공복시 혈당을 감소시켰으며, 경구로 포도당을 투여 시에도 당뇨군의 혈당을 계속 낮게 유지시켰다. HYE-BATON 이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HYE-BATON은 정상식이군, 당뇨군, 고지방 식이군의 혈중 및 간의 콜레스테롤과 지질의 양을 유의성 있게 감소시키거나 혹은 감소시키는 영향으 ?보였다. 한편, 시험관내 유전독성시험 및 생지의 급성독성시험에서 HYE-BATON은 안전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HYEBATON은 면역활성 증진효과 뿐만아니라 당뇨 쥐의 혈당 및 지질대사 개선효과를 보였으므로, 면역증징 및 당뇨와 지질대사 개선을 위한 기능성 식품으로서 활용이 기대된다.

  • PDF

Differential Effects of Transforming Growth Factor-β on NKG2D Ligands Expression and NK Cell-mediated Immune Responses in Primary and Metastatic Colon Cancer (원발성 및 전이성 대장암에서 TGF-beta가 NKG2D 리간드 발현과 NK 세포 매개 면역반응에 미치는 영향)

  • Eun-Jung Yun;Yu-Rim Kim;Seong Jun Park;Sang-Yull Lee;Jaeho Bae
    • Journal of Life Science
    • /
    • v.33 no.2
    • /
    • pp.149-157
    • /
    • 2023
  • Transforming growth factor-β (TGF-β) is a multifunctional cytokine that affects not only the survival and growth of cancer cells but also the activity of immune cells. Although it has been generally accepted that cancer cell-derived TGF-β could promote the survival and growth of early cancer cells and have immunosuppressive roles, it has been known that TGF-β has differential effects according to the type or stage of cancer cells. Therefore, it is hard to clearly define its role in cancer progression and immune response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GF-β signaling on the expression of five NKG2D ligands and the NK cell-mediated anticancer immune response in the primary colon cancer cell line KM12C and its two metastatic cell lines, KM12SM and KM12L4A. At the surface protein level, exogenous TGF-β decreased the expression of MICA, MICB, ULBP1, and ULBP2, and galunisertib increased the expression of MICA, MIAB, ULBP1, ULBP2, and ULBP3 in KM12C. However, KM12SM and KM12L4A showed no significant changes in the expression of NKG2DLs after treatment with TGF-β or galunisertib. TGF-β signaling inhibition via galunisertib improved the NK cell-mediated anticancer immune response against KM12C but did not show a significant response to KM12SM and KM12L4A. Therefore, the suppression of TGF-β signaling could improve the NK cell-mediated anticancer immune response against KM12C. However, an increase in NKG2DLs expression and an enhanced NK cell-mediated cancer immune response is hard to expect due to the alteration of TGF-β signaling in KM12SM and KM12L4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