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세포활성

검색결과 6,209건 처리시간 0.039초

Tetrahymena pyriformis에 의한 마우스 복강내 대식세포의 활성화 (Effect of in vivo administration of Tetrahymena pyriformis on the in vitro toxoplasmacidal activity of mouse peritoneal macrophages)

  • 김정태;정평림;임경일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9권2호
    • /
    • pp.129-138
    • /
    • 1991
  • 자유생활 담수 섬모충류의 일종인 Tetrahymenn Pyriformis는 비특이적으로 복강 대식세포를 활성화하여 미생물 살멸효과가 있음이 밝혀졌으나 한국에서 순수분리 배양된 GL주(주)에 대한 평가는 시행된 바 없어 본 섬모충의 추출액을 ICR 마우스 복강 내로 주사하여 복강 대식세포를 활성화한 다음 실험실 내에서 표적 기생 원충인 Toxoplasma gondii (RH 주)를 접촉시켜 시간별로 Togoplasma 살멸 효과를 보아 대식세포의 환성도를 평가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표적 기생 원충으로서 살아있는 Toxoplasma 영양형을 주입하였을 경우, 대식세포 활성제 처리 실험군은 물론 대조군에서도 모두 처리 1분 이내에 Toxoplasma가 숙주세포내로 침입 내지 탐식되었으며 이때 탐식지수 범위는 15∼51%였다. 대조군에서는 배양 시간에 따라 100개의 대식세포당 총 탐식 표적 기생충 수가 증가하였으나 활성제 처리군에서는 배양 20시간에 그 수가 모두 줄었고 Tetrahymena 처리군에서는 총 표적 기생충 수가 14, 탐식지수 10%로서 가장 왕성한 대식세포 활성도를 나타내었다. 화학 함성 활성제로서는 dimethyldioctadecylammonium bromide (DDA)가 Tetrakymena와 대차 없는 대식세포 활성효과를 보였다. 표적 기생 편충으로서 열처리 Tonxplasma 영양형을 주입하였을 경우, 대조군을 포함한 모든 실험군에서 처리 1분 이내에 역시 Toxoplasma 가 숙주 세포에 의해 탐식되었으며 탐식지수 범위는 8∼25%여서 살아있는 영양형을 처리하였을 때보다 낮은 범위를 보였다. 이때 Tetrakymena 처리군에서는 탐식지수 4%, 대식세포 100개당 표적 세포 총수가 4로서 Texoplasma 추출액 처리군과 함께 가장 우수한 활성제로 평가되었으며 화학합성 활성제로서는 DDA, dextran sulfate, complete Freund's adjutant 순으로 환성 효과가 높았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T. pyriformis (GL 주)는 화학합성 활성제보다 우수한 Toxoplasma 살멸 효과를 나타내었고, 실험실 내에서 대량 무균 배양될 수 있어 앞으로 대식세포 활성제로서, 나아가 Toxopzasma 감염 억제제로서 널리 이용될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 PDF

Lactobacillus plantarum 균체 중 항보체 활성물질의 특성과 작용양식 (Characterization and Action Mode of Anti-Complementary Substance Prepared from Lactobacillus plantarum)

  • 김장현;신광순;이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290-295
    • /
    • 2002
  • 김치 및 발효유 제품으로부터 분리한 유산균과 공시균주 12종을 대상으로 보체 용혈 분석법을 이용하여 면역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보체계 활성화(항보체 활성, $TCH_{50}$) 정도를 측정한 결과, 김치로 부터 분리한 Lactobacillus plantarum이 타 유산균 종에 비해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들 균주로 부터 조제된 세포벽 획분의 경우 세포질 획분보다도 높은 활성을 보였으며 각 획분의 활성은 농도 의존적 경향을 나타내었다. L. plantarum의 세포질 획분과 세포벽 획분의 경우 pronase 소화 후에는 활성의 변화가 없는 반면, 과요오드산 처리에 의해서는 급격한 활성의 감소를 나타내는데 이들 결과로부터 L. plantarum의 세포질과 세포벽 획분에 의한 보체계 활성화가 주로 다당 영역에 기인함을 알수 있었다. 한편 anti-human C3를 이용한 2차원 면역전기영동에 의해, $Ca^{++}$ 이온을 제거한 상태에서도 세포질과 세포벽 획분에 의한 C3 활성화 산물을 동정할 수 있었다. 또한 L. plantarum의 세포벽 획분에 의한 항보체 활성은 동일 조건에서 활성을 유지한 반면, 세포질 획분에 의한 활성화 정도는 동일 조건에서 상당히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L. plantarum 세포벽 획분의 보체계 활성화 양식은 주로 alternative pathway의 활성화에 의한 것이며, 세포질 획분에 의한 활성화는 classical pathway와 alternative pathway 양 경로를 경유함을 알 수 있었다.

삼백초 물 추출물과 유기용매 분획물의 항산화, 항염증 및 PMA에 의해 유도된 MMP-2 및 MMP-9활성 침윤 억제 효과 (Effect of Anti-oxidant, Anti-inflammatory and Anti-invasive of PMA-induced Matrix Metalloproteinase (MMP-2) and MMP-9 Activities of Water Extract and Solvent Fractions of Saururus Chinensis)

  • 김준호;김은정
    • 생명과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584-591
    • /
    • 2016
  • 삼백초는 항산화 활성을 갖는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을 포함하고 있는 여러해살이 식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삼백초 물 추출물과 유기용매 분획물의 항산화 활성, 항염증 활성 및 PMA에 의해 유도된 MMP-2 및 MMP-9활성 억제 효과를 조사하였다. 시료들은 삼백초 물 추출을 헥산(hexane), 클로로포름(CHCl3), 에틸 아세테이트(Ethyl acetate), 부탄올(butanol) 및 물(water)과 같은 용매로 분획화하여 사용하였고, 물 분획물의 수득율이 9.25%로 가장 높았다. 항산화 활성은 DPPH assay, 세포 생존율 측정은 MTS assay, 항염증 활성은 마우스 대식세포 Raw 264.7세포에서NO 생성 그리고 MMP-2 및 MMP-9의 mRNA 발현 및 단백질 활성 억제는 인간구강편평세포암종 YD-10B 세포에서 RT-PCR과 zymography방법을 통해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MMP-2/-9 활성은 PMA에 의해 YD-10B세포에서 증가하였다. PMA 처리된 YD-10B 세포에서,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물이 증가된 MMP-2/-9의 mRNA 발현 및 단백질 활성을 유의하게 억제하였다. 그리고 항산화 활성도 에틸아세트 분획물이 73.38%의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세포 독성을 나타내지 않는 농도에서, 에틸아세트 분획물이 Raw 264.7세포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유의하게 항염증 활성을 보였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삼백초 물 추출의 에틸아세트 분획물이 구강암의 암 침윤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적인 암 예방 및 치료를 위한 항암제로서의 가능성을 암시하고 있다.

효모 세포의 Tripolyphosphatase와 Polyphosphatase 활성도 및 Volutin 과립의 세포학적 관찰 (Cytochemical Observation of Volutin Granules and Activities of Tripolyphosphatase and Polyphosphatase in Saccharomyces uvarum)

  • 이기성;최영길
    • 한국균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141-148
    • /
    • 1985
  • 이 연구는 효모 세포를 catabolic repression과 derepression시켰을 때, poly-P 합성 및 분해에 직접 관련된 tripoly-Pase와 poly-Pase의 활성도 동태를 조사하여 세포내 인산 대사 조절양상을 해석하고자 하였다. 또 TLC 방법을 통하여 무기 폴리인산을 분석하고, 배양시기 및 인산 첨가배양에 따른 무기폴리인산의 세포내 축적 상태, 세포내 위치, 전환과정을 조사하기 위해 염색을 통한 volutin 과립의 세포학적 관찰을 행하였다. Tripoly-Pase 활성도는 catabolic repression시킨 세포에서 derepression된 세포에 비하여 6배 이상 증가하였으며, poly-Pase 활성도는 산 불용성 무기폴리인산인 poly-P-"B"가 최대 축적량을 나타날 시기에 최대의 활성도를 보였다. Linear poly-P의 분석에서는 tripoly-P가 주로 검출되었고 n>8이상인 poly-P가 다량 검출되었다. catabolic derepression시킨 세포에서 volutin과립의 형성을 세포학적으로 관찰하였을 때, 세포벽에 존재하는 산 불용성 무기 폴리인산이 우선적으로 합성되었으며, 배양함에 따라 세포질, 핵 또는 액포로 전이되었다.

  • PDF

Vipera Lebetina Turanica 사독의 PC-3 세포성장 억제 (Snake Venom from Vipers Lebetina Turanica Inhibits Tumor in a PC-3 Cell Xenograft Model and PC-3 Cell Growth in Vitro)

  • 강준;송호섭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24권2호
    • /
    • pp.1-14
    • /
    • 2007
  • 목적 : 이 연구는 Vipera lebetina turanica의 사독약침파(蛇毒藥鍼波)(Snake venom toxin, SVT)이 in vitro에서 $NF-{\kappa}B$의 활성억제와 apoptosis 관련 단백질의 발현 조절을 통하여 세포자멸사(Apoptosis)를 유도하는지 in vivo에서 또한 전립선 암세포주인 PC-3 세포의 성장을 억제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 SVT를 처리한 후 PC-3의 성장억제를 관찰하기 위해 WST-1 assay, CCK-8 assay를 시행하였고,Apoptosis evaluation에는 DAPI, TUNEL staining assay를 시행하였으며,Apoptosis regulatory proteins의 변화 관찰에는 western blot analysis를 시행하였고,apoptosis와 연관된 $NF-{\kappa}B$의 활성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 EMSA시행하였으며,SVT의 핵내이동을 관찰하기 위해 Immunofluorescence Staining, Confocal immunocytochemistry를 시행하였으며,전립암세포의 종양형성에는 흉선을 제거한 쥐에 Tumorigenecity study를 시행하였다. 결과 : PC-3 세포에 SVT를 처리한 후,전립선 암세포의 성장,Apoptosis의 유발,Apoptosis관련 단백질의 발현,$NF-{\kappa}B$의 활성,SVT의 PC-3세포 핵내 이동여부 및 흉선제거 후 PC-3 세포를 이식한 쥐의 종양형성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PC-3 세포에서 SVT를 처리한 후 세포성장이 억제되고,세포자멸사가 유도되며,조절인자인 p53, caspase-3, -9는 증가되었고,Bcl-2는 감소되었다. 2. PC-3 세포에서 SVT를 처리한 후 $NF-{\kappa}B$의 활성이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3. DAPI로 염색된 상태에서 SVT가 PC-3 세포의 핵내로 이통되는 것이 관찰되었다. 4. 흉선제거 후 전립선 암세포주를 이식한 쥐에서 SVT를 피내로 주입한 결과 전립선암의 크기와 무게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결론 : 이상의 결과는 SVT가 $NF-{\kappa}B$의 활성 억제를 통하여 인간 전립선암세포주인 PC-3의 세포자멸사를 유발함으로써 증식억제 효과가 있음을 입증한 것이며,이를 재확인한 생체 연구에서의 긍정적인 결과는 향후 SVT의 전립선암의 예방과 치료에 대한 효과적인 치료제 개발에 초석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육미지황환(六味地黃丸) 약침액(藥鍼液)의 사람 피부아세포의 콜라게나제 활성 및 프로콜라겐 합성과 티로시나제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Yukmigeehwang-hwan Pharmacopuncture Extracts on the Collagenase Activity and Procollagen Synthesis in HS68 Human Fibroblasts and Tyrosinase Activity)

  • 이세나;김명규;김명희;김형준;조학준;김이화;임강현
    •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 /
    • 제28권1호
    • /
    • pp.39-46
    • /
    • 2011
  • 본 연구는 육미지황환(六味地黃丸) 약침액(藥鍼液)가 사람 피부 섬유아세포의 콜라게나제 활성 및 프로 콜라겐 합성에 미치는 영항과 티로시나제 활성에 미치는 효과를 측정하고자 실시하였다. 방법 : HS68 사람 정상 섬유아세포에 UVB 조사 후 육미지황환(六味地黃丸) 약침액(藥鍼液)가 type I procollagen 생성과 콜라게나제 효소활성에 미치는 효능과 티로시나제 효소활성에 미치는 효능을 평가하였다. 결과 : 육미지황환(六味地黃丸) 약침액(藥鍼液)은 UVB 조사된 세포의 콜라게나제 효소활성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억제하였고, 티로시나제 활성과 L-DOPA oxidation 활성 또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억제하였다. 그러나 티로시나제와 L-DOPA oxidation 억제활성의 정도는 미약하였다. 결론 : 육미지황환(六味地黃丸) 약침액(藥鍼液)의 콜라게나제 억제효능은 주름개선 약침 치료에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전통발효식품으로부터 Chitin 분해 미생물의 분리 및 특성 규명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Chitinoloytic Strain, Bacillus atrophaeus CJ-3.)

  • 고보경;최인순;이상현;임채오;이성호;갈상완;최영주
    • 생명과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501-508
    • /
    • 2004
  • 전통발효 식품인 간장으로부터 chitinase활성이 높으면서 갈변반응을 일으키는 균주인 CJ-3를 분리하여 갈변반응생성물이 면역기능, 항산화력 및 세포활성에 미치는 영향과 생화학적 특성을 규명하였다. 분리된 CJ-3 균주는 16S rDNA 염기서열분석에 의하여 Bacillus atrophaeus로 동정되었으며 분리된 균주의 분자량은 대략 31.0 kDa으로 colloidal chitin(0.5, 1.0, 2.0%)의 첨가에 의하여 chitinase 활성이 현저히 증가되었다 B. atrophaeus CJ-3에 의해서 유도되는 갈변반응물 200${\mu}\ell$ 첨가로 LPS에 의하여 유도되는 nitric oxide (NO) 활성을 45%까지 감소시켰다. MTT 분석을 통한 세포활성에서도 갈변반응물은 LPS에 의하여 세포활성을 정상수준으로 회복하였다. CJ-3. 균주의 DPPH 전자공여능법에 의한 항산화력은 갈변반응에 의하여 약 55% 증가하였다 . 이러한 결과들은 갈변반응생성물은 면역기능 및 세포활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추정된다. 분리된 균주의 최적 생육조건은 최적온도 37$^{\circ}C$, 최적 pH 7.0 및 염 농도는 9% NaCl농도까지는 잘 생육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분리된 균주의 주요 intracellular 유리아미노산은 glutamate로 나타났다.

Curcumin과 관련 성분들의 산화방지활성과 세포독성 분석 및 구조와 활성 연관성 조사 (Antioxidant and cytotoxic activities of curcumin and its analogs: An exploration of structure-activity relationships)

  • 이보현;김희정;홍정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3권4호
    • /
    • pp.463-469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curcumin과 관련 구조물질인 ferulic acid, DBM, THC을 사용하여 이들의 산화방지활성과 세포독성을 나타내는 활성과 구조 간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각종 라디칼 소거활성과 지질산화 억제 반응에서 DBM은 거의 활성을 나타내지 못해, methoxy phenolic기가 중요한 기능 구조로 나타났으며 α, β-unsaturated carbonyl기도 이들의 산화방지 활성에 일부 관여하는 것으로 보인다. Curcumin 유도체들의 세포독성과 이들의 산화방지활성 간에는 연관성이 거의 없었으며, ROS의 생성에는 α, β-unsaturated carbonyl기가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나 세포독성의 직접적인 원인이 아닌 것으로 판단된다. 세포독성 유발에는 β-diketone 구조가 중요한 역할을 하였으며, SOD/catalase 등에 의한 구조의 안정화가 세포독성을 더욱 강화시키는 것으로 판단된다. Curcumin과 ferulic acid의 조합처리에 의해 독성이 증가한 반면, DBM과 curcumin을 같이 처리 시 독성이 상쇄되었으며 THC과 curcumin은 서로 부가적인 세포독성을 나타냈다.

미생물 유래 Dykellic Acid가 담배 녹색배양세포의 생장 및 Superoxide Dismutase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ykellic Acid Derived from Microorganism on the Cell Growth and Superoxide Dismutase Activity in Tobacco Photomixotrophic Cultured Cells)

  • 곽상수;권혜경;권석윤;이행순;이호재;고영희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33-136
    • /
    • 2000
  • 미생물에서 분리한 dykellic acid가 식물세포에 미치는 생리적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담배 광혼용영양배양세포(photomixotrophic cultured cells, PM세포)에 dykellic acid를 다양한 농도로 처리하여 세포의 생장과 단백질 함량 및 superoxide diamutase (SOD)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담배 PM세포는 0.7 mg/L 2,4-D, 0.3 mg/L kinetin, 30g/L sucrose, 200 mM NaCl를 함유한 MS배지에서 $25^{\circ}C$, 광조건에서 현탁배양 (100 rpm) 하였다. 계대배양시 화합물을 처리한 후 12일째의 세포생장 억제와 배지의 이온 전도도를 측정한 세포막손상의 결과는 일치하였으며, 화합물은 세포생장을 강하게 억제시켰다 ($IC_{50}$/, 약 20 $\mu$M). Dykellic acid 처리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단위세포 무게당 단백질 함량과 SOD 비활성도를 현저히 증가시켰다. 이상의 결과로 dykellic acid는 식물세포 생장을 저해하는 활성을 가지고 있으며, 담배 PM세포는 적은 양으로도 천연물의 생리활성을 평가할 수 있는 유용한 생물소재임이 확인되었다.

  • PDF

한약재 추출물의 조골세포 분화 및 파골세포 형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edicinal Herb Extracts on Osteoblast Differentiation and Osteoclast Formation)

  • 임남경;김현정;김미진;이은주;김혁일;이인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2권5호
    • /
    • pp.637-642
    • /
    • 2010
  • 천연물 유래의 생약에서 조골세포 증식을 높이면서, 파골세포의 분화 억제에 효과가 있는 시료를 검색하고자 15종의 한약재추출물의 효과를 검토해 보았다. Mouse calvaria 유래의 osteoblastic cells를 이용하여 세포 생존률 및 ALP 활성을 측정하였으며, 또한 마우스 골수 세포를 이용하여 M-CSF와 RANKL을 처리하여 파골세포의 분화를 유도한 후, 세포 생존율과 TRAP효소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두충, 곽향, 개다래, 형개, 정공등 추출물은 조골세포 증식 및 ALP 활성를 증가시켰으며, 파골세포 활성을 나타내는 TRAP활성이 억제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이 추출물들은 조골세포의 기능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파골세포의 기능을 억제하여 골 흡수와 관련된 질환과 함께 골 질환 예방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되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