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세포활성

검색결과 6,217건 처리시간 0.026초

Saccharomyces cerevisiae CY 균주에 의한 Phytase의 생성과 반응특성 (Production and Reaction Properties of Phytase by Saccharomyces cerevisiae CY strain)

  • 서성원;인만진;오남순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8권3호
    • /
    • pp.228-232
    • /
    • 2005
  • Saccharomyces cerevisiae CY 균주에 의한 phytase의 생성은 진탕배양인 경우가 정치배양에 비하여 약 2배의 생성도를 보였다. CY 균주의 phytase는 세포내 효소활성이 세포외 효소활성에 비하여 약 3-4배 높게 나타났으나, 포도당이 1%로 저농도로 첨가된 배지에서는 세포내 효소활성과 세포외 효소활성의 분포비율이 1 : 1 정도로 유사한 비율로 나타났다. 세포내외로 생성된 총 phytase 활성은 포도당의 첨가농도에 상관없이 대략 1,000 mU/ml에 이르렀으며, 건조균체당 효소활성은 지수성장 말기에 170-190 mU/mg-DCW 범위에서 최대활성을 보였다. CY 균주의 세포내 효소의 최적 반응pH는 3.5이었으며, 최적 반응 온도는 $37-40^{\circ}C$이었다. 배양액에 존재하는 phytate는 성장하는 CY 균주에 의하여 배양 36시간째 4.3 mM phytate의 약 95%가 분해되었으며, 0.4 mg-DCW/ml의 균체농도를 갖는 현탁균체 반응액에서는 분해반응 12시간째 phytate의 약 90% 이상이 효율적으로 분해되었다.

Streptomyces sp. AO-0511이 생산하는 Herbimycin A 및 Dihydroherbimycin A의 이화학적 특성 및 생물 활성 (Chemical Characteristics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Herbimycin A and Dihydroherbimycin A Produced by a Soil Isolate Streptomyces sp. AO-0511)

  • 장흥배;김세찬;김재헌
    • 미생물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47-53
    • /
    • 2006
  • 한국 토양에서 방선균주를 분리하고 화학 분류 및 16S rDNA 염기서열을 통하여 Streptomyces 속 균주임을 알아내고 Streptomyces sp. AO-0511로 명명하였다. 이 균주가 생산하는 herbimycin A 및 dihydroherbimycin A의 몇 가지 이화학적 성질과 생물 활성을 측정하였다. 두 물질은 모두 산성 조건에서 안정성을 나타냈으며, dihydroherbimycin A는 herbimycin A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열 안정성을 지니며 극성 또한 높은 물질로서 TLC 상의 Rf간이 낮았다. Herbimycin A와 dihydroherbimycin A는 모두 Bacillus subtilis ATCC 6633 및 Micrococcus luteus ATCC 9341에 대하여 약한 저해 활성을 나타내었고, 다른 미생물에 대해서는 저해 활성을 나타내지 앓았다. 항암 활성에 있어서 두 물질은 폐암 세포인 AS49세포와 백혈병 세포인 HL-60세포에 대해서 강력한 중식 저해 활성을 나타내었다. L5178Y및 P388세포를 사용하여 세포 독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두 물질은 대조 물질인 camptothecin에 비해서 항암 활성을 가지면서도 비교적 안전한 물질임을 알려 주고 있다.

Bisphenol S가 돼지정자와 난소내 과립막세포의 생존성과 활성산소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Bisphenol S on Viability and Reactive Oxygen Species of the Sperm and Ovarian Granulosa Cells in Pigs)

  • 이유섭;이승형;양부근
    • 동물자원연구
    • /
    • 제29권4호
    • /
    • pp.166-171
    • /
    • 2018
  • 본 연구는 돼지의 정자와 난소내 과립막세포에서 bisphenol S(BPS)가 생존성과 활성산소 생산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연구하였다. 돼지정액은 0, $5{\mu}M$ BPS를 처리하여 3, 6시간동안 배양하였다. 정자의 생존성은 SYBR14/PI를 이중 염색하여 분석하였으며, 활성산소의 생산을 측정하였다. 또한, BPS(0, 5, 10, $20{\mu}M$)를 과립막세포에 처리하여 24, 48, 72시간동안 처리하였다. 처리 후, 세포의 생존율과 활성산소 생산(단, $5{\mu}M$ BPS)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돼지에서 정자의 생존율은 BPS에 의해 감소하였고, 활성산소의 생산은 모든 처리시간에서 증가하였다(p<0.05). 또한 과립막세포의 생존은 BPS에 의해 억제되었고, 활성산소는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BPS의 노출은 정자의 활성과 번식과 관련된 세포에 나쁜 영향을 미칠 것이다.

RAW 264.7 세포에서 레드비트의 항산화 및 항염증 등의 생리활성 연구 (The Study on the Physiological Activities of Beta vulgaris such as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in RAW 264.7 cells)

  • 지중구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309-317
    • /
    • 2021
  • 본 연구는 침출차 원료로 레드비트를 활용하기 위해서 세포독성, 항염증 및 항산화 등의 활성을 조사하고자 설계되었다. 항산화 효능은 DPPH 및 ABTS 라디컬 소거 활성을 분석하여 평가하였다. RAW 264.7 세포를 통해 MTT 분석으로 세포 생존율을 평가하고 LPS로 유도하여 활성산소종과 염증매개체(일산화질소, TNF-α, IL-6 등)의 생성량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DPPH 및 ABTS 라디컬 소거활성은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였으며, 모든 농도에서 세포독성이 없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LPS로 유도한 RAW 264.7 세포에서 활성산소종(ROS)과 일산화질소(NO), IL-6, TNF-α 생성량을 유의적으로 감소시켰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는 레드비트가 안전한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를 가진 침출차의 원료로서 높은 잠재력을 가지고 있음을 시사한다.

에스트로젠과 프로게스테론이 골모세포의 증식과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strogen and Progesterone on the Proliferation and Activity of Osteoblastic cells Abstract)

  • 하국봉;김세원;손우성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1권2호통권85호
    • /
    • pp.237-248
    • /
    • 2001
  • 치아이동에 대한 생력학적 반응은 골 형성과 재형성의 조합이라 할 수 있다. 골 형성과 흡수에는 국소적으로 작용하는 여러 부분비 인자가 관여한다. 대표적인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젠과 프로게스테론도 그 중의 한 인자로 성인 여성은 생리, 임신, 폐경 등 상태에 따라 체내 성호르몬 농도가 달라진다. 따라서 이러한 농도의 변화에 따라 골조직이 영향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골모세포는 골흡수를 일으키는 호르몬인 PTH, Vit $D_3$ 등에 일차적으로 반응함으로써 골형성 뿐만 아니라 골흡수에도 일정한 역할을 하고 있어 파골 세포에 영향을 주는 부분비 인자도 추측해 볼 수있다. 본 연구에서는 ROS17/2.8 및 HOS 세포주를 배양하면서 에스트로젠 및 프로게스테론 등 여성 호르몬을 처리한후 골모세포의 증식과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에스트로젠은 HOS 세포의 증식을 억제하였으며 ROS17/2.8 세포의 증식은 촉진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2. 에스트로젠은 HOS 세포의 alkaline phosphatase 활성을 증가시켰고 ROS 세포에서는 효소활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프로게스테론은 HOS 및 ROS17/2.8 세포 모두의 증식을 억제하였으며 골모세포의 alkaline phosphatase 활성에는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4. 에스트로젠과 프로게스테론은 골모세포내에서 생성되는 superoxide, nitric oxide 및 gelatinase 활성 등 골모세포의 기능에는 유의한 변화를 일으키지 않았다.

  • PDF

Lycopene의 새로운 혈관내피세포 생리활성 (Novel Function of Lycopene in Vascular Endothelial Cell)

  • 조진구;김성현;서정화;안선영;정은실;박헌용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7호
    • /
    • pp.1093-1099
    • /
    • 2010
  • 항암 효과와 항산화 기능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진 lycopene은 심혈관에서의 기능이 현재까지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lycopene의 심혈관 기능을 알기 위해 혈관내피세포를 이용해 다양한 세포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lycopene은 내피세포의 성장 및 이동을 촉진하였으나 세포사멸에는 영향이 없었다. 또한, 백혈구의 혈관내피세포 부착을 억제하였고 내피세포 내 신호전달물질인 MAPK들의 활성을 촉발하였다. MAPK의 활성 억제제를 이용한 신호전달기전 연구실험 결과, ERK와 p38 MAPK의 활성은 세포성장에 관여하고, JNK의 활성은 세포이동에 관여함을 확인하였다. 종합하면, lycopene은 혈관내피세포의 신호전달 물질인 MAPK들를 통해 세포성장 및 이동을 촉진시키며, LPS에 의한 THP-1의 내피세포 부착을 억제 하는 등 혈관내피세포의 다양한 생리활성을 조절한다. Lycopene의 이러한 혈관내피세포 기능들은 lycopene이 혈관질환 치료제로 응용될 가능성이 있음을 의미한다.

Rhodotorula glutinis K-501에 의해 생산된 세포외지질의 생체계면활성제로서 물리화학적 특성 (Physiochemical Properties of Extracellular Lipid Produced by Rhodotorula glutinis K-501 as a Biosurfactant)

  • 박평규;채희정;김의용
    • KSBB Journal
    • /
    • 제13권1호
    • /
    • pp.65-70
    • /
    • 1998
  • 지질 생산 효모인 Rhodotorula glutinis K -501이 생산하는 세포외지질(extracellular lipid)의 물리화학적 성질을 조사하여 생체 계면활성제로서의 응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분석실험 결과 생산된 세포외지질은 당지질계 물질임을 알 수 있었다. 세포외지질의 임계미셀농도와 표면장력은 각각 89mg/L와 31dyne/cm로서 계면활성제로서 매우 우수한 표면활성을 가지고 있었으며 넓은 범위의 pH에서 표면장력의 값은 일정하였다. 상용 계면활성제인 Tween 80과 Triton X-100에 비하여 세포외지질은 각각2-3배 높은 유화도와 1.3배 높은 분산력을 가지고 있었다.

  • PDF

당근 현탁배양세포의 세포벽 형성에 있어서 다가양이온의 작용기작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Action Mechanism of Polycation in Cell Wall Formation of Suspension Cultured Cells of Daucus carota)

  • 표병식;강영희
    • KSBB Journal
    • /
    • 제7권3호
    • /
    • pp.209-215
    • /
    • 1992
  • 당근 현탁배양세포에서 세포벽 합성 효소인 GSII의 활성에 다가양이온의 작용기작을 조사하였다. 다가양이온의 특성을 가진 poly-L-Iysine과 poly-L-ornithine은 GSII의 활성을 40~50% 정도 촉진 시켰으며, ATP도 NaF도 이와 비슷한 결과를 나타냈다. 한편 poly-L-Iysine과 poly-L-ornithine은 막투과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으며, protein kinase의 활성제인 TPA는 GSII의 활성을 대조구에 비해 35%정도 증가시켰고 억제제인 H-7은 30%정도 감소시켰다, 이러한 결과들은 다가양이온이 인산화 과정을 통해 GSII의 활성을 증가시켜 세포벽의 합성을 증진시키리라 사료된다.

  • PDF

생쥐 대식세포의 K562 종양세포치사 활성에 미치는 인삼 분획물의 영향 (Effects of a Ginseng Saponin Fraction on the Tumoricidal Activity of Murine Macrophage Against K562 Cells)

  • 김웅;정노팔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13권1호
    • /
    • pp.24-29
    • /
    • 1989
  • 본 실험에서는 대식세포에 의한 K562 종양세포의 치사에 미치는 인삼 분획물들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험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LPS만을 처리하여 주어 종양세포의 치사 활성을 유도한 대식세포보다도 LPS 와 saponin을 복합처리하여준 대식세포가 K562 종양세포에 대하여 더 높은 종양 치사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인삼 분획물 즉, total, diol, triol saponin 모두 같은 양상을 나타내었다. 2. 대식세포없이 배양엑에 인삼 saponin 만을 처리하여 주었을 경우, 인삼 saponin 이 K562 종양세포에 대한 치사작용을 나타내지 않았다. 3. 이러한 결과로 인삼 saponin이 대식세포를 통하여 K562 세포 치사 활성을 증가시킨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

후박에서 추출한 Obovatol의 염증매개 생성의 억제와 세포자멸사를 통한 Human Prostate Carcinoma PC-3 및 LNCap 세포의 세포증식에 대한 영향 (Obovatol Extracted from Magnolia Obovata Inhibits Inflammation Mediator Generation and Prostate Carcinoma PC-3, LNCap Cell Growth Through Induction of Apoptotic Cell Death via Inactivation of $NF-{\kappa}B$)

  • 김군중;송호섭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24권2호
    • /
    • pp.15-29
    • /
    • 2007
  • 목적 : 후박(厚朴)(Magnolia Obovata)에서 추출한 낮은 농도의 Obovatol 약침액의 RAW264.7 세포에서 LPS로 유발된 염증,$TNF-{\alpha}$로 유발된 human Prostate carcinoma PC-3 및 LNCap 세포의 세포증식에 대한 영향과 그 기전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 RAW264.7 세포에서 LPS로 염증을 유발하고 낮은 농도의 Obovatol 약침액을 처리한 후 cell viability, NO 생성량,iNOS와 COX-2의 발현, $NF-{\kappa}B$활성,전사능력을 관찰하기 위해 MTT assay, NO determination assay, western blot analysis, EMSA, luciferase activity assay를 시행하였고,LNCap, PC-3 세포에 $TNF-{\alpha}$로 증식을 유도하고 낮은 농도의 Obovatol 약침액을 처리한 후 cell growth, apoptosis 및 apoptosis와 연관된 $NF-{\kappa}B$의 활성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 WST-1, Cell morphogy test, DAPI staining and TUNEL assay, EMSA, luciferase activity assay를 시행하였다. 결과 : 1. RAW264.7 세포에서 낮은 농도의 Obovatol 약침액 처리는 $NF-{\kappa}B$의 활성 및 전사능력을 낮추고 iNOS와 COX-2의 발현과 NO 생성을 감소시켜 LPS로 유발된 염증을 억제하였다. 2. LNCap, PC-3 세포에서 낮은 농도의 Obovatol 약침액 처리는 $NF-{\kappa}B$의 활성을 낮추어 세포자별사를 촉진함으로써 $TNF-{\alpha}$로 유발된 암세포의 성장을 억제하였다. 결론 : 이상의 결과는 낮은 농도의 Obovatol 약침액이 항염 및 인간 전립선암세포주인 PC-3, LNCap에 대한 증식억제 효과가 있음을 입증한 것이며,향후 이를 바탕으로한 생체 연구에서의 긍정적인 결과는 Obovatol 약침액이 만성염증성 질환 및 전립선암의 예방과 치료에 대한 효과적인 치료제 개발에 초석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