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세포질

검색결과 1,611건 처리시간 0.029초

Lactobacillus brevis FSB - 1의 균체성분에 의한 면역증진 활성 (Immunopotentiating Activities of Cellular Components of Lactobacillus brevis FSB - 1)

  • 김성영;신광순;이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9호
    • /
    • pp.1552-1559
    • /
    • 2004
  • 새로운 probiotic 유산균으로써의 잠재적 이용가능성을 평가할 목적으로, 김치로부터 분리한 Lactobacillus brevis FSB-1을 대상으로 각종 면역증진활성의 특성이 조사되었다. L. brevis FSB-1을 전균체, 세포벽, 세포질 및 균체외 획분으로 각각 분리하고 장관면역 활성을 측정한 결과, Peyer's patch 세포를 매개로 한 골수세포 증식활성의 경우, 세포벽 및 세포질 획분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활성을 농도 의존적으로 보인 반면, 직접적인 골수세포 증식활성은 나타내지 않았다. 마크로파지의 활성화능은 전균체, 세포벽 및 세포질 획분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활성을 보였으며, splenocyte mitogen 활성의 경우, 이들 획분에서 공히 대조군의 약 200%이상의 활성 증가가 관찰되었다. 그러나 양성대조군인 LPS의 활성에는 다소 미치지 못하였다. 한편 보체계 활성화능을 검토한 결과, 균체외 획분을 제외한 모든 획분에서 높은 활성을 보였으며, 특히 세포질 획분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매우 강력한 활성을 나타냈다. 또한 세포질 획분에 의한 보체계 활성화는 anti-human C3를 이용한 2차원 면역전기영동에 의해 classical 및 alternative pathway 양 경로를 경유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국산 대륙밭쥐(Clethrionomys rufocanus regulus)의 정자변태 (Spermiogenesis in the Red-hacked Vole, Clethrionomys rufocanus regulus)

  • 손성원;이정훈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57-69
    • /
    • 1996
  • 한국산 대륙밭쥐 (Clethrionomys rufocanus regulus) 정자변태 과정을 알아보기 위하여 정소내 세정 관상피의 세포분화에 따른 형태적 특징들을 기초로 하여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륙밭쥐의 정자변태 과정은 골지(Golgi), 두모(cap), 첨체(acrosome), 성숙(maturation) 및 이탈기(spermiation phase)로 구분하였고, 다시 각각 전후단계로 세분하여 전과정을 10단계로 나누었다. 2. 염색질 변화는 골지 후기에서 서서히 응축하여 성숙기에서 균질화되고, 이탈기에서 완전한 핵을 형성하였다. 3. 정자두부는 낫꼴모양을 가지며, 정자꼬리는 골지 전기에서 형성되기 시작하여 이탈기에서 완성되었다. 4. 이탈 전 후기의 정자세포의 형태적 특징으로서는, 이탈전기의 정자 세포는 3가지 유형으로 구분 되어졌다. (1).미토콘드리아의 불규칙 배열과 더불어 경부와 중편부에 세포질 소적을 함유한 정자세포(A-type). (2). 미토콘드리아가 축사를 중심으로 완전히 배열되고, 중편부에 세포질 소적을 함유한 정자세포(B-type). (3) 축사를 중심으로 미토콘드리아의 배열 후 경부에만 세포질 소적을 함유한 정자세포(C-type). 그리고 이탈후기의 경우, 정자세포들이 정자두부만 Sertoli cell의 세포질에 싸여져 있거나 또는 Sertoli cell의 세포질로부터 이탈되기 직전의 정자로 구분되었다.

  • PDF

세균(Bacillus subtilis)에 대한 등검은메뚜기(Euprepocnemis shirakii Bolivar)의 세포성 면역반응 (Cellular Immune Response of the Grasshopper, Euprepocnemis shirakii Bolivar Following Injection of Bacillus subtilis)

  • 장병수;문명진한성식여성문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383-394
    • /
    • 1992
  • 비병원성 세균인 고acirlus subtilis(ATCC6633)를 등검은메뚜기(Euprepocnemis shr'rakii Bolivar)의 성충 복강에 주입한 후, 혈구의 반응양상을 투과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세균에 대한 혈구의 면역반응은 plasmatocyte와 granulocyte에 의한 식 세포작용(phagocytosis)의 형태로 이루어졌으며, 결절형꽁(nodule formation)은 일어나지 않았다. 식 세포작용의 초기 반응은 혈구의 세포질 돌기가 돌출되 면서 이물질을 둘러싼 후, 원형질막과의 융합에 의해 식포가 형성되었고, 식포의 주변부에서는 일차 리소조옴의 집적이 관찰되었으며, 이런 과정은 세균 주입후, 10분 이내에 완료되었다. 일차 리소조옴은 세균 주입 후 1시간 이내에 식포의 한계막과 융합하여 이차 리소조옴을 형성하였으며, 소화된 이물질은 9시간 이내에 exocytosis에 의해 배출 되었다.

  • PDF

치주인대 세포의 교원질 생성에 대한 Substance P의 효과 (EFFECTS OF SUBSTANCE P ON COLLAGEN PRODUCTION IN HUMAN PERIODONTAL LIGAMENT CELLS)

  • 전준영;최제용;경희문;성재현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83-94
    • /
    • 1996
  • Substance P는 교정력이 가해진 치아의 치주인대 중 인장력을 받는 부위에 많이 분포하는 neuropeptide중의 하나이며, 또한 여러 조직에서 neurogenic inflammation을 야기하는 neuropeptide중의 하나로도 알려져 있다. 그러나 중요한 세포외 단백기질인 교원질의 생성에 대한 Substance P의 효과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따라서 이 연구의 목적은 배양치주인대 세포에서 교원질 생성에 대한 Substance P의 효과를 평가하는 것이었다. collagenase-digestion method로 교원질 생성을 평가하였고 mRNA 수준에서 작용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Northern blot hybridization을 시행하였다. 이 연구는 또한 교원질 생성에 대한 prostaglandin과 gelatinase 생성도 포함하였으며 변성된 교원질의 분해를 평가하기 위하여 zymography를 이용하였다. 비교원성 단백질, 교원성 단백질, 상대교원질에 대한 dose-dependent effect를 보면 Substance P는 비교원성 단백질 합성을 증가시켰으나 교원성 단백질 합성은 감소시킨다. 그리하여 총 단백합성에 대한 상대적인 교원질 생성을 나타내는 상대교원질은 $7\%$에서 $3.6\%$로 감소시켰다. 세포를 indomethacin과 동시에 처리할 때 substance P의 교원질 합성 억제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것은 Substance P의 교원질 합성 억제효과가 prostaglandin의 생성 때문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Substance P의 교원질 합성 억제효과가 procollagen mRNA의 정상(steady-state)수준에 부합하는가를 평가하기 위하여 northern blot hybridization을 시행한 결과 Substance P는 ${\alpha}1(1)$ procollagen mRNA의 양적 변동을 일으키지 않았다. Substance P의 교원질 생성 억제효과는 전사이후의 어떤 단계에서 이루어지는 현상임을 나타낸다. 치주인대세포에서 gelatinase 생성에 대한 Substance P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zymography를 이용하였다. zymogram 을 보면 Substance P는 치주인대세포에서 gelatinase 생성에는 아무 효과도 나타내지 않음들 알 수 있다. Substance P의 교원질 생성 억제효과가 치주인대세포에 대해 선택적인가 아닌가를알아보기 위하여 MC3T3-E1세포를 이용하였는데 Substance P는 MC3T3-E1세포의 교원질 합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상에서 Substance P는 인간의 치주인대세포에서 교원질 합성을 억제하였다. 이 효과는 procollagen mRNA와 gelatinase 생성의 정상(steady-state) 수준의 변화 때문이 아니라 prostaglandin 생성과 연관이 있음을 알았다.

  • PDF

Rhizoctonia solani AG-1(IA), R. oryzae, R. oryzae-sativae의 다른 지역(地域) 및 포장분리(圃場分離) 균주(菌株)들간의 균사융합형(菌絲融合型)과 균사상호작용(菌絲相互作用) (Anastomosis Types and Hyphal Interactions among Different Location and Field Isolates of Rhizoctonia solani AG-1(IA), R. oryzae and R. oryzae-sativae)

  • 김완규
    • 한국균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188-194
    • /
    • 1993
  • Rhizoctonia solani AG-1(IA), R. oryzae, R. oryzae-sativae의 다른 지역(地域) 및 포장분리균주(圃場分離菌株)들간의 균사융합형(菌絲融合型)과 배양(培養)에 의한 균사상호작용(菌絲相互作用)조사하였다. R. solani AG-1(IA)균주(菌株)들의 상호간(相互間) 균상융합(菌絲融合) 검정결과(檢定缺課), 세포질융합(細胞質融合)은 자기균사융합(自己菌絲融合)에서만 발생하였으며, 다른 균주(菌株)들 상호간(相互間)에는 비세포질융합(非細胞質融合)이 발생하였다. R. oryzae균주(菌株)들의 상호간(相互間) 균사융합(菌絲融合) 검정결과(檢定缺課), 세포질융합(細胞質融合)은 자기균사융합(自己菌絲融合)에서 뿐 만 아니라 다른 지역분리(地域分離) 균주(菌株)들간의 6조합(組合)과 같은 지역(地域)의 다른 포장분리(圃場分離) 균주(菌株)들간의 2조합(組合)에서 발생하였다. 이 경우에 이 균의 4균주(菌株) 상호간(相互間)에서는 세포질융합(細胞質融合)이 발생하였다. R. oryzae-sativae균주(菌株)들의 상호간(相互間) 균상융합(菌絲融合) 검정결과(檢定結果), 세포질융합(細胞質融合)은 자기균사융합(自己菌絲融合)에서만 발생하였으며, 다른 지역(地域) 및 포장분리(圃場分離) 균주(菌株)들간에는 비세포질융합(非細胞質融合)만이 발생하였다. R. solani의 비세포질융합균주(非細胞質融合菌株)들(NCFIs)을 PDA에서 대치배양(對峙培養)한 결과(結果), 치사대(致死帶)가 형성되었으며, R. oryzae의 NCFIs간에도 치사대(致死帶)가 형성되었다. R. oryzae의 세포질융합균주(細胞質融合菌株)들(CFIs)간에는 치사대(致死帶)가 형성되지 않았는데, 그 CFIs의 균사(菌絲)들은 어떤 경계선(境界線)도 형성하지 않고, 상호간(相互間)에 혼합(混合)되었다. R. oryzae-sativae의 NCFIs간에는 치사대(致死帶)가 형성되지 않고, 엉킴대가 형성되었다.

  • PDF

자궁경부암 세포 영상 분할을 위한 Thresholding 기법 (The thresholding method for cervical cell image segmentation)

  • 김재륜;하진영;김백섭;김호성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1999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26 No.2 (2)
    • /
    • pp.419-421
    • /
    • 1999
  • 본 논문은 자궁경부암 검사를 위한 전처리 과정인 자궁경부암 세포 영상분할 문제 연구의 결과이다. 자궁경부암 세포 영상은 배경과 세포질 및 세포핵의 구별이 어렵다. 게다가 자궁경부암 검사 시스템은 짧은 시간동안 많은 영상을 처리해야 하기 때문에, 영상의 분석 속도가 빠르고 강력한 영상 분할 기법이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우리는 thresholding 기법을 연구하였다. 먼저 세포 영상의 각 화소의 명암의 분포를 조사하여 히스토그램을 구하였다. 히스토그램은 0~255 사이에 존재하게 되는데, 0~255의 전 영역에 존재하기 보다는 그 중 일부분에만 존재한다. 우리는 히스토그램이 존재하는 영역을 백분율로 나누고 세포핵 및 세포질이 존재하는 영역의 분포를 구하여 global threshold를 찾았고, 이를 기준으로 각 점을 thresholding 할 때에 주위의 평균값을 보정값으로 두어 local thresholding을 수행하였다. 결과 영상은 핵의 영역을 탐색하기 위한 seed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 PDF

기생피자식물 실새삼(Cuscuta australis R. Brown)의 흡기내 목부의 개체발생 (Ontogeny of Haustorial Xylem in Parasitic Angiosperm Cuscuta austrailis R. Brown)

  • 이규배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4권2호
    • /
    • pp.137-144
    • /
    • 1991
  • 기주식물 (토끼풀, Trifolium repens L.)에 기생하는 실새삼(Cuscuta australis R. Brown)의 흡기내 목부의 개체발생 과정을 광학현미경으로 조사하였다. 흡기의 목부 분화를 암시하는 최초의 해부학적 특징이, 흡기 자체내에서가 아니라, 그 흡기가 형성되어 있는 실새삼 줄기에서 나타났다. 즉 실새삼 줄기의 중심주의 유관속 내부 및 유관속 사이에서 세포분열 활성이 관찰되었다. 이 분열로부터 유도된 세포들은 짙게 염색된 세포질과 뚜렷한 핵을 갖고 있었다. 흡기가 기주조직에 침입하여 생장함에 따라, 실새삼 줄기의 중심주에서 시작된 세포분열 활성은 유관속 사이를 거쳐서 흡기의 기부를 향하여 구정적으로 확장되었다. 이와 동시에, 실새삼 줄기의 목부에 인접해 있던, 짙은 세포질 밀도를 갖는 세포들이 목부요소로 분화하기 시작하였다. 결국, 이미 형성되었던 짙게 염색된 세포들을 따라서 흡기의 목부는 구정적으로 분화하였다. 실새삼 줄기의 중심주에서 일어나는 유조직 세포들의 분열활성 및 이로부터 흡기의 목부 분화를 구정적으로 유도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 PDF

세포질.유전자적 웅성불임 계통을 이용한 유채 Heterosis 육종에 관한 연구 제3보 유채 세포질 유전자적 웅성불임 계통의 불임안전성과 유.박의 성분 개량 (Studies on the Heterosis Breeding in Rape by Using Cytoplasmic Genetic Male Sterile lines 3. Development of Complete Cytoplasmic Genetic Male Sterile Line "MOKPO-MS" Having Improved Quality of Oil and Oil Cake)

  • 이정일;권병선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50-58
    • /
    • 1980
  • 유채에서 $F_1$의 잡종강세를 이용함에 있어 Shiga나 Thmpson이 개발한 MS들은 고온에서 불임성이 회복되고 유질과 유박의 성분도 개량되지 못하였으므로 이같은 결점이 보완된 새로운 MS를 개발코저 연구를 계속한 결과 완전한 불임성이면서 에루친산과 구루코지노레이트가 제거, 개량된 새로운 세포질.유전자적 웅성불임계통 Mokpo-MS가 육성되었다. 이를 다음과 같이 요약한다. 1. Mokpo-MS는 캐나다 품종인 Tower를 어미로 하고 일본 품종 Isuzu를 화분친으로한 F_2에서 발견된 MS를 1입식 Q.C.T.법으로 Zero-erucic acid 개체를 선발하고 이를 Test-tape법으로 Zero-glucosinolate 개체를 재 선발하여 고정시켰다. MS유지는 임성인 자매개체, 계통의 화분으로 ,유지시켰다. 2. 세포질 유전자적 웅성불임계통 여부를 검정코저 Tower \times Isugu의 정역 조합을 작성하여 $F_2$에서 MS 분리비를 조사한 결과 Tower가 어미인 조합에서는 3 : 1의 비율로 MS가 분리되었으며 Tower가 화분친으로 된 조합에서는 전부 임성으로 발현되었으므로 Tower의 S세포질과 Isuzu의 핵내 S유전자와의 상호작용에 의해 발현되는 세포질 유전자적 웅성불임 계통임이 밝혀졌다.3. Mokpo-MS는 같은 계통내 임성인 개체의 화분으로 유지시키면 차대에서 각 50 %의 MS와 임성이 분리된다. 4. Moo-MS는 기존MS들 보다 2~3일 숙기가 빠르며 3~17개나 분지수가 더 많고 화기에서 웅예의 길이가 0.2mm 약장은 거의 없으며 상대적 위치가 0.0인 완전 MS였다. 5. 새로 육성된 Mokpo-MS의 유질은 바람직하지 못한 에루친산과 에이꼬젠산이 완전 제거되고 대신 양질 지방산인 오레인산과 리놀산 함량이 92%에 달하는 양질유 MS이다. 6. 유박의 사료화를 위한 성분개량에서도 유해물질인 Glucosinolate성분이 완전 제거되어 도입 대두박에 대체 가능하다. 7. Mokpo-MS는 화기의 불임성에 관계되는 형질이나 기타 생태적인 실용형질들이 완전히 인정되었다.

  • PDF

C-4 Euphorbia maculata 엽육조직 내 탄닌물질의 축적 양상 (Patterns of Tannin Accumulation in Leaves of C-4 Euphorbia maculata)

  • 김인선
    • Applied Microscopy
    • /
    • 제33권3호
    • /
    • pp.233-241
    • /
    • 2003
  • 유액을 형성하는 대극과 C-4 식물 Euphorbia maculata의 엽육조직은 유관속초와 엽육세포 두 유형의 유세포로 분화되는데, 본 연구에서는 이들 세포 내에 축적되는 2차 대사물질인 탄닌의 발달양상을 형태 구조적으로 연구하였다. 탄닌의 축적은 엽육조직 발달초기 상태에서부터 시작되어 유관속초세포에서 뚜렷하게 진행되었고, 분화를 마친 성숙한 잎의 유관속초세포와 인접한 엽육세포에는 현저하게 다른 양상으로 축적되었다. 일부 미분화 유관속초세포는 발달초기에 일어난 액포융합현상으로 세포용적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거대한 탄닌액포를 형성하여 세포질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으나, 이후 엽육조직이 발달하면 유관속초세포 내 액포에는 소과립상에서부터 소구체, 구체 및 비교적 커다란 탄닌액포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형태로 집적되었다. 특히, 탄닌이 세포소기관들 사이로 침투하여 소기관들의 경계를 따라 분포되거나, 침착이 더욱 진행되어 세포질 내 거의 모든 세포소기관에 영향을 미친 경우에는 세포질의 전자밀도를 매우 높게 나타났다. 반면, 엽육세포층 내에서는 탄닌의 축적현상이 드물게 일어나 대부분의 세포들은 거의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유관속초세포 내 탄닌의 축적현상이 할발하게 일어난 경우에는 이들과 바로 인접한 엽육세포의 세포질에도 탄닌의 축적이 야기되어 일부 세포소기관의 전자밀도는 높게 나타났다. Euphorbia maculata는 식물체 전체에 망상으로 분포하는 유관에 다량의 알카로이드성 유액이 분비되는데, 액포 및 세포질에 축적되는 이러한 탄닌은 이들 알카로이드성 물질과 밀접한 관계를 유지하며 병충해 및 초식동물로부터의 보호 등 식물체 방어기작에 중요한 기능을 수행할 것으로 추정된다.

피부각질의 유지질상태에서 조절기능구조에 관한 연구 (A study of control capacity structure of by the lipoid state of stratum on the skin)

  • 김정래;김혜주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3권3호
    • /
    • pp.37-42
    • /
    • 2017
  • 본 연구는 피부의 각질층에 분포되어 있는 유지질의 변화 상태를 조절하는 구조체계에 대해 고안한다. 피부구조에 유지질 성분이 어떻게 진행되는지 형태학으로 구성하였고, 주어진 세포사이와 세포횡단의 조건으로 기계적으로 조절되는 형태를 구성하였으며, 구조적인 기능으로 조절기능의 변화 상태를 확인하였다. 유지질 성분에서 피부의 모형을 구성하여 각층에 따른 유기질 상태의 피부 임피던스를 피부의 측정 임피던스 시스템으로 구성하여 진행하였다. 측정 임피던스는 ${\lambda}-Lip-RSC$, ${\lambda}-Lip-RSL$, ${\lambda}-Lip-CSG$, ${\lambda}-Lip-CSS$${\lambda}-Lip-RSB$로 형성하였고, 세포사이와 세포횡단의 조건으로 변화의 차가 있고, 변환을 제어하는 전달시스템을 구성과 변환모델을 세분화하여 구축하였다. 앞으로 유지질 상태에서 피부의 기능적 효능조절이 가능한 유지질 성분의 조절시스템을 구성하여 지속적인 피부의 개선효과가 진행 될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