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세포이동

Search Result 1,179,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The effect of lipopolysaccharide on the migration of osteoclast precursors (Lipopolysaccharide가 파골세포 전구세포의 이동에 미치는 영향)

  • Lee, Hee-Young;Lee, Dae-Sil;Cha, Jeong-Heon;Yoo, Yun-Jung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v.37 no.1
    • /
    • pp.23-33
    • /
    • 2007
  • 파골세포에 의한 골흡수는 1) 혈관을 통한 파골세포 전구세포의 골표면 이동 및 2) 골표면에서 파골세포 전구세포로부터 파골세포 분화 두 단계를 거쳐 일어난다. Stromal cell derived factor $(SDF)-1{\alpha}$ 는 파골세포 전구세포의 화학주성인자이며 matrix metalloproteinase (MMP)-9는 파골세포 전구세포의 이동에 관여하는 단백 분해효소이다. 파골세포 전구세포의 골표면 이동에 있어서 LPS의 역할을 규명하기 위하여 E. coli 및 Actinobacillus actinomycetecomitans LPS의 1) 파골세포 전구세포 유도능, 2) LPS에 의한 파골세포 전구세포의 이동에 있어서 MMP 및 $SDF-1{\alpha}$ 의 관련성을 평가하였다. LPS에 의한 차골세포 전구세포의 RAW 세포의 이동은 matrigel 또는 type I collagen을 도포한 transwell을 이용하여 평가하였으며 MMP-9 및 $SDF-1{\alpha}$ 의 발현은 RT=PCR 또는 ELISA로 평가하였다. 각 세균의 LPS는 matrigel 또는 type I collagen을 통한 파골세포 전구세포의 이동을 증가시켰다. MMP 억제제는 각 세균의 LPS에 의한 파골세포 전구세포의 이동을 억제하였다. LPS는 파골세포 전구세포의 MMP-9의 발현을 증가시켰다. 각 세균의 LPS는 마우스 두개골에서 분리한 조골세포의 $SDF-1{\alpha}$ 의 발현을 증가시켰다. $SDF-1{\alpha}$ 을 함유한 LPS 처리 조골세포 배양상층액은 파골세포 전구세포의 이동을 증가시켰으며 anti $SDF-1{\alpha}$ Ab는 LPS처리 세포 배양상층액에 의한 파골세포 전구세포의 이동을 억제하였다. 이들 결과는 LPS가 파골세포 전구세포에서는 MMP-9을 조골세포에서는 $SDF-1{\alpha}$ 의 발현을 증가시켜 파골세포 전구세포의 이동을 촉진 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Activation of Phosphatidylinositol 3-kinase(PI3K) is Required for Invasiveness and Motility in H-ras MCE10A Cells

  • Shin, Il-Chung;Aree M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Pharmacology
    • /
    • 2001.11a
    • /
    • pp.103-103
    • /
    • 2001
  • 인간유방상피세포에서 H-ras가 침윤성과 세포 이동성을 유도한다는 것을 이 전연구에서 밝혔다. Phosphatidylinositol 3-kinase(PI3K)는 세포 이동성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 인간유방상피세포인 MCF10A에서 H-ras에 의해 유도된 침윤성에 PI3K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PI3K의 활성은 PI3K의 downstream molecule인 Akt의 인산화를 Western blot으로 확인하였다. Akt는 MCF10A, H-ras, N-ras MCF10A 세포에서 같은 정도로 발현되는 반면, 인산화된 Akt는 MCF10A 세포에 비해 H-ras MCF10A 세포와 N-ras MCF10A 세포에서 현저히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서 H-ras, N-ras 둘 다 PI3K를 활성화시키며, 침윤성과 세포이동성이 없는 N-ras MCF10A 세포에서도 PI3K가 활성화되었으므로, PI3K의 활성은 세포침윤성과 이동성을 유도하는데에 있어서 충분하지는 않음을 말해준다. PI3K의 저해제인 LY294002와 wortmannin을 세포에 처리하였을 때 세포침윤성과 이동성이 유의성 있게 감소되었다. 이상의 결과는 MCF10A 세포의 침윤성과 이동설에 있어서 PI3K의 활성이 충분하지는 않지만 반드시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Roles of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s (MAPKinases) in H-ras-induced Invasiveness and Motility of MCF10A Cells

  • Lee, Eun-Jung;Kim, Mi-Sung;Aree M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Pharmacology
    • /
    • 2001.11a
    • /
    • pp.104-104
    • /
    • 2001
  • Ras는 세포의 성장과 분화 등 여러 필수적인 세포기능에 없어서는 안될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며 Ras가 mutation되면 암 등의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한다. Ras 발현은 유방암에서 tumor aggressiveness의 지표로 간주되고 있으며 유방세포의 침습성과 연관이 있다고 알려져 있으므로 ras가 전이과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는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본 연구의 선행연구결과, H-ras와 N-ras 모두 transformed phenotype을 나타내지만 H-ras 만이 암전이에 있어서 중요한 침윤성을 유도하는 것을 밝혔다. 이 결과는 MCF10A 세포에서 H-ras와 N-ras에 의한 신호전달경로가 각각 다른 생물학적 전이활성을 나타냄을 시사한다. 세포의 이동성은 침습성에 있어서 결정적인 역할을 하므로, 본 연구에서 H-ras와 N-ras로 형질전환된 MCF10A세포에서 이동성을 시험한 결과, 세포의 이동성이 N-ras가 아닌 H-ras MCF10A 세포에서만 크게 증가된다는 것을 보았다. 이는 침습성을 나타내는 H-ras가 세포의 이동성을 증가시키는데 작용한다는 것을 말한다. H-ras에 의해 유도된 침습성과 이동성에 대한 분자적 기전에 관하여 연구하기 위하여 H-ras MCF10A와 N-ras MCF10A 세포에서 Ras의 downstream effector들, 특히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s(MAPKinases)들인 JNK1, ERK, p38의 활성화를 살펴본 결과 p38 MAPKinase가 H-ras MCF10A 세포에서 현저하게 활성화됨을 보았다. p38 MAPKinase 저해제인 SB203580를 처리하던지 dominant negative p38 (DN p38) transfectant로 p38을 불활성화시켰을 때 세포침습성 및 이동성이 저해되는 결과를 얻었다. SB203580 처리한 H-ras MCF10A 세포에서 전이에 관여하는 효소인 MMP-2 분비가 감소되었다. H-ras에 의해 유도된 침습성과 이동성은 DN JNK1 transfectant에서는 변화가 없었으나 DN MEK transfectants에서는 유의성있게 감소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MCF10A 세포의 침윤성과 이동성에는 p38 MAPKinase 활성이 중심적인 역할을 하며, JNK 활성은 영향을 미치지 않고, ERK-1/2 활성은 충분하지는 않으나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Selective Transport of Vitellogenin into the Oocytes during Oogenesis of Rana (참개구리(Rana nigromuculatu)의 난자형성 단계에 따른 Vitellogenin의 선택적 이동)

  • 이양림;고경희
    • The Korean Journal of Zoology
    • /
    • v.38 no.1
    • /
    • pp.136-144
    • /
    • 1995
  • 참개구리의 난모세포에서 난자형성단계에 따른 vitellogenin(VTG)의 이동이 난모세포막에 의하여 조절될 것이란 생각에 기초하여 단계에 따른 VTG 이동량의 변화와 난모세포막의 변경이 VTG 이동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VTG의 이동은 난자형성과정중 특히 초기난모세포에서 가장 활발하였고, 중기 및 말기에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반면. bovine serum albumin은 모든 단계의 난오세포에서 이동을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난자형성과정중 난모세포내로의 VTG 이동은 단계특이적 이고 선택적임을 알 수 있었다. 난모세포막의 막단백질을 trypsin으로 제거시키거나 막단백질의 당잔기를 wheat germ agglutinin(WGh)으로 포화시키든가 혹은 endoglycosidase $\boxDr$로 당잔기를 제거시킨 결과 VTG의 이동이 급격히 억제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들은 난모세포의 막단백질이 VTG 이동에서 수용체로 작용한다는 사실을 강하게 암시하였다.

  • PDF

Intracellular Transport of Benzo(a)pyrene by Chemically Modified Low Density Lipoproteins into Hep 2 Cells. (화학적으로 변형된 저밀도 지방단백질에 의한 벤조피렌 화합물의 Hep 2 세포내 이동에 관한 연구)

  • 신인철;윤유식;홍석진;강기원;정안식;조철오
    • Environmental Mutagens and Carcinogens
    • /
    • v.11 no.2
    • /
    • pp.99-106
    • /
    • 1991
  • Facilitated transport of lipophilic benzo(a)pyrene into human fibroblast cells by low density lipoproteins (LDL) was examined. Amounts of [3H]-labeled B(a)P taken up by the Hep 2 fibroblast was increased 3 folds by the addition of LDL (100ng of protein/105 cells) in the media. However, we have found that the facilitated B(a)P transport into cells were diminished by the addition of LDL of which the apoproteins were modified by copper(II) ion-catalyzed oxidation in 10nM copper sulfate.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suggest that lipophilic compounds are taken up via adsorptive endocytosis which is mediated by interactions between apoproteins on LDL.

  • PDF

Effect of Hepatocyte Growth Factor on the Migration of Human Umbilical Vein Endothelial Cells (혈관내피세포의 이동에 미치는 Hepatocyte Growth Factor의 영향)

  • 오인숙;소상섭;김환규
    • KSBB Journal
    • /
    • v.18 no.6
    • /
    • pp.485-489
    • /
    • 2003
  • Hepatocyte growth factor (HGF) is a mesenchymal-derived cytokine. It exerts a motogenic effect on various target cells, which is displayed either by cell scattering, locomotion, and migration during the wound repair process of cultured cells, or invasiveness through the extracellular matrix, in vitro. Although it is known that HGF influences the motogenic effect of endothelial cells, the precise effects of HGF during migration are still poorly understood. To elucidate the role of HGF in endothelial cell migration, the effect of HGF on endothelial cell migration and MMPs and plasmin production were studied. We found that HGF induces the migration of cultured endothelial cells through increased MMPs and plasmin secretion.

Gold Nanoparticles Inhibit AGEs Induced Migration and Invasion in Bovine Retinal Endothelial Cells (소망막내피세포에서 금 나노입자의 최종당화산물에 의한 세포 이동 및 침윤성 억제 효과)

  • Chae, Soo-Chul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 /
    • v.28 no.1
    • /
    • pp.8-13
    • /
    • 2010
  • This study aimed the role of gold nanoparticles (AuNP) in advanced glycation end-products (AGEs) induced migration and invasion in bovine retinal endothelial cells (BRECs). BRECs were isolated from the retina. Cell viability was confirmed by the MTT assay. In vitro wound migration assa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migration of BRECs. In vitro tube formation was measured by on-gel system. Apoptosis induced by AuNP was confirmed by caspase-3 assay. AGE-bovine serum albumin (BSA) demonstrated increase of cell migration and proliferation in BRECs. In addition, AuNP regardless of the existence of AGE-BSA suppressed proliferation, migration, and angiogenesis. AuNP suppressed AGE-BSA induced migration and invasion, and induced apoptosis through caspase-3. As a results, AuNP have a potential anti-angiogenic effect for AGE-induced angiogenesis in vitro and offer possibility for the treatment of diabetic retinopathy.

Effect of Proteases on the Migration and Invasion of U-373-MG Cells Induced by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and Hepatocyte Growth Factor (VEGF와 HGF에 의해 유도된 U-373-MG 세포의 이동 및 침윤에 미치는 단백질분해효소의 효과)

  • Jeon, Hui Young;Kim, Hwan Gyu
    • Journal of Life Science
    • /
    • v.26 no.10
    • /
    • pp.1189-1195
    • /
    • 2016
  •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and hepatocyte growth factor (HGF) are potent angiogenic factors that have been used clinically to induce angiogenesis. To enable migration and invasion, cells must proliferate and secrete proteinases, which degrade the surrounding extracellular matrix.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ell proliferation; matrix metalloproteinase-2 (MMP-2), MMP-9, and plasmin secretion; and migration and invasion of glioma-derived U-373-MG cells induced by VEGF and HGF treatment. An additional goal was to test the hypothesis that elevated secretion of MMP-2, MMP-9, and plasmin contributed directly or indirectly to the proliferation, migration, and invasion of U-373-MG cells. Cell proliferation, migration, and invasion and MMP-2, MMP-9, and plasmin secretion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VEGF and HGF-treated U-373-MG cells. To elucidate the role of the increased secretion of MMP-2, MMP-9, and plasmin in cell proliferation, migration, and invasion of the U-373-MG cells, they were treated with MMPs inhibitor (BB-94) and plasmin inhibitor (α2AP) prior to VEGF or HGF stimulation. The BB-94 and α2AP treatment resulted in a significant reduction in the cell proliferation, migration, and invasion of the U-373-MG cells as compared with the VEGF- and HGF-treated groups. The results indicate that inhibition of MMPs and plasmin reduce the cell proliferation, migration, and invasion of U-373-MG cells.

Cell Migratory Induction by Expression of Angiogenin and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in Resveratrol Treated HeLa Cells (Resveratrol 처리한 HeLa세포에서 angiogenin과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발현유도에 따른 세포이동촉진)

  • Joe, I-Seul;Jeong, Sin-Gu;Cho, Goang-Won
    • Journal of Life Science
    • /
    • v.24 no.4
    • /
    • pp.337-342
    • /
    • 2014
  • Resveratrol (RSV), a natural polyphenolic compound, is a modulator for cell division and cell migration, and has diverse beneficial properties. Angiogenin (ANG) and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are considered to be important mechanisms for cell proliferation, angiogenesis, the formation of tubular structures, and migration.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whether RSV has a migratory effect in HeLa cells. When cells were treated with $0{\sim}50{\mu}M$ of RSV for 24 hr, the expression of ANG and VEGF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a dose dependent manner measured by real-time PCR. Similarly, we performed time dependent experiments for $50{\mu}M$ RSV treated cells and identified the optimized time at 24 hr. The increased expression in RSV treated cells was confirmed by Western blot analysis. To examine the toxic effects of RSV at the determined conditions, MTT assays were performed. The viabilities were unchanged for $0{\sim}50{\mu}M$ RSV treated cells, while they decreased at $100{\mu}M$ RSV. To examine the effect of migration in RSV treated cells, we performed a wound-healing assay. The migratory rates were significantly enhanced in the RSV treated group. In this study, we found that RSV induces an increase in the expression of migration factors ANG, VEGF, and enhances cell migration for the determined conditions.

이동통신 주파수 대역 전자파에 대한 생체 반응

  • 박웅양;서정선
    • The Proceeding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 /
    • v.12 no.2
    • /
    • pp.62-70
    • /
    • 2001
  • 우리 나라 인구의 절반 정도에 해당하는 수의 이동통신 전화가 사용되고 있다. 이동 전화 사용자의 수는 앞으로 더욱 증가할 것이며, 또한 이를 이용한 각종 정보의 교환이 늘어남으로써 개인당 사용량도 늘어날 것으로 생각된다. 사용빈도의 증가와 더불어 이동전화에 의한 뇌종양, 유방암 및 기형 등 각종 인체 질환 발생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이동통신 주파수 대역 전자파는 크게 이미 잘 알려진 전자기장이나 자외선, 방사선 등과 인체에 대한 효과가 비슷할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물론 이들은 주파수 대역이 전혀 다르며 이에 따라 서로 다른 물리적 성질을 가지고 있다. 단순히 보유하고 있는 에너지의 크기만으로 비교할 수 있는 것이 아닌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외선이나 방사선처럼 전자파도 인체 질환을 유도할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 전자통신제품 사용의 증가에 따라 전자파에 대한 생체 영향에 대한 연구결과들이 발표되고 있다. 특히 이동통신 사용에 따라 암발생이 증가하고 기형이 발생할 수 있다는 역학 및 생물학 연구 결과들이 있었다. 하지만 이 보다 더 많은 수의 논문들이 전자파와 종양 발생이 관련 없다고 얘기하고 있다. 이에 대한 논란은 더 많은 연구와 토론이 필요할 것이다. 정확한 이동전화 주파수대역 전자파가 생체에서 어떻게 작용하는지 알기 위해서는 전자파 자체의 생물리학적 작용기전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전자파에 대한 인체 영향을 정확히 분석하기 위해서는 DNA나 단백질 같은 분자수준에서 세포나 실험동물에서 어떤 변화가 발생하는지 분석하는 것이 필요하다. 세포 수준의 연구는 전자파와 한 종류의 세포의 관계를 직접 분석할 수 있다. 세포내에서 DNA나 단백질의 변화는 바로 조직 및 장기내에서의 변화를 의미한다. 하지만 생체내에서는 하나의 세포가 외부 자극에 반응하는 것보다 면역계, 신경계 및 순환계 등 타 장기나 세포의 영향이 존재하는 상황이다. 따라서 세포 수준에서 전자파만의 효과를 장기나 개체내에서 분석하는 전자파에 의한 종양발생 관계를 더 정확히 알 수 있을 것이다. 전자파 중에서 이동전화 주파수 대역에 대한 생체 연구는 많지 않으나 이들로부터 이 주파수 대역의 전자파에 대한 생체 영향 평가 자료를 많이 모을 수 있다. 이러한 자료를 이용하면 핸드폰과 전자파에 대한 위해성 평가를 할 수 있다. 앞으로 다양한 수준에서 생체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전자파 노출에 대한 효과를 알 수 있을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