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세포분화

검색결과 1,668건 처리시간 0.033초

벼 뿌리조직 유래의 캘러스로부터 체세포배 형성과 식물체 재분화 (Plant Regeneration and Somatic Embryo Formation from Root-Derived Callus of Rice)

  • 손재근;김경민;김종수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143-148
    • /
    • 1995
  • 벼의 뿌리조직을 기내배양하여 배발생캘러스의 형성과 식물체 재분화율의 품종간 차이 및 완숙배와 뿌리조직에서 유래된 캘러스의 현탁배양 기간별 부정배 형성정도와 식물체 재분화율 등에 대한 몇가지 실험을 수행하여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벼 뿌리조직으로부터 캘러스 형성 및 식물체 재분화 능력의 품종간 차이는 뚜렷하게 나타났으며, 자포니카형 품종들이 통일형 품종에 비해 캘러스의 생장량도 많고 식물체 재분화율도 높은 경향이었고, 공시품종 중 "영덕벼"의 식물체 재분화율이 13%로 가장 높았다. 뿌리 및 현미배양에서 형성된 캘러스를 고체배지에서 2 주 간격으로 7회 계대배양한 바, 계대배양 횟수가 증가됨에 따라 식물체 재분화율이 증가되었다가 5회째부터는 점차 감소하였다. 뿌리조직에서 형성된 캘러스의 현탁배양에서 모양이 둥근세포와 그들의 세포괴는 배양 24일 후에 최대치를 나타내었고 그 이후는 감소하였다. 현탁배양 기간별 뿌리조직에서 형성된 캘러스의 체세포배 형성률은 배양 90일까지는 배양기간이 길어질 수록 증가하였으나, 그 이후는 감소하였고, 식물체 재분화율도 배양기간이 길어질수록 감소하는 경향이었다.소하는 경향이었다.

  • PDF

줄기세포재생 치료를 위한 배지의 전압 반응 실험 (Experiment of Response with Voltage for Stem Cell Regeneration Treatment)

  • 윤기철;김정태;김범수;이준;이종철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41권7호
    • /
    • pp.809-815
    • /
    • 2016
  • 본 논문은 줄기세포 재생 치료를 위해 사용되는 배지에 직류전압을 인가하여 배지에 반응되는 전기적인 저항 값, 전류 값 그리고 전압 값의 상태에 대해 분석하였다. 배지에 반응되는 전압은 줄기세포 분화 유도 과정에서 전기적인 자극에 연관되며 반응 전압 상태에 따라 분화의 상태에 대해 확인 할 수 있다. 배지의 반응 전압에서 전압변화 레벨이 적으면 줄기세포 자극 조건이 안정적이며 만일 전압 변화 레벨이 심하면 줄기세포 자극 조건이 불안정하여 줄기세포 분화 과정에서 상당한 손실을 따르게 될 수 있다. 본 연구는 줄기세포 재생 치료의 가능성을 위해 전기적인 자극 조건의 최적화 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뇌허혈성 부위의 조직학적 특성을 통한 임상적 영향 (Clinical Effect through Histological Characteristics of Focal Ischemia Region)

  • 이태훈
    • 산업융합연구
    • /
    • 제17권4호
    • /
    • pp.39-43
    • /
    • 2019
  • 마우스 배아 줄기 세포는 신경 세포 분화가 가능한 세포의 대안적인 공급원이 될 수 있으며 잠재적으로 신경계 질환의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있다. 우리는 배아 줄기 세포 (ESCs)가 신경 분화를 유도하도록 유도 될 수 있는지를 조사했다. 신경 세포 유도 후, mESC의 표현형이 뉴런의 형태학으로 변하였고, mESCs는 실험쥐 뇌의 측 뇌실로 주입되었다. 이식 된 세포는 뇌의 여러 부위로 이동하였고 중대뇌동맥 결찰에 의한 허혈성 뇌혈관 손상부위에 이식된 줄기세포군이 손상된 피질부위로 집중적으로 이동하여 손상복구 기전을 증가시켰다. mESCs의 뇌내 이식은 MCAO 쥐의 기능적 결손의 감각 및 운동 회복을 유의 적으로 향상시킨다. 이러한 데이터는 이식 된 mESC가 허혈성 미세 환경에서 생존, 이동 및 분화하고 쥐에서 뇌졸중 후 신경 기능 회복을 향상 시킨다는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우리는 mESC의 이식이 인간 신경계 손상 및 퇴행성 장애에 대한 강력한 이식 치료법을 제공 할 것으로 기대한다.

β-glycerophosphate 혼합시 인간 치수 세포에 대한 Portland cement의 생활성에 관한 연구 (A BIOACTIVITY STUDY OF PORTLAND CEMENT MIXED WITH β-GLYCEROPHOSPHATE ON HUMAN PULP CELL)

  • 오영환;장영주;조용범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4권5호
    • /
    • pp.415-423
    • /
    • 2009
  • $\beta$-glycerophosphate는 치수의 상아모세포 분화를 촉진하는 물질이다. Portland cement는 수중에서 장기간에 걸쳐 용해되기 때문에 $\beta$-glycerophosphate을 혼합한 Portland cement는 수산화칼슘과 함께 $\beta$-glycerophosphate를 장기간 용출하게 된다. 본 실험에서는 $\beta$-glycerophosphate을 혼합한 Portland cament에 대한 인간치수세포의 반응을 알아보았다. 인간 치수 세포에 대한 $\beta$-glycerophosphate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다양한 농도의 $\beta$-glycerophosphate와 dexamethasone에 대한 인간 치수 세포의 ALP activity을 측정하였고 alizarin red S로 염색하여 관찰하였다. $\beta$-glycerophosphate가 다양한 농도(10 mM, 100 mM, 1 M)로 혼합된 Portland cement에 대한 인간 치수 세포의 MTS assay, ALP activity를 측정하고 SEM으로 관찰하였다. 치수세포의 석회화 정도를 관찰한 연구에서 $\beta$-glycerophosphate와 dexamethasone 단독으로 적용하였을 때 거의 효과가 없었으나 5 mM $\beta$-glycerophosphate와 100 nM dexamethasone을 혼합 적용하였을 때 가장 높은 ALP acticity를 보였다. 분화제를 첨가하거나 첨가하지 않은 모든 실험군에서 치수세포에 대한 독성은 관찰되지 않았으며 Portland cement에 10 mM $\beta$-glycerophosphate을 혼합한 시편의 ALP activity가 대조군에 비교하여 가장 많이 증가하였다. 결론적으로 $\beta$-glycerophosphate이 혼합된 Portland cement는 세포 독성이 없으며 첨가물이 없는 Portland cement에 비해 치수 분화 및 석회화를 더 많이 일으키므로 임상적으로 $\beta$-glycerophosphate을 혼합한 Portland cement 적용은 재료 하방에 더 많은 상아질을 형성시킬 것으로 추측된다.

식물세포(植物細胞)의 Cytolysomes에 관(關)한 전자현미경적(電子顯微鏡的) 연구(硏究) (Electron microscopy of Cytolysomes in plant cells(Glycine max Merr. and Zea mays L.))

  • 김우갑
    • Applied Microscopy
    • /
    • 제4권1호
    • /
    • pp.25-33
    • /
    • 1974
  • Glycine max Merr., Zea mays L.의 엽육세포와 근단세포에서 cytolysome의 기원과 기능에 관하여 추구하였다. Cytolysomes은 원형질막과 세포질의 소포체에서 유래되는데, 원형질막의 함입으로 다소포체인 것과 환상인 다층막성구조로 분화되는 두가지 기본형이 있고, 또 세포질에서는 무과입성 소포체가 세포질의 일부를 분리시키으로서 세포질분리체로 분화된다. 원형질막과 세포질에서 유래된 이들 구조는 각각 막성구조가 증가되면서 액포내로 유리되고 자식성소화과정을 밟아 퇴화되는것 같다.

  • PDF

천연물로부터의 항노화소재 개발: Triterpenoid계 식물성분인 Oleanolic acid의 항노화 효과

  • 남개원;이소희;김승훈;김수현;성대석;김수남;이병곤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27-44
    • /
    • 2003
  • 전반적인 피부세포의 생리적 지능 자하로 인한 자연노화와 더불어, 여러 피부 스트레스 요인들이 다양하게 작용하여 발생하는 외인성노화를 방지하거나, 개선할 수 있는 항노화소재로서의 개발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해, 예로부터 항염활성이 있다고 알려진 oleanolic acid(OA)를 포함한 ursolic acid(UA), betulin, betulinic acid(BA) 등의 triterpenoids가 어떻게 피부에서의 항노화 활성을 나타내는지를 알아보았다. 시험 결과, OA는 자외선에 의한 각질형성세포에서의 PGE$_2$ 생성과 섬유아세포(NHF)에 의한 matrix metalloproteinase-1(MMP-1) 분비를 억제하였다. 그리고, NHF의 procollagen 생성을 촉진하였으며, 이런 procollagen 생성촉진활성이 in vivo에서도 발현되는 것을 무모생쥐의 실험을 통해서 확인하였다. 또한 OA는 각질세포의 증식과 분화를 촉진하여 표피세포로 하여금 세라마이므와 필라그린 생성을 증가시키도록 하는 작용도 있음을 보여주었다. 더불어 실험한 UA, betulin, BA 들은 비록, betulin, BA의 경우 세포 독성이 다른 물질 들에 비해 높았고, UA가 각질세포의 분화를 오히려 억제하는 양상을 보이기는 했지만, 대부분의 기능은 OA와 유사하였다. 피부세포보호작용과 진피 기질물질에 대한 작용, 그리고, 표피의 장벽기능과 보습기능에 대해 시험한 본 연구는, 식물성분인 triterpenoids가 피부를 위한 항노화소재로서의 개발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하는 계기가 되었고, 그 중에서도 OA가 보다 우수한 항노화 소재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지방분화시 PPARγ에 의한 microRNA-17의 발현 조절 (Transcriptional Regulation of MicroRNA-17 by PPARγ in Adipogenesis)

  • 배인선;김현지;정기용;최인호;김상훈
    • 생명과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323-328
    • /
    • 2014
  • MicroRNA는 21~25개의 뉴클레오티드로 이루어진 단일 염기가닥의 RNA로 지방분화를 포함한 세포내 여러 생리학적 기전에 영향을 미친다. MicroRNA-17 (miR-17)은 지방전구세포의 지방분화를 촉진하고, 세포 내 지방을 축적시킨다. 그렇지만, 지방분화시 miR-17 전사조절 기전은 알려진 것이 없다. 본 연구에서는 $PPAR{\gamma}$ 전사인자가 miR-17의 전사를 조절하는지 여부를 조사하였다. 먼저 지방전구세포의 분화를 유도한 다음 $PPAR{\gamma}$와 miR-17의 발현을 조사한 결과 두 유전자 모두 분화 이후 발현이 증가하였다. 또한 miR-17 프로모터 부위에는 $PPAR{\gamma}$ 반응하는 부위(PPRE)가 세 군데 발견되었다. Chromatin immunoprecipitation과 luciferase assay을 실시한 결과, miR-17 프로모터의 PPRE3 (-677/-655) 부위가 $PPAR{\gamma}$와 직접 결합함을 관찰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3T3-L1 세포주에서 $PPAR{\gamma}$가 miR-17의 전사를 활성화 시키고 있음을 나타낸다. 향후 $PPAR{\gamma}$에 의한 표적 microRNA을 대량 발굴한다면 비만과 관련한 $PPAR{\gamma}$의 기능을 보다 구체적으로 파악하는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천연 유래 6 종 혼합물의 지방세포 조절 효과 (The Regulatory Effect of Natural-Derived 6 Compounds Mixture on Adipocytes)

  • 김유나;장영수;박덕훈;정은선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331-342
    • /
    • 2022
  • 비만은 에너지의 섭취와 소비의 불균형으로 인해 지방조직이 과도하게 분화하여 과잉 축적이 되면서 발생하게 되는 대사질환 중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 저자들은 3T3-L1 지방세포를 이용해 천연 유래 6 종 혼합물인 SliMax의 항비만 효과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SliMax는 지방분화 단계에서 후기 분화를 조절하는 것으로 알려진 PPARγ와 C/EBPα의 발현 억제를 통해 지방분화를 억제하는 결과를 보였다. 또한 지방세포 분화 유도 후 지방세포 분해 과정에서 SliMax는 지방분해 관련 단백질인 ATGL과 HSL 발현 증가를 통해 큰 사이즈의 단방성 지방구를 작은 사이즈의 수많은 다방성 지방구로 분해하였다. 마지막으로 갈색지방으로 유도하는 효능을 확인하기 위해 UCP-1의 발현과 미토콘드리아 양을 면역형광염색법으로 확인한 결과 SliMax가 지방세포의 UCP-1의 발현과 미토콘드리아 양을 증가시켰다. 결과를 종합해볼 때, 천연 유래 혼합물인 SliMax는 지방 분화억제와 지방분해 촉진을 통해 지방구의 형성을 억제하고, 열 생산과 에너지 소비와 관련된 갈색지방화 촉진 기능을 가져 항비만 소재로의 가능성을 가진다.

C2C12 근육모세포의 분화에서 p-anisaldehyde의 역할 (Role of p-anisaldehyde in the Differentiation of C2C12 Myoblasts)

  • 김달아;공경혜;조현정;이미란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5권3호
    • /
    • pp.184-194
    • /
    • 2023
  • 골격근은 대사, 열기반 온도 조절, 그리고 전반적인 체내 균형을 위해 필수적인 조직이고 근발생(myogenesis)이라는 다단계 과정을 거쳐서 근관세포를 형성한다. p-아니스알데하이드(p-anisaldehyde, PAA) (4-메톡시벤잘데하이드)는 아니스 씨에서 추출된 에센셜 오일의 주성분이지만, 골격근에서의 기능은 아직까지 알려져 있지 않다. 따라서, 우리는 마우스 C2C12 근육모세포를 이용하여 근육분화가 PAA에 의해 영향을 받는지를 연구하였다. C2C12 근육모세포의 분화를 유도하기 위해 이 세포를 분화배지에서 5일동안 배양하였고, 매일 PAA (50 또는 200 ㎍/mL)를 포함하는 새로운 배지로 교체하였다. 대조군으로서 PAA가 포함되지 않은 배지를 사용하였다. 우리는 분화시작 후 1, 3, 5일째에 근관세포의 길이와 지름을 측정함으로써 PAA가 근관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고, quantitative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분석을 통해 PAA가 근육 표지인자(myoblast determination protein 1, myogenin, myocyte enhancer factor 2C, muscle creatine kinase, 및 myosin heavy chain)와 근육위축 관련 유전자(atrogin-1과 muscle ring finger-1 [MuRF-1])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또한, 주요 근육형성 키나아제인 protein kinase B (Akt)의 인산화를 웨스턴 블롯을 이용해 관찰하였다. 그 결과 PAA가 더 작고 얇은 근관 형성을 유의하게 유발하며 근육 표지인자의 발현을 감소시킨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atrogin-1과 MuRF-1의 발현이 PAA에 의해서 감소하였는데, 이는 Akt 인산화의 감소와 일치하는 결과이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결과는 PAA가 Akt 인산화와 활성화를 감소시킴으로써 C2C12 세포에서의 근육 분화를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는 것을 증명한다.

줄기세포와 재생의학 (Concept of Stem Cells and Regenerative Medicine)

  • 이민철
    • 한국수의병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의병리학회 2002년도 추계학술대회초록집
    • /
    • pp.51-60
    • /
    • 2002
  • 인간이라는 개체는 한 개의 수정란에서 발생을 시작하여 개체의 크기에 따라 60조에서 100조개 정도의 세포로 구성되며, 각 세포는 모두 동일한 유전자를 가지고 있다. 인간의 염색체에 존재하는 유전자의 염기서열이 밝혀진 현재, 세포의 고유 기능을 유지하기 위하여 발현되는 유전자는 약35,000개 정도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장기 또는 조직을 이루는 세포들은 그 조직에 따라 발현되는 유전자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상피세포, 혈액세포, 근육세포 등 모양과 기능이 다른 210여 가지의 세포로 분화되어 있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