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세포분화

검색결과 1,667건 처리시간 0.032초

F9 기형암종 세포의 분화에 따른 small GTP-binding protein변화

  • 박혜성;이준승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40-48
    • /
    • 1994
  • 세포분화에 따른 Small GTP-binding protein의 역할을 밝히기 위하여 Retinoic acid(RA)와 dibutyryl cyclic AMP(dbcAMP)로 분화를 유도한 F9 기형암종세포의 형태적인 변화와 함께 Small GTP-binding protein의 분포를 조사하였다. RA와 dbcAMP를 처리한 세포는 분화유도 5일경(초기 분화 단계)에 분명한 세포의 경계를 보이기 시작하여 7일경(분화 후기 단계)에는 거의 모든 세포가 등근 분화된 형태로 전환되었다. 이 분화과정 동안 세포막에는 많은 microvilli와 lamellopodia 같은 구조물이 나타났다. 아울러 초기 분화 단계에 많은 량의 laminin이 발현되었으며 분화 후기에 microtubule의 재분포가 관찰되었다. 세종류의 Small GTP-binding protein(25 23, 21 KD)이 F9 세포의 막성분과 세포질에서 관찰되었으며 분화가 진행됨에 따라서 세단백질 모두 증가되는 양상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Small GTP-binding protein이 F9 세포의 분화에 특별한 기능을 가지고 있음을 시사해 주고 있다.

  • PDF

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2에 의한 연골세포 분화 촉진 효과 (Promoting effects of Transforming growth Factor-$\beta$2 on Chondrogenic Differentiation in vitro)

  • 정재창;손종경박대규강신성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20-25
    • /
    • 1995
  • 계배 limb bud 간충직 연골원성 세포로부터 연골세포로의 분화에 미치는 transforming growth factor-f2(TGF-$\beta$2)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Hamburger-Hamilton stages 23/24의 간충직 세포들을 미세배양법으로 배양하면서. TGF-$\beta$2의 농도 및 처리시간에 따른 연골세포의 분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TGF-$\beta$2는 배양 첫 24시간 동안 1-2 ng/ml의 농도로 처리하였을 때 가장 효과적으로 연골세포의 분화를 촉진하였으며, 또한 TGF-$\beta$2의 처리군에서 배양 3일째에 tsss) sulfate의 glycosaminoglvcan으로의 유입량이 현저히 증가함을 보였다 한편. 배양 48시간내에TGF-$\beta$2를 처리한 경우 분화를 촉진 유도한 반면, 배양 48시간 이후에 처리하였을 때에는 분화 촉진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TGF-$\beta$2는 연골원 세포의 분화 초기단계에 세포외기질의 합성을 촉진시켜 세포응축을 유발하고. 세포-세포 및 세포-세포외기질의 상호작용을 증대시킴으로써 연골세포로의 분화를 촉진시킬 것으로 추정되었다.

  • PDF

원자간력현미경(AFM)을 활용한 SH-SY5Y Neuroblastoma 세포의 분화 전후 세포막의 Stiffness 변화 연구

  • 권상우;양우철;전광덕;이지은;이희수;정진권;홍현민;이정민;최푸름;장주희;최윤경;전송희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13년도 제44회 동계 정기학술대회 초록집
    • /
    • pp.599-599
    • /
    • 2013
  • 최근의 원자간력현미경(AFM)은 생체물질을 대상으로 여러 구조적 형상뿐만 아니라 물리적 특성 측정이 가능하여 바이오분야에 다양이 활용되고 있다. 줄기세포의 신경세포로 분화 인지에 대한 연구와 관련하여 본 연구에서는 AFM의 한 기능인 Force-Distance curve 측정법을 활용하여 신경암세포주라 불리는 SH-SY5Y를 대상으로 분화 전과 후의 세포막의 stiffness 변화를 측정하였다. 세포막의 stiffness값은 시료표면과 맞닿은 AFM 탐침에 계속적으로 수직방향의 힘이 가해질 시 AFM 캔티레버의 구부러짐 정도로 측정된다. SH-SY5Y는 RA (retinoic acid) 처리에 의해 분화유도 되었으며, 생물학적 방법인 western blotting법을 통해 분화여부를 확인하였다. 측정영역은 AFM topography 이미지 상에서 roughness가 가장 낮은 분화 전과 후 SH-SY5Y의 핵 주변영역으로 선정하였다. 선정된 영역 내에 여러 부분의 분화 전후 세포막의 stiffness 값을 측정하여 통계화한 결과, 분화 전과 후 세포막의 stiffness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분화 전 SH-SY5Y 세포막의 stiffness는 0.79445 N/m인 반면, 분화 후 SH-SY5Y 세포막의stiffness는 0.60324 N/m로 확인되었다. 이는 분화 전에 비하여 분화 후 SH-SY5Y 세포막의 stiffness가 약 24.07% 감소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생물학적 복잡한 방법이 아닌 간단한 방법으로 세포의 stiffness의 변화 측정을 통한 세포의 분화를 판별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한 것으로 여러 줄기세포의 특정세포로 분화여부 판단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배양계배 근원세포의 분화에 미치는 Fe3$^+$의 영향 (Effect of Fe3$^+$ on Differentiation of Chick Embryonic Myoblasts Cultured in nitro)

  • 유병제;지승완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610-617
    • /
    • 1991
  • 계배 근원세포의 분화 및 증식에 미치는 F3+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철이 없는 배양액은 근원 세포의 분화와 증식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 따라서 근원세포의 분화에 철과 transferrin (Tf)은 필수적이다. 또한, 철 대신에 Co2+가 부착된 Tf가 첨가된 배양액에서도 근세포의 분화가 정상적으로 일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Lysosomotrophic amine(chloroquine, $\mu$M 수준;ammonium chloride, mM 수준)은 근세포의 분화와 증식을 억제시켰으며 , 근세포 분화의 철에 대한 의존성은 분화됨에 따라 둔화되었다. 세포내로의 T니 수송량은 MEM과 8102배양액에서 비슷하였고, 근세포가 분화됨에 따라 감소하였다. Lysosomotrophic azine은 최소한 3시간이 내에서는 세포내로 수송되는 Tf의 양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 PDF

연골세포 분화에 미치는 X-선의 영향 (The Effects of X-Irradiation on the chondrogensis of mesenchymal cells)

  • 하종렬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25권2호
    • /
    • pp.77-82
    • /
    • 2002
  • 이미 분화된 연골세포의 성숙과정에 미치는 X-선의 작용에 대해서는 잘 알려져 있다. 그러나 연골세포나 섬유아세포, 근육세포로 분화될 수 있는 미분화 간충직 세포의 분화과정에 미치는 X-선의 영향에 대해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아, 본 연구에서는 초기 분화연구에 좋은 대상이 되는 계배 미분화 간충직세포를 이용하여 선량(1-10Gy)에 따라 연골세포 분화 과정에 X-선이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선량 의존적으로 연골세포분화가 억제됨을 alcian blue로 sulfated proteoglycan을 염색한 결과를 통해 알 수 있었다. 이는 X-선이 간충직세포와 같은 성숙 이전의 연골성 세포들에게는 모두 영향을 미침을 보여주는 것이다. 또한 이미 알려진 바와 같이 X-선은 분화된 연골세포의 성숙과정에 영향을 주기도 하지만 상기 연구를 통해서 간충직세포로부터 연골세포로 분화하는 과정을 억제시키기도 함을 보여줌으로써 간충직세포로부터 성숙된 연골세포로 되는 전과정에 X-선이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과, 분화가 이루어지지 않은 세포일수록 X-선 조사의 영향을 크게 받음을 알 수 있다.

  • PDF

A549 폐암세포주의 지방세포 분화에 미치는 티록신 및 당질 코르티코이드 호르몬의 상승 효과 (Synergic Effect on Adipocytic Differentiation by a Combination of Thyroxine andGlucocorticoid in A549 Cells)

  • 김현지;문선하;이성호;전병균
    • 생명과학회지
    • /
    • 제33권9호
    • /
    • pp.693-702
    • /
    • 2023
  • 이 연구는 우리 몸에서 포도당 및 에너지 대사에 관련된 호르몬으로 알려진 티록신 및 당질코르티코이드를 지방분화배양액에 단용 혹은 혼용 첨가하여 A549 폐암세포주가 지방세포로의 분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각 지방분화배양액에서 A549세포를 2주 동안 배양한 후, A549세포의 세포 성장률과 말단효소 복원효소를 비교하였을 때, 기본 지방분화배양액이나 PGZ기반 지방분화배양액에서 티록신 및 당질코르티코이드가 단용으로 첨가된 경우보다, 두 호르몬이 혼용으로 첨가되었을 때, 세포의 성장의 유의적으로 억제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세포내 축적된 지방 분자를 염색할 수 있는 Oil Red O 염색과 분화된 지방세포에서 분비되는 여러 아디포카인의 발현을 조사하여 각 지방분화배양액에서 A549 세포의 지방분화능력을 비교하였다. 지방세포로의 분화 능력 역시 티록신 및 당질코르티코이드가 단용으로 첨가된 경우 보다, 두 호르몬이 혼용으로 첨가되었을 때, Oil Red O 염색액으로 염색된 세포내 지방 과립의 수와 크기가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아디포카인의 발현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A549 세포에서 지방세포의 분화를 유도할 때, 포도당 대사 관련 두 호르몬의 혼용 처리가 더욱 더 세포 분화를 촉진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여러 다른 암세포주를 두 호르몬을 혼용하여 첨가한 지방분화배양액에서 처리하여 지방 분화 유도에 의한 세포 성장 억제 효과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체내의 다른 세포, 특히 미분화 줄기세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사람 Mesenchymal stromal cell(hMSC) 분리를 위한 간소화된 방법에 대한 연구 (Study on the simplifying antibody cocktail technique for isolation of human mesenchymal stromal cells (hMSCs))

  • 박정현;김경화;이용무;구영;류인철;한수부;정종평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34권1호
    • /
    • pp.93-100
    • /
    • 2004
  • 많은 연구들에서 hMSC를 얻기 위해 centrifugation, fluoroscence activated cell sorter(FACS), magnetic activated cell sorter(MACS)가 이용되어져 왔다. 그러나 centrifugation만을 이용한 경우 순도가 떨어지며 FACS나 MACS의 경우에는 비용, 시간이 많이 드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antibody cocktail을 이용하여 hMSC를 좀더 쉽게 얻어내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다. 사람의 골반에서 12G의 바늘을 이용하여 골수를 흡입한 후 heparin이 들어있는 시험관에 넣고 처리과정을 시행하기 전에 냉장고에 보관하며 가능한 한 빨리 처리 과정을 실시한다. 얻은 골수에 적당량의 RosetteSep( Stemcell Technologies)을 첨가한 후 실온에서 20분간 반응시킨다. 그 후 적당량의 Ficoll-paque위에 골수와 RosetteSep의 혼합물을 섞이지 않게 올리고 원심분리를 이용하여 원하는 세포층을 얻어낸다. 이 세포층을 따로 분리한 뒤 배양한다. 배양 시 세포가 80%이상 차기 전에 계속 passage를 시행하며 배양한다. 이는 세포가 밀도가 높아져 원치 않는 세포로 분화되는 것을 막기 위함이다. 배양된 세포가 다양한 분화능력을 가지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세 가지로 분화를 유도하였다. 적절한 배지와 적절한 환경에서 배양함으로써 얻어진 세포를 osteoblast, chondroblast, adipocyte로 분화를 유도하였다. 분화된 세포가 원하는 형질의 세포로 분화되었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osteoblast의 경우 alizarin red staining,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 chondroblast의 경우 toluidine blue staining, adipocyte의 경우 Oil-Red-O staining으로 염색하여 분화를 확인하였다. 분리해낸 세포는 각각 세 가지 세포로 분화가 되었으며 이는 RosetteSep이 hMSC를 성공적으로 분리해냈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러나 모든 세포가 분화를 보이지는 않았으며 따라서 hMSC의 순도를 높이기 위한 연구가 더 필요하다. RosetteSep을 이용하면 다른 방법들 보다 쉽게 hMSC를 얻을 수 있으나 기존의 방법과 순도의 측면에서 더 비교할 필요가 있다.

Conjugated Linoleic Acid(CLA) 이성체가 돼지 지방전구세포의 분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Isomers of Conjugated Linoleic Acid on Porcine Preadipocyte Differentiation)

  • 문현석;정정수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6권6호
    • /
    • pp.967-974
    • /
    • 2004
  • 본 연구는 여 러 conjugated linoleic acid(CLA) 이성체가 돼지 지방전구세포의 분화에 미치는 영향을 구영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돼지 지방전구세포는 갓난 돼지의 등 지방에서 분리해서 성숙지방세포로 분화될 때 까지 배양했다. 여러 CLA 이성체를 배양중의 세포에 처리했다. 세포분화는 세포배양이 끝난 후 세포의 glycerol-3-phosphate의 활성도를 측정함으로써 구명했다. 20$\mu$M과 50$\mu$M의 transto-cis12 CLA 이성체는 돼지 지방천구세포의 분화를 억제했고,한펀 cis9-cisl1 이성체는 세포분화를 촉진했다. cis9-trans 11 과 trans9-trans11 이생체는 세포분화에 아무런 영향을 마치지 않았다. CLA의 세포분화에 미치는 작용은 배양후기 (day8${\sim}$14) 보다 배양전기(day 0${\sim}$ 8)에 더 두드러지게 나타냈다. 위의 결과는 여러 CLA 이성체는 돼지 지방천구세포 분화에 각각 다른 작용을 가짐을 나타낸다.

근세포 분화에 관한 연구: 차별 혼성화 스크리닝법에 의한 근원세포 분화 관련 유전자의 클로닝 (Studies on the differentiation of Myoblasts: Molecular Cloning of differentiation related Genes in the Chick Embryonic Myoblasts by Differential Hybridization.)

  • 강봉석;장세헌유병제양재섭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240-248
    • /
    • 1994
  • 골격근 세포는 미분화 단핵 근원세포로부터 신장과 융합을 거쳐 다핵 횡문근섬유로 분화되어 가며 동시에 근특이 유전자의 발현이 선택적으로 일어난다. 본 연구에서는 계배 배양 근원세포의 분화동안 유전자 발현 조절 양상에 대한 연구를 위해, 계배 근원세포를 72시간 배양한 근섬유로부터 CDNA 라이브러리를 제작하였다. 이 cDNA 라이브러리를 미분화 단핵 근원세포(배양 36시간)와 분화된 다핵 근섬유(배양 72시간)의 poly(A)+ RNA 주형에서 합성된 [32P〕cDNA를 Probe로 사용한 differential plaque hybridization 방법으로 스크리닝하였다 분화된 다핵 근섬유 CDNA probe에 강한게 흔성화되는 CDNA clone을 선별하여 클로닝하였다. 선별한 CDNA clone 들 중 하나는 약 1.3 Kb 크기의 삽입절편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 CDNA를 probe로 사용하여 northern blotting 한 결과, 이 CDNA엑 대한 유전자는 미분화 단핵 근원세포에서 분화된 다핵 근섬유로 분화가 진행됨에 따라 유전자 산물인 RNA 양이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 1.3 Kb CDNA에 대한 RNA의 크기는 약 2 7 Kb로 확인되었다.

  • PDF

Conjugated Linoleic Acid(CLA)가 돼지 지방세포와 근육세포의 증식과 분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onjugated Linoleic Acid(CLA) on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of Porcine Adipocyte and Muscle Cell)

  • 정정수;김혜림;강지나;김내수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9권1호
    • /
    • pp.25-32
    • /
    • 2007
  • 본 연구는 여러 CLA 이성체, 즉 cis-9, cis- 11(c9c11), cis-9, trans-11(c9t11), trans-9, trans-11 (t9t11) 및 trans-10, cis-12(t10c12)가 배양 중인 돼지 지방세포와 근육세포의 분화와 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세포는 신생자돈으로부터 분리했다. t10c12 이성체는 지방세포의 분화를 억제했는데(92%) 근육세포의 분화는 억제시키지 않았다. t9t11 이성체는 지방세포의 분화를 억제했는데(14%), 근육세포의 분화는 촉진시켰다(26%). 다른 CLA 이성체는 지방세포나 근육세포의 분화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그리고 CLA가 지방세포와 근육세포의 증식에 미치는 영향은 분화에 미치는 영향에 비해서 작았다. 위의 결과는 여러 CLA 이성체는 돼지 지방세포와 근육세포의 분화에 다른 영향을 미침을 나타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