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세종보

Search Result 322,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A Changes of Opinion according to the Sejong City Construction Plan Using Media Big Data Analysis (빅데이터 분석을 이용한 세종시 건설 계획에 관한 여론 변화)

  • Jo, Sung Su;Lee, Sang Ho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0 no.8
    • /
    • pp.19-33
    • /
    • 2020
  • This study aims to analyze on the changes of opinion in terms of Sejong City construction using big data. The research data are newspaper articles related to the argument of construction in Sejong City. The newspaper article data was reported by Hankyoreh, Dong-A Ilbo and Hankook Ilbo. The arguments related to the construction of Sejong City was included the new administrative capita, multifunctional administrative city and amendments of Sejong City. The analysis method used in this study is frequency analysis, sentiment analysis and social network analysis using python and gephi 0.9.2 program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frequency analysis, the keywords of Hankyoreh showed the characteristics of consent - consent - dissent 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period of Sejong City. The Dong-A Ilbo showed positions of dissent - dissent - consent. In addition, the Hankook Ilbo was analyzed to have the characteristics of dissent - consent - dissent tendency. Secondly, results of sentiment analysis, The Hankyoreh showed positive - positive - negative tone. The characteristic of Dong-A Ilbo is that the focus has changed from negative to negative to positive. The Hankook Ilbo showed that changed from negative to positive to negative. Finally, the results of social network analysis are as follows. At the time of the construction of Sejong City, each opinion of media was showed a changes in issues according to political and ideological characteristics such as conservative, progressive and moderation. In detail, Hankyoreh focused on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The Dong-A Ilbo represented the opinion of the Conservative Party. The Hankook Ilbo was highlighting the issues confronting the conservative party and progressive party during the construction of Sejong City.

Analysis of Correlation Between the Number of Cyanobacterias and Water Quality Parameters in Geum River (금강유역의 남조류 세포수와 수질인자 간의 상관관계 분석)

  • Park, Gue Tae;Jang, Dong W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213-213
    • /
    • 2020
  • 최근 나타나는 지구온난화와 이상기후로 인해 가뭄과 홍수피해 같은 자연재해 발생 빈도가 높아졌고, 하천에서는 오염된 수질과 수생태계 복원 및 수변공간 조성, 수자원 관리 등의 목적으로 수질환경 개선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수질환경 측면에서 하천에서 발생하는 가장 큰 문제점으로는 녹조 즉, 남조류의 발생을 예로 들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보 개방을 통하여 수질개선 효과가 나타나고 있는 금강을 대상으로 세종보, 공주보, 백제보 구간에 대하여 주요 수질인자에 대한 상관관계 분석을 수행하였다. 특히 남조류 세포수와 주요 하천 수질인자를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를 이용하여 상관관계를 분석하였고, 보 위치별 남조류 세포수를 종속변수로 하고, 상관도가 높은 수질인자를 독립변수로 하는 다중회귀식을 도출하여 금강 내 주요 하천 수질인자의 농도에 따른 남조류 세포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분석기간은 2012년 1월부터 2019년 12월까지 보 건설 이후 시점으로 선정하였고, 월 평균 남조류 개체수가 조류경보제 발령기준 관심단계이상에 해당하는 금강수계의 3개 보에 대하여 남조류 세포수와 수질에 영향을 끼치는 인자인 강수량, (수온)W·T, (수소이온농도)pH, (용존산소)DO, (생물화학적산소요구량)BOD, (화학적산소요구량)COD, (부유물질량)SS, (총질소)TN, (총인)TP, (클로로필-a)Chl-a, (전기전도도)EC, (질산성질소)NO3-N, (암모니아성 질소)NH3-N, (인산염 인)PO4-P, (용존총질소)DTN, (용존총인)DTP, (총유기탄소)TOC 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측정 지점별 남조류 세포수와 상관관계가 있는 인자는 서로 상이했지만 (수온)W·T과 pH의 경우 모든 지점에서 남조류 세포수와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세종보는 W·T(0.383, P<0.01), pH(0.391, P<0.05)의 양의 상관계수를 나타냈고, 공주보에서는 (수온)W·T(0.436, P<0.05), pH(0.412, P<0.05)의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백제보에서는 (수온)W·T(0.415, P<0.01), pH(0.221, P<0.01)의 양의 상관성을 나타냈다. 남조류 세포수와 수질인자 간의 상관관계 분석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인자 중 (수온)W·T과 pH에 영향을 받는 영양염류와 퇴적물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며, 연구를 통해 제시된 남조류 세포수 다중회귀식은 주요 수질인자 농도에 따라 발생 가능한 남조류세포수를 예측하여 금강의 수질 관리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 Study on the Use of Closed School Regarding the Change of Provincial Condotions (Case of Closed School in Yeongi Province) (도시구조 변화에 따른 폐교활용에 관한 연구(연기군 지역 폐교 사례를 중심으로))

  • Ha, Song-Byung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3 no.1
    • /
    • pp.390-398
    • /
    • 2012
  • This study examined the present condition of the closed elementary school in the Yeongi province, where much of the area will be transformed into the city of Se-Jong, and suggested the renewal plan in the future. Among the twelve(12) schools, eight(8) that have transferred to private sectors were analyzed in respect to lot size, present usage, surroundings, means of approach, and distance from the most populated area, ect.. Additionally, interview with the management official of school board was taken in place. The findings include: two(2) schools that are located nearer then others to the newly-born city can be rehabilitated as educational facility, such as training institute and cultural experience place. Other six(6) schools can be utilized as senior citizens' center, community center, medical substation, hobby farm, or even community warehouse.

Development of dam inflow forecasting method using VARX model (VARX 모델을 이용한 댐 유입량 전망기법 개발)

  • Kwon, Yoon Jeong;Kim, Jinyoung;Yu, Jaeung;Kang, Subin;Kwon, Hyun-h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406-406
    • /
    • 2022
  • 댐은 물을 담아두어 강수량에 따른 유량을 조절하거나, 하천의 물을 끌어와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역할 또는 모래, 자갈 등을 막아 걸러주는 역할 등을 수행한다. 우리나라의 경우 지역별, 계절별 강수량의 차이가 크며, 그로 인해 유량이 지역과 계절에 영향을 크게 받는다. 이런 변동성을 조절하기 위해 치수와 이수, 두 분야 모두에서 댐의 중요성이 크다. 이뿐만 아니라 기후변화로 인한 변동성의 극대화로 인해 그 중요성이 나날이 커지고 있다. 댐을 운영하기 위해서는 강수량에 따른 댐 유입량의 예측을 하여, 적절한 방류 시기 및 방류량을 결정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기후변화로 인한 변동성의 증대로 홍수와 가뭄과 같은 재해의 빈도와 심도가 커지면서 댐 유입량의 예측이 어려워지고 있다. 댐의 설계나 유지관리를 위해 홍수에 대해서는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던 것에 비해, 갈수기의 경우 물 부족으로 인해 유량이 적어져 댐 유입량에 대한 정확한 산정이 어려워 가뭄 시 댐 유입량에 관한 연구가 홍수 시에 비해 적게 연구된 것이 실정이다. 따라서 가뭄 시 댐 연구를 위해 갈수기의 댐 유입량에 대한 정확한 산정 및 예측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댐 주변의 지하수위와 하천수위의 관계성을 보이고 각각 다른 변량 간의 시간적 종속성을 고려하는 동시에 상호연관된 변량의 시간적 종속성을 동시에 고려한VARX(vector autoregressive-exogenous) 모델을 이용하여 정확한 댐의 유입량을 산정 및 예측하고 그에 대한 검증을 시행하여, 댐 분야에서 가뭄에 대비할 수 있는 근간을 마련하였다.

  • PDF

학습된 선형 변환 기저를 이용한 VVC 잔자신호 변환

  • Kim, Nam-Uk;Lee, Yeong-Ryeo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20.11a
    • /
    • pp.160-161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비디오 코딩 잔차신호를 보다 효율적으로 변환하기 위하여 오프라인으로 잔차신호를 학습하여 RD(Rate Distortion) Cost를 기반으로 분류된 몇 가지 변환 기저들을 생성하고, 비디오 복호화 과정 중 잔차신호를 역변환을 수행할 때 주변의 복호화가 완료된 신호들을 이용하여 최적의 변환 기저를 선택하여 해당 변환 기저로 역변환을 수행하여 효율적으로 잔차신호를 압축하는 방법에 대해 제안한다. 변환 기저 생성에는 분류된 잔차신호들에 대하여 2 차원 혹은 1 차원 KLT를 계산함으로써 얻어내어진다. 제안하는 방법은 VTM(VVC Test Model) version 10에서 실험하였으며 약 0.5% 정도의 성능향상을 보인다.

  • PDF

Efficient Mesh Reconstruction Based on Modified Weight Factor (수정된 가중치를 이용한 효율적 Mesh Reconstruction)

  • Jung, Woo-Kyung;Han, Jong-Ki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22.06a
    • /
    • pp.1275-1277
    • /
    • 2022
  • Structure-from-Motion(SfM), Multi-view Stereo(MVS)이 이용되는 3D Reconstruction 과정에서 생성된 3D 포인트 클라우드는 RGB 영상에 기반하여 생성되므로 실제 객체 혹은 Scene 과 달리 point 와 point 간에 존재하는 빈 공간이 발생한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3D 포인트 클라우드를 이용하여 3D Mesh 를 복원하는 Mesh Reconstruction 과정을 거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Mesh Reconstruction 과정에서 자유공간 지지도에 기반해 수정한 가중치를 이용하는 효율적인 방법을 제안한다. 실험을 통하여 제안한 알고리즘을 이용한 복원 결과가 기존보다 개선됨을 보인다.

  • PDF

조선시대 소규표에 관한 연구

  • Min, Byeong-Hui;Kim, Sang-Hyeok;Lee, Gi-Won;An, Yeong-Suk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36 no.1
    • /
    • pp.25.1-25.1
    • /
    • 2011
  • 우리는 조선시대에 제작된 소규표의 크기와 설치 위치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세종실록>의 기록에 의하면 40척의 규표(이하 대규표)는 1432년(세종 14)과 1437년(세종 19) 사이에 제작되어 간의대 서쪽 옆에 세웠다는 사실은 잘 알려져 있다. 반면 소규표에 대해서는 그동안 잘 알려진 바가 없었다. 그러나 이순지의 <제가역상집>과 기타 여러 문헌 연구를 통해 소규표도 조선전기에 제작되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명종실록>에는 동지와 보름에 대규표와 소규표를 이용하여 해와 달의 그림자길이를 관측한 기록이 있다. 이 연구에는 이러한 소규표 관련 문헌들의 내용을 소개하고자 한다. 아울러 <명종실록>의 기록과 현대 천체역학적 계산을 통해 소규표의 표의 길이는 전통적인 규표의 크기인 8척임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소규표는 경복궁 간의대 주변에 설치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연구 결과들은 향후 규표 복원 연구에 매우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남극세종기지($62^{\circ}S$, $57^{\circ}W$) 유성 레이더로 관측한 중간권계면에서의 중량파 특성

  • Lee, Chang-Seop;Kim, Yong-Ha;Kim, Jeong-Han;Choe, Jong-Min;Ji, Geon-Hwa
    • Bulletin of the Korean Space Science Society
    • /
    • 2010.04a
    • /
    • pp.29.3-29.3
    • /
    • 2010
  • 남극세종기지 상공 중간권계면에서의 중량파(gravity wave)를 연구하기 위해 세종기지 유성 레이더로 관측한 유성 에코를 분석하였다. 2007년 이후 유성 에코의 공간적 이동으로부터 유성 관측 고도에서의 수평 바람 정보를 지속적으로 수집해왔다. 80-100 km 고도에서의 바람 프로파일에서 지구 규모의 성분인 평균 바람(Mean wind), 대기 조석 효과(Tides)를 제거하여 국지적인 규모의 중량파에 의한 바람 변화폭(wind variance)을 결정하였다. 월 단위로 평균한 결과로부터 중량파가 계절과 고도에 대한 뚜렷한 특징을 보이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남극 지역에서의 중량파는 동서방향의 바람(zonal wind)와 저층 대기의 남극 소용돌이(vortex)와 깊은 관련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남극 반도에 위치한 Rothera 기지에서의 관측 결과와의 비교를 통하여, 남극 반도에서 발생하는 중량파가 중간권과 저층 대기 사이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 지를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PDF

Robust Method for Sentence Boundary Identification in informal documents (비형식적인 문서에 강건한 문장 경계 인식)

  • Kim, Ju-Hee;Seo, Jung-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0.06c
    • /
    • pp.266-270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구두점이나 띄어쓰기가 없는 비형식적인 문서에서도 문장의 경계를 잘 인식할 수 있는 문장 경계 인식기를 제안한다. 기존의 문장인식기는 문장경계의 후보를 구두점 출현 위치만으로 하였는데 이는 잡음이 많은 웹문서를 처리하는데 한계가 있다. 반면에 제안한 방법은 문장 경계의 후보를 구두점의 출연 위치로 제한하지 않고 문장 경계 인식을 위한 자질로 구두점에 비 의존적인 음절 n-gram을 사용함으로써, 구두점이 잘 표현된 문서뿐만 아니라 구두점의 생략이 빈번한 웹문서의 문장 경계 인식까지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통계기반의 기계학습 기법으로 CRFs를 이용하여 하였고, 학습과 실험에 세종계획 말뭉치를 사용하였다. 제안한 문장 경계 인식기는 세종계획 말뭉치에서 99.99%의 정확률과 100.00%의 재현율을 보였고, 세종계획 말뭉치에서 문장 경계의 구두점을 제거한 경우에도 96.20%의 정확률과 87.51%의 재현율을 보여 구두점이 없는 경우에도 문장 경계 인식이 잘이루어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The composition and characteristic of the funeral of Ui-Kyoung Prince during the Reign of King Sejo in the Joseon dynasty (조선(朝鮮) 세조대(世祖代) 의경세자(懿敬世子) 상장례(喪葬禮) 구성과 특징)

  • Cho, yong cheol
    • Journal of Korean Historical Folklife
    • /
    • no.45
    • /
    • pp.127-160
    • /
    • 2014
  • 조선은 의례를 국가통치수단으로 적극 활용한 국가였으며, 이는 "세종실록" "오례" 와 "국조오례의"로 대표된다. 그런데, "세종실록" "오례" 와 "국조오례의"에서 국왕 상장례 절차는 모두 수록하고 있는 반면 세자의 상장례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고 있다. 때문에, 조선의 세자 상장례는 조선 최초의 세자 상장례인 의경세자 상장례를 참고하여 진행되었다. 의경세자 상장례의 기본 절차는 국왕 상장례를 따르고 있었으나, 같은 국상이라 하더라도 세자는 왕위계승자의 신분이었기 때문에 국왕과 차별을 두어야 했다. 따라서 세자 상장례는 국왕 상장례에서 한 등급 낮추어 진행되었다. 의경세자의 상장례는 비록 국상 차원에서 이루어졌지만 그 절차 속에 일반 종친 혹은 대부 상장례의 요소들이 확인된다. 이것은 세자의 지위가 사망을 통해 변하고 있음을 시사하는 것으로 국왕과 세자의 차별을 부각시켜왔던 세조대의 고민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