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성장온도

검색결과 2,708건 처리시간 0.027초

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와 헥사플루오르프로필렌 공중합체의 합성 (Synthesis of Poly(vinylidene fluoride-co-hexafluoropropylene))

  • 이상구;하종욱;박인준;이수복;이종대
    • 폴리머
    • /
    • 제37권1호
    • /
    • pp.74-79
    • /
    • 2013
  • Polyvinylidene fluoride(PVDF)와 다양한 조성을 갖는 P(VDF-co-HFP)를 개시제 diisopropyl peroxidicarbonate(DIPPDC)와 용매 R-113을 사용하는 용액중합방법을 통해 성공적으로 합성하였다. 공중합의 VDF와 hexafluoropropylene(HFP)의 반응성 비는 $r_{VDF}=2.06{\pm}0.03$$r_{HFP}{\approx}0$으로 확인되었다. 이결과는 HFP의 자가 사슬성장이 거의 일어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고분자의 중량평균 분자량 및 분포도는 HFP 함량이 증가할수록 점차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성을 보였다. 고분자의 녹는점은 HFP 함량이 증가할수록 결정화를 방해하기 때문에 선형적으로 낮아지는 경향성을 나타내었다. 더욱이 높은 HFP 함량에서는 녹는점이 발견되지 않았다. 고분자의 유리전이 온도의 경우, HFP 함량이 증가할수록 고분자사슬의 유동성을 감소시켜 점차적으로 상승하였다.

Diplodia gossypina ATCC10936 균주를 이용한 (+)-Jasmonic acid의 생산조건 최적화 (Optimal Conditions for the Production of (+)-Jasmonic acid by Diplodia gossypina ATCC10936)

  • 고인호;김경주;김용휘
    • 미생물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210-215
    • /
    • 2006
  • Diplodia gossypina ATCC 10936에 의해 생산되는 카이럴(+)-jasmonic acid(JA)는 생물학적으로 가장 활성이 높은 형태로 식품성장 hormone으로서 뿐만 아니라 상업적으로 jasmingid 생산에 이용되는 중요한 물질중 하나이다. (+)-JA의 대량 생산을 위한 공정 개발을 위해, D. gossypina ATCC10936을 이용하여 (+)-JA 생산을 위한 최적배양 조건을 조사하였다. 최적 탄소원으로는 fructose와 glucose로 확인되었으며 질소원으로는 $NaNO_3$ (+)-JA를 생산에 가장 적합하였다. (+)-JA 생산의 최적 온도와 회전 교반수는 $28^{\circ}C$와 200 rpm으로 나타났다. 균사체의 균체량은 PDMYS 배지에서 최대로 증가하였으나, (+)-JA 생산은 SM 배지에서 최대 600 mg/L가 생산되었다.

TEP 분석을 이용한 냉간가공된 Zr-based 합금의 등온열처리에 따른 회복 및 재결정 거동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Recovery and Recrystalligation of Cold-lolled Zr-based Alloys by Thermoelectric Power Measurement During Isothermal Annealing)

  • 오영민;정흥식;김선진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11권6호
    • /
    • pp.483-491
    • /
    • 2001
  • 냉간가공된 Zr 합금을 $575^{\circ}C$에서 $650^{\circ}C$의 온도범위에서 유지시간을 달리하여 열처리하는 동안에 발생하는 회복 및 재결정 거동을 TEP(ThermoElectric Power)와 미소경도 분석을 통하여 연구하였다. 냉간가공과 열처리에 따른 합금의 회복 및 재결정온 격자결함, 공공, 전위, 적층결함 등이 소멸함에 따라 TEP가 증가하는 거동을 보였다. 이러한 TEP 분석은 미소경도 분석에 비해 재결정의 완료를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었으며, 특히, Zr-0.4Nb-xSn합금에서는 미소경도 분석으로 쉽게 구분하기 어려운 회복 및 재결정 단계를 명확하게 나타내었다. TBP와 미소경도 분석을 이용한 Zr-base합금의 재결정 거동에 따르면, Sn을 첨가하는 경우에 Sn이 치환형 고용체로 존재하기 때문에 이로 인한 응력장과 전위와의 상호작용에 기인하여 회복이 지연되는 현상을 가져왔으며, Nb함량을 증가시키는 경우에는 재결정 지연 효과가 미미하였으나, 석출물 형성에 의한 결정립 성장의 지연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 PDF

한국 연안산 질소고정 단세포 남세균 종주의 최적 성장 및 수소생산 온도 (Optimal Temperature for H2 Production and Population Growth of the N2-fixing Unicellular Cyanobacterial Strains from Korean Coasts)

  • 박종우;김형섭;이원호
    • 한국수소및신에너지학회논문집
    • /
    • 제24권1호
    • /
    • pp.20-28
    • /
    • 2013
  • Photobiological hydrogen production by nitrogen-fixing unicellular cyanobacteria has long been considered to be an environmentally sound and very promising method for the future supply of renewable clean energy. Using six Korean nitrogen-fixing unicellular cyanobacterial strains and the Synechococcus sp. strain Miami BG043511 we performed cultivation experiments to find out the strain-specific optimal temperature for population growth and $H_2$ production. Under $20^{\circ}C$ the population growth of all the tested strains was significantly retarded in contrasts to the faster and higher growth under 25, 30 or $35^{\circ}C$. The highest growth rates in all the 7 strains were measured under $30^{\circ}C$ while the maximal biomass yields were under $30^{\circ}C$ (strains CB-MAL 026, 054, and 055) or $35^{\circ}C$ (strains 002, 031, 058, and Miami BG043511). The difference between the maximal biomass yields at $30^{\circ}C$ and $35^{\circ}C$ was not greater than 10%. The quantity of photobiologically produced $H_2$ was only slight larger under $35^{\circ}C$ than that under $20^{\circ}C$. Our result may suggest a two-step process of $H_2$ production which includes rapid and sizable production of biomass at $30^{\circ}C$ and the following high $H_2$ production at $20^{\circ}C$ by the test strains of marine nitrogen-fixing unicellular cyanobacteria.

식품부산물로부터 유기산의 대량생산공정에 관한 연구 - Propionibacterium acidipropionici의 발효 특성 - (Production of Organic Acids from Food By-Products -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Propionibacterium acidipropionici -)

  • 진선자;주윤상;황필기;최철호;이의상
    • KSBB Journal
    • /
    • 제19권6호
    • /
    • pp.478-483
    • /
    • 2004
  • 본 연구를 통하여 유기산 생산을 위한 본 연구를 통하여 유기산 생산을 위한 Propionibacterium acidipropionici의 발효 특성을 규명하여 보았다. P. acidipropionici ATCC 25562, 4875, 및 4965 등 세 균주를 선별하여 발효 실험에 의한 최적 성장조건을 규명한 결과, peptone $1.5\%$ (w/v), yeast extract $0.75\%$ (w/v)에서 유기산 생산성이 최대로 나타났다. 또한 주어진 영양 조건에서 온도, pH 등 환경을 제어하며 회분식 발효를 실시한 결과 세 균주 모두 pH 6.0에서 유기산 수율과 생산성이 가장 높았으며, 그 중에서도 P acidipropionci ATCC 4965 균주가 유기산 생산성이 0.29 g total acids/L/h로 가장 우수한 것으로 판명 되었다. 세 균주의 화학양론적인 유기산 생산비를 비교해본 결과 1.5몰의 글루코오스로부터 $1.60{\sim}2.34$몰의 프로피온산과 $0.74{\sim}1.05$몰의 초산을 생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선 통신 기반 스마트 농장 온습도 제어 방법론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Control Methodology of Smart Farm ased o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 박세현;오성현;이상민;맹준석;고윤석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851-858
    • /
    • 2018
  •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 농장의 경제성과 생산성을 제고하기 위한 스마트 농장을 위한 온습도 제어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스마트 농장의 기본 조건을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무선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스마트 농장내의 센서 및 제어대상간 정보교환 시스템을 설계하였으며, 스마트 농장내의 온도, 습도 그리고 토양습도가 식물 성장에 적합하게 설정된 기준 값을 추종하도록 온습도 제어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제안된 설계 방법론 및 제어 알고리즘의 유효성을 검증하기 위해서 2.4GHz 무선통신 기반 소규모 스마트 농장의 프로토타입을 제작하였으며, 온습도 실험을 통해서 그들의 유효성을 확인하였다.

어묵의 유통기한 예측모델의 개발 (Developing a Predictive Model for the Shelf-life of Fish Cake)

  • 강지훈;송경빈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5호
    • /
    • pp.832-836
    • /
    • 2013
  • 어묵의 유통기한을 예측하기 위해서 어묵을 30, 35, $40^{\circ}C$에서 각각 저장하면서 저장기간 중 총 호기성균 수를 측정하였다. Gompertz model을 이용하여 최대성장속도와 유도기를 구하였고, 각 parameter의 온도 의존성에 대한 식을 통해 유통기한에 관한 예측모델 식을 얻었다. 예측모델 식으로부터 계산된 유통기한은 0, 4, $10^{\circ}C$에서 각각 6.9, 5.5, 3.8일이었다. 이렇게 얻어진 예측모델 식의 적합성 평가를 위해 $A_f$$B_f$ 값을 산출한 결과, 각각 1.008, 1.003으로 나타나 예측모델식의 적합성이 뛰어났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본 연구에서 얻어진 유통기한예측 모델 식은 어묵의 유통기한 설정의 기초연구로써 활용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혼합 미생물에 의한 음식쓰레기 처리와 악취 제거 (Treatment of Waste Food using Mixed Microorganisms Responsible for the Degradation of Malodor Compounds)

  • Yun, Soon-Il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413-420
    • /
    • 2003
  • 축산폐기물의 퇴비화에 사용된 혼합 미생물을 이용해서 음식쓰레기 처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악취를 효과적으로 처리 하고자 하였다. 시판되는 가정용 음식쓰레기 처리기를 사용하여 음식쓰레기의 퇴비화와 악취저강 특성을 조사하였다. 퇴비화는 10일 경과후부터 인정화되었으며, 혼합 미생물을 첨가한 경우 온도와 pH가 혼합 미생물을 첨가하지 않은 것과 비교해 더 빨리 증가하였으며, 퇴비화의 지표 중에 하나인 전기전도도 (Conductivity)도 1.2 에서 2.4 mS/cm로 혼합 미생물을 첨가하지 않은 경우의 1.3 mS/cm 보다 급격한 상승을 보였다. 식품쓰레기 처리 중에 발생되는 악취 물질, 즉 황화수소와 저급지방산은 8 일 동안에 각각90-100%와 70-80%로 효과적으로 제거되었다. 또한 알칼리 상태와 고온의 조건에서 성장하는 미생물이 퇴비화 과정 중에 우점 하였으며, Bacillus cereus No. 15 균주가 혼합 미생물 중 효과적인 식품쓰레기처리와 악취제거에 관여하고 있다는 사실을 증명하였다.

남해안 해수로부터 원유 분해 세균의 분리 및 특성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Oil Degrading Bacteria from Southern Sea of Korea)

  • 김학주;김봉조;공재열;구헌서
    • KSBB Journal
    • /
    • 제15권1호
    • /
    • pp.27-34
    • /
    • 2000
  • 남해안 유류 오염지역으로부터 유류분해능이 우수한 균주를 선별하여 동정한 결과 Pseudomonas aeruginosa로 동정되었으며, Pseudomonas aeruginosa BYK-2로 명명하였다. 균 성장 및 생물 유화제 생산을 위한 최적배양온도, 시간, pH, NaCl 농도는 각각 $25^{\circ}C$, 48시간, 7.0 이었으며, NaCl은 첨가하지 않았을 때 가장 많은 양의 생물유화체가 생산되었다. 본 균주의 경우, 1%(w/v) arabian light 원유와 bunker C oil을 기질로 7일간 배양한 결과 92.1%(w/w)와 76.2%(w/w)가 생분해되었다. n-hexadccane 에 대한 세포부착능이 실험에서는 탄화수소화합물들(arabian light 원유, kuwait 원유, bunker C 유, n-paraffine, n-hexadecane, n-tetradecane)을 기질로 배양했을때는 모두 80% 이상의 높은 세포부착능을 나타냈으며, 지방산들(oleic acid, olive oil, lecithin)중에는 lecithin을 기질로 배양했을 때 91.5%로 가장 높은 세포부착능을 나타냈어다. 또한 당들(arabinose, trehalose, dextrose, galactose, lactose, fructose, maltose, sorbitol, sucrose)을 기질로 했을 경우 arabinose, galactose, sorbitol, sucrose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70%이하의 세포부착능을 나타냈다.

  • PDF

Alcaligenes eutrophus에 의한 Polyhydroxybutyrate의 합성에 관한 산소효과 (Effect of Oxygen Composition on Polyhydroxybutyrate Synthesis by Alcaligenes eutrophus at Various Pressures)

  • 김교근;신선경;권효식
    • 분석과학
    • /
    • 제10권1호
    • /
    • pp.75-81
    • /
    • 1997
  • Poly-${\beta}$-hydroxybutyrates(PEB)는 토양에서 완전히 이산화탄소와 물로 분해되는 세포 내에 생성되는 고분자 물질로 잘 알려져 있다. Alcaligenes eutrophus의 세포 성장과 PHB의 생산성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가압배양법이 사용되었다. 실험 데이타를 다양한 가압과 온도하에서 탄소 공급원과 기체성분의 영향에 관해서 분석한 결과 0.0075vvm의 기체수소를 공급한 배양이 수소를 공급하지 않은 배양에 비해 더 나은 PEB 생산성을 나타내었고, 6atm, $30^{\circ}C$에서 산소의 성분비를 2%에서 8%로 변화시켰을 때 더 높은 수율과 PEB의 생산성을 얻을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