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성상신경절

검색결과 62건 처리시간 0.023초

유방암 감염성 림프부종 환자에서 성상신경절 블록이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tellate Ganglion Block on Breast Cancer-Related Infectious Lymphedema)

  • 이윤영;박학수;이연실;유승희;이희승;김원중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21권4호
    • /
    • pp.158-162
    • /
    • 2018
  • 유방암에 의한 림프부종은 유방암 수술 이후 생기는 치료하기 힘든 부작용 중 하나로 여겨져 왔다. 환자들은 림프부종에 의한 신체적인 기능저하뿐만 아니라 삶의 질 저하로 인한 정신적인 우울감을 호소한다. 최근의 연구에서는 봉와직염이 유방암에 의한 림프부종의 위험성을 현저히 높인다는 결과가 있었고, 봉와직염 자체가 유방암에 의한 림프부종을 일으키는 위험 인자로 제시되어 왔다. 본 증례에서는 1달간의 성상신경절 블록으로 유방암에 의한 염증성 림프부종 환자의 증상 완화 및 팔 둘레의 현저한 감소에 대해 기술 하고자 한다. 우리는 환자의 팔 둘레를 4군데에서 측정하였는데 각각 팔꿈치를 기준으로 위 아래 5 cm, 10 cm에서 측정이 이루어졌다. 또한 통증 점수(NRS) 와 breast cancer questionnaire (LBCQ) 점수를 외래 방문마다 측정하였다. 두 번의 연속적인 성상신경절 블록 이후 환자의 통증 점수 및 팔 둘레는 감소하였고, 치료 중간에 봉와직염이 재발하여 다시 입원하여 항생제 치료와 병행하여 연속적인 성상신경절 블록을 시행하였고 환자는 시술의 결과에 대해 매우 만족하였다. 특히 환자는 통증 및 붓기의 완화와 어깨 관절의 움직임 개선에 큰 만족을 보였고, 결과적으로 환자의 삶의 질을 높이는데 기여하였다. 본 증례는 유방암에 의한 염증성 림프부종에 대한 성상신경절 블록의 효과에 대한 연구로, 스테로이드를 사용하지 않는 성상신경절 블록이 치료하기 힘든 염증성 림프부종 환자의 대체적이면서 보조적인 치료 방법으로 제시 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안면 다한증의 하부성상 교감신경절 절제술 (Thoracoscopic Stellate Ganglionectomy for Facial Hyperhidrosis)

  • 김일현;김광택;이인성;김형묵;김학제;이건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1권3호
    • /
    • pp.226-232
    • /
    • 1998
  • 최근 흉강경 수술수기 및 기구의 발달로 본태성 안면 다한증 치료에 대한 흉강경을 이용한 교감신경절 절제술은 안전하고 효과가 우수한 치료방법으로 적용이 늘고있다.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흉부외과에서는 1996년 7월부터 1997년 4월까지 본태성 안면 다한증을 호소한 43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비디오 흉강경을 이용한 하부성상 교감신경절 절제술을 시행한 후 효과를 조사하였다. 대상이된 환자들의 성별은 남자가 33명 여자가 10명이었으며, 평균 연령은 37세였고, 다한증 부위는 순수 안면 다한증 23례, 수부 및 족부동반 안면 다한증 20례였다. 수술부위는 하부성상 교감신경절 절제술 12례, 하부성상 교감신경절 및 제 2번 흉부 교감신경절 절제술 28례였으며, 하부성상 교감신경절 및 제 2번, 3번 흉부 교감신경절 절제술이 3례였다. 수술후 합병증으로는 흉부 통증 8례, 안검하수 4례, 기흉 1례있었다. 보상성 다한증은 36례(83.7%)에서 발생하였으며, 부위별로는 체간 19례, 대퇴부 3례, 족부 2례, 체간 및 대퇴부 10례, 체간 및 족부가 2례발생하였다. 수술결과는 퇴원후 3개월 이상 경과후 추적관찰 결과 다한증 증상에 있어 32례(74.4%)에서 매우 호전을 보였고 11례에서 수술전보다 호전을 보였으며, 만족도에서도 "만족한다"가 33례(76.7%), "대체로 만족한다"가 8례(18.6%)였으며 "불만족"도 2례(4.6%)에서 조사되었다. 본태성 안면 다한증에서 비디오 흉강경을 이용한 하부성상 교감신경절 절제술은 증상 호전에서 만족할만한 결과를 보였으나, 보상성 다한증은 수술후 만족도를 저하시키는 주된 부작용으로, 이에 대한 개선 연구가 필요하다.

  • PDF

척수손상환자의 변비에 있어서 성상신경절 차단의 효과 -2예 보고- (The Effects of Stellate Ganglion Block for Constipation in the Spinal Cord Injured Patients -Report of 2 Cases-)

  • 양내윤;문동언;서재현
    • The Korean Journal of Pain
    • /
    • 제7권2호
    • /
    • pp.254-257
    • /
    • 1994
  • 본 통증치료실에서는 제 1흉추이하의 척추손상을 받은 33세 여자 환자 및 제 10흉추이하의 척수손상을 받은 43세 여자 환자의 심한 변비증상을 치료하고자 현재까지 성상신경절 차단을 주 4회 이상 각각 47회 및 29회를 시행한 바 9회 및 10회째부터는 변비약재의 투여없이 3일 내지 5일에 한번정도의 자발적인 배변을 보고 있으며, 복부의 불편함, 발열감, 긴장감 및 어깨의 통증 등이 소실되는 우수한 효과를 보았다. 이러한 결과는 관리가 어려운 척수손상 환자의 변비증상에 있어서 성상신경절 차단을 반복적으로 시행하는 것은 변비증상 및 이와 관련된 증상들을 치료하는데 우수한 효과를 얻을 수 있으리라고 기대되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 PDF

성상신경절 차단후 발생한 반대측 호너 증후군 (Contralateral Horner's Syndrome after Stellate Ganglion Block -A case report-)

  • 송선옥;이덕희;박대팔
    • The Korean Journal of Pain
    • /
    • 제8권1호
    • /
    • pp.164-167
    • /
    • 1995
  • 대상포진후 신경통으로 체성신경 차단과 함께 성상신경절 차단을 반복적으로 받아오던 64세 여자환자에서 열세번째 우측 성상신경절 차단후 반대측인 좌측에 호너씨 증후군이 발생되었다. 그 원인은 명확하지 않지만 시술 도중 환자머리의 좌측회전으로 인한 해부학적 위치변화와 술자의 부정확한 지표선정 및 주사바늘의 안쪽방향등으로 약제가 중앙선을 넘어 주입된 것으로 추정할수 있다.

  • PDF

본태성 다한증의 흉부 교감신경절 절제술 (Thoracic Sympathetic Ganglionectomy for Primary Hyperhidrosis)

  • 김일현;김광택;이인성;김형묵;김학제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1권5호
    • /
    • pp.519-524
    • /
    • 1998
  •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흉부외과에서는 1996년 1월1부터 1996년 12월말까지 1년동안 수술한 본태성 다한증 환자 137명을 대상으로 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대상 기간에 다한증으로 수술한 환자는 모두 137명이며, 남자가 83명, 여자가 54명이였다. 환자의 연령 분포는 최소 13세에서 63세까지였으며, 평균나이는 25세였으며, 이중 128명은 수부 다한증이었고 안면 다한증의 경우도 26명이었다. 수술시 교감 신경절 부위는 하부성상 교감 신경절 절제술 4례, 하부성상 교감 신경절과 흉부 2번 교감 신경절 절제술 18례, 흉부 제 2번 교감 신경절 절제술 86례, 흉부 2번, 3번 교감 신경절 절제술 10례였으며, 제 2번부터 4번까지 흉부 교감 신경절 절제술도 19례있었다. 평균수술시간은 59분 이였으며, 평균입원기간은 3.8일이었다. 흔한 합병증으로는 보상성 다한증(109례)과 통증(18례)이있었으며, 평균 8개월간 추적조사한 결과 97%에서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태성 다한증에서 비디오 흉강경을 이용한 흉부 교감 신경절 절제술의 적용은 효과면 에서 만족할만하며, 안전한 수술이다.

  • PDF

체열촬영술을 이용한 성상신경절 차단의 평가 -증례 보고- (Thermographic Follow-up of the Stellate Ganglion Block -Case Report-)

  • 박영주;우남식;이예철
    • The Korean Journal of Pain
    • /
    • 제7권2호
    • /
    • pp.258-262
    • /
    • 1994
  • Thermography is a non-invasive, comfortable, diagnostic technique to monitor successful sympathetic block. We observed abnormal thermal distribution during disease state and then followed with thermography on the process of treatment with stellate ganglion block.

  • PDF

성상신경절 부위의 직선편광 근적외선 조사 후 요골동맥에서의 혈류속도의 변화: 성상신경절 차단술과의 비교 (The Change of Blood Flow Velocity of Radial Artery after Linear Polarized Infrared Light Radiation near the Stellate Ganglion: Comparing with the Stellate Ganglion Block)

  • 한승문;이상철
    • The Korean Journal of Pain
    • /
    • 제14권1호
    • /
    • pp.37-40
    • /
    • 2001
  • Background: It had been reported by authors that linear polarized infrared light radiation (Superizer: SL) near the stellate ganglion had a similar effect on the change of skin temperature of hand compared with the stellate ganglion block (SGB). We hypothesized that this was due to dilatation of vessels and an increased blood flow.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measure the velocity of blood flow in peripheral vessels after linear polarized infrared light radiation near the stellate ganglion and to compare the effect of SL with that of SGB using local anesthetics. Methods: Forty patients whose clinical criteria were matched for the symptoms of SGB were selected for study. We radiated the stellate ganglion by linear polarized infrared light radiation and measured the blood flow of radial artery using Ultrasound Doppler blood flow meter before and after 10, 20 and 30 minutes post-radiation. After 3 days, SGB was performed using 8 ml of 1% mepivacaine to the same patient, and the radial artery blood flow was measured in the same manner. Results: The blood flow velocity was increased by 40% and 27% at 10 min and 20 min after SL and by 42% and 41% at 10 min and 20 min after SGB.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blood flow velocity between SGL and SGB. Conclusions: We could conclude that linear polarized radiation is a clinically simple and useful noninvasive therapeutic tool in clinical area.

  • PDF

성상신경절 차단후 발생한 동맥류성 지주막하출혈 -증례 보고- (The Aneurysmal Subarachnoid Hemorrhage following Stellate Ganglion Block -A case report-)

  • 최인주;장원영;윤소영;김경배
    • The Korean Journal of Pain
    • /
    • 제10권1호
    • /
    • pp.121-123
    • /
    • 1997
  • Stellate ganglion block(SGB) is frequently performed to relieve a patient from headache of various. We experienced a rare case of subarachnoid hemorrhage by aneurysmal rupture after SGB. A 46-year-old female patient diagnosed with tension headache, and normal MRI finding consulted our pain clinic. We performed right SGB in combination with greater occipital nerve block. The next day, we performed left SGB with 6 ml of 0.25% bupivacaine. She had no evidence of subarachnoid block or intravascular injection. 15 minutes after injection, she abruptly developed convulsion and loss of consciousness. She was given artificial respiration with oxygen. The diagnosis of ruptured left posterior communicating aneurysm was confirmed by 4-vessels angiography.

  • PDF

수술 후 재발된 메니에르병 환자에서의 성상신경절 차단술 -증례 보고- (Stellate Ganglion Block for Postoperative Recurred Meniere's Disease -A case report-)

  • 소금영;김길범
    • The Korean Journal of Pain
    • /
    • 제12권2호
    • /
    • pp.235-237
    • /
    • 1999
  • Meniere's disease is a disorder of the membranous labyrinth that is characterized by vertigo, hearing loss, tinnitus and ear fullness. The etiology of Meniere's disease is yet to be described and the management is also very difficult. Fifty-one years old female patient had paroxysm of severe tinnitus and dizziness after medical therapy and surgical intervention during several years. Patient received stellate ganglion block (SGB) and her symptoms were completely relieved. Therefore, SGB could be considered another therapeutic modality for Meniere's diseas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