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성분 조성

검색결과 2,958건 처리시간 0.038초

한국 재래식 된장의 맛성분 조성의 최적화 (Optimization of the Taste Components Composition in Traditional Korean Soybean Paste)

  • 양성호;최명락;김종규;정영건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449-453
    • /
    • 1992
  • 한국 재래식 된장의 맛 성분이 어떠한 함량 조성일때 된장맛이 최적인지를 알기 위하여 맛 성분 분석 결과와 관능 검사 성적으로 주성분 분석과 단계별 중회귀 분석을 실시하고 각 성분의 맛에 대한 기여도를 산출하여 재래식 된장 맛 성분 조성의 최적화를 시도하였다. 재래식 된장의 맛 성분 조성의 최적화는 제곱근으로 처리했을때 고미성분인 leucine 14.7%, isoleucine 12.7%, methionine 5.0%, histidine 4.7%, arginine 1.1%, 지미성분인 cysteine 8.4%, aspartic acid 2.0%, glutamic acid 0.7%, 감미성분인 threonine 6.3%, ser-ine 5.6%, sucrose 4.7%, glycine 1.6%, Iysine 1.2%, fructose 0.6%, alanine 0.4%, glucose 0.3%, 산미성분인 oxalic acid 3.9%, succinic-fumaric-citric acid 3.6% 및 염미성분인 ash 0.3% 둥 19종의 성분으로 된장맛의 좋고 나쁨을 78%수준까지 설명 할 수 있었다. 재래식된장의 맛 성분 조성을 최적화하기 위한 중회귀 기법은 제곱근으로 변수 변환한 경우가 관능검사 성적을 가장 잘 설명 할 수 있었다.

  • PDF

삼백초, 구릿대, 천궁의 잎 향기성분 조성과 정유함량 (Essential Oil Content and Composition of Aromatic Constituents in Leaf of Saururus chinensis, Angelica dahurica and Cnidium officinale)

  • 김상국;김영효;강동균;정상환;이승필;이상철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299-304
    • /
    • 1998
  • 본 연구는 방향성 약용작물인 삼백초, 구릿대, 천궁의 향기 성분 조성과 식물정유 함량을 조사하여 향료업과 관련된 다양한 식품첨가물 또는 향원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몇가지 실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1. 삼백초의 향기성분은 22종으로 1,6-octadien-3-ol, 1, 3-benzodioxole, myristicin, ${\alpha}-cadinol$, patchouene였고 조성은 alcohol류 6종, ester류 1종, ether류 2종, hydrocarbon류 11종, ketone류 1종, fatty acid류 1종이었다. 2. 구릿대의 향기성분은 14종으로 주요 성분은 3-carene, ${\beta}-caryophyllene$, ${\beta}-cubebene$, butylated hydroxytoluene, caryophyllene oxide, piperonal이었고 조성은 alcohol류 1종, ester류 1종, ether류 1종, hydrocarbon류 10종, aldehyde류 1종이었다. 3. 천궁의 향기성분은 16종으로 주요성분은 aristolene, benzocycloheptene, ylangene, valencene, ${\beta}-cedrene$, satene, and menthofuran이었고 조성은 alcohol류 2종, ether류 1종, hydrocarbon류 12종. furan류 1종이었다. 4. 삼백초, 구릿대 및 천궁 잎의 식물정유 함량은 각각 0.987%, 0.452%, 0.439%로 삼백초가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다.

  • PDF

생강 저장 중의 향기성분 변화 (Changes in Volatile Constituents of Zingiber officinale Roscoe Rhizomes During Storage)

  • 김명곤;이병은;윤세억;김영회;김용규;홍재식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7권1호
    • /
    • pp.1-8
    • /
    • 1994
  • 우리나라 생강의 대표적인 산지인 전북 봉동 지역에서 음저장(평균온도 $15^{\circ}C$, RH 95%) 한 생생강의 저장 기간 및 저장 중 발생한 생강의 싹과 근경 중의 항기성분 SDE장치를 이용하여 향기 성분을 분리하고 GC 및 GC-MS를 이용하여 분석 검토하였다. 생생강 및 저장 생강에 함유되어 있는 essential oil의 조성은 zingiberene, $citronellol+{\beta}-sesquiphellandrene$, ${\beta}-phellandrene$, camphene, geranial, ${\gamma}-bisabolene$, ar-curcumene+geranvl acetate, ${\alpha}-pinene$, ${\beta}-gurjunene$, limonene, neral 등이 주요 향기 성분 이었고, 생강 근경은 저장 기간이 경과할수록 sesquiterpene hydrocarbons 및 oxygenated sesquiterpene과 같은 고분자 물질의 조성비는 감소하는 반면 monoterpene hydrocarbons 저분자 성분들의 조성비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Zingiberene, $citronellol+{\beta}-sesquiphellandrene$과 같은 sesquiterpene류는 저장 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감소 추세를 보였던 반면 camphene, ${\beta}-phellandrene$, citral(neral과 geranial) 등과 같은 monoterpene류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저장후 약 6개월 후 발생한 생강 싹의 향기 성분 조성은 근경과 상당한 차이를 보였는데 생강 싹의 향기 성분들은 생강 근경에 비하여 terpene hydrocarbon류보다 oxygenated terpene류가 많았다. 성분 조성에서는 생강 향기의 발현에 가장 큰 역할을 하는 citral성분(neral과 geranial)를 근경에 비해 적었으나 bornyl acetate, ${\beta}-gurjunene$, ar-curcumene+geranvl acetate 등의 함량비가 높아 생강의 부위에 따른 항기 성분 조성 pattern 또한 상당한 차이를 보였다.

  • PDF

더위지기와 사철쑥의 정유성분 조성 비교 (Comparison of Essential Oil Composition of Artemisia iwayomogi and Artemisia capillaris)

  • 홍철운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7권1호
    • /
    • pp.124-129
    • /
    • 2004
  • 국내에서 자생하고 있는 더위지기와 사철쑥의 정유성분 조성의 차이점을 비교하기 위하여 각 시료로부터 수증기증류에 의해 정유를 분리한 다음 GC-MS 분석결과 및 문헌에 보고된 각 성분의 retention index 비교에 의해 성분을 동정하였다. 국내의 2개 지역에서 수집한 더위지기에서 분리한 정유에서 60종의 성분을 동정하였으며, 그중 한 시료에서는 iso-pinocamphone(31.64%), 1,8-cineole(21.55%), ${\beta}-pinene$(4.46%), pinocarvone(3.72%), myrtenal(3.42%) 및 trans-pinocarvel(3.14%)이 주요 구성성분이었으나 다른 시료에서는 camphor(26.99%), 1,8-cineole(11.02%), ${\alpha}-terpineol$(7.63%), borneol(4.10%), camphene(3.97%) 및 artemisia ketone(3.84%)이 주요 구성성분이었다. 또한 2개 지역에서 수집한 사철쑥에서는 80종의 성분을 동정하였으며, 두 시료간에 구성성분이나 성분별 조성비율은 유사한 편이었으나 그 중에서도 capillene$(26.01{\sim}30.31%)$, ${\beta}-pinene(8.55{\sim}18.38%)$, ${\beta}-caryophyllene(8.80{\sim}13.70%)$, $cis,trans- {\alpha}-farnesene(2.10{\sim}7.38%)$, ${\beta}-himachalene(1.57{\sim}5.57%)$ 및 germacrene D$(2.27{\sim}5.46%)$가 주요 구성성분이었다. 더위지기와 사철쑥의 정유 성분 조성상의 뚜렷한 차이점으로서 더위지기의 정유에서는 사철쑥에서 검출되지 않은 iso-pinocamphone 또는 camphor, 1,8-cineole과 같은 monoterpenoid 화합물의 함유비율이 높은 반면 사철쑥에서는 더위지기에서 검출되지 않은 acetylene화합물인 capillene 이외에도 sesquiterpenoid 화합물의 함유비율이 높은 것이 특징이었다.

추출방법에 의한 아니스의 휘발성 성분 조성 비교 (A Comparison of Different Extraction Methods for the Volatile Components of Anise(Pimpinella anisum L.))

  • 권영주;장희진;곽재진;김옥찬;최영현;이재곤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0권2호
    • /
    • pp.144-147
    • /
    • 1997
  • 식물체의 향기성분을 분리하는데 사용되는 몇가지 방법을 비교하기 위해서 headspace(purge & trap)법, simultaneous distillation extraction(SDE)법, steam distillation법, 용매추출법 등으로 분리된 휘발성 성분의 조성차이를 분석하여 각각의 사용된 방법들의 특징을 비교하였다. 휘발성 성분 분석시료로는 Anise(Pimpinella anisum L.)씨앗을 사용하였으며 분리된 휘발성분중 GC/MSD를 이용하여 43종의 성분을 확인하였다. Headspace (purge & trap)법에서는 휘발성이 강한 2-butanol, pentanal, 3-hexen-1-ol 등과 같은 alcohol류 및 aldehyde류 성분들을 주요성분으로 확인할 수 있었으며, 용매추출에서는 비점이 높은 성분들인 myristic acid, oleic acid 등의 acid류 성분들과 ethyl hexadecanoate, ethyl octadecanoate 등과 같은 ester 화합물들이 주요성분으로 확인되었다. SDE법과 steam distillation법에서 추출된 성분의 조성은 유사하였으며 terpene 화합물들이 주요성분으로 확인되었다. Anise의 주성분인 anethole은 SDE법, headspace(purge & trap)법으로 추출하였을때 가장 많이 추출되었다.

  • PDF

난지도 매립토 조성성분 분석 및 평가 (An Analysis and Estimation about the Component of Reclamation Soil in Nan Ji Do)

  • 최계운;김기형;오정희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1997년도 총회 및 춘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39-42
    • /
    • 1997
  • 현재 반입이 중지된 난지도 매립지에 공원조성이나 하수처리장등의 시설을 설치하는등 매립지를 효율적으로 이용하려는 많은 계획이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이같은 계획을 수행함에 알서 매립토의 성분을 분석하여 이를 토대로 적절한 대책이 마련된 후에 계획이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현재 설치되고 있는 난지 하수처리장 부지에 대하여 매립토의 조성성분 및 침출수의 성분을 분석하고 분석결과를 토대로 시설설치에 따른 토양오염의 가능성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대책수립의 기본자료로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대상지역의 매립토에 대하여 이물질의 중량비와 함수량 및 입도분석을 실시하였고 아울러 침출수의 오염도를 분석하였다.

  • PDF

기후, 인류의 생존을 약속할 것인가

  • 오재호
    • 과학과기술
    • /
    • 8호통권411호
    • /
    • pp.90-93
    • /
    • 2003
  • 현재 우리 주변에서 일어나고 있는 기후학적 사건들은 46억 년 전에 지구와 대기가 처음으로 형성되면서 계속된 지구 역사 대단원의 가장 마지막 부분에 해당한다. 지구가 탄생한 시점에서 대략 10억 년이 지나면서 지구상에는 생명체들이 등장했고, 이 생명체들의 생존의 결과로 대기의 조성성분도 변해왔다. 즉, 생명체가 대기의 조성성분을 조절해 왔다는 것을 말한다.

  • PDF

조선시대 상평통보의 성분 조성과 미세조직을 통한 재료학적 특성 연구 (Study on the Materials Characteristics of Sangpyeongtongbo Coins in Joseon Dynasty Using Chemical Compositions and Microstructures)

  • 장수비;조남철;강형태
    • 보존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319-330
    • /
    • 2015
  • 주전소와 주전 시기가 다른 상평통보 25점을 확보하여 성분 조성 및 주전 방법을 알아보았다. 상평통보의 성분 분석 결과, 주성분은 Cu, Zn, Pb이며 일부 시료에서는 Sn, Fe가 함유되어 있다. 그러나 각 상평통보의 성분 조성은 일정하지 않으며 편차가 크다. 또한, 주전 시기에 따라 Cu와 Sn은 후대로 갈수록 감소하였고, Zn과 Pb는 전시기에 걸쳐 꾸준히 높게 함유되어 있다. 이러한 성분 함량의 차이는 당시 주전 이익과 관련이 깊은 것으로 판단된다. 미세조직 관찰 결과, 상평통보 25점은 수지상 조직, 입상조직, 미립화 조직 등 다양한 조직 형태가 확인된다. 그러나 열처리나 가공의 흔적이 관찰되지 않아 모두 주조 조직으로 판단되며, 일부 상평통보에 함유된 Sn, Fe 성분과 냉각 속도 차이에 의해 서로 다른 형태의 조직이 성장한 것으로 확인된다.

건조 및 추출방법에 따른 오미자 휘발성 성분의 변화 (Changes in Volatile Compounds of Schizandra chinensis Fruits According to Drying and Extracting Methods)

  • 김관수;송지숙;방진기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49-57
    • /
    • 2000
  • 오미자 (Schizandra chinensis Bullion)의 건조방법에 따른 휘발성성분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생체시료와 건조시료에 대한 SDE (steam distillation & extraction) 추출분석과 Headspace 분석을 하였다. 건조방법별 오미자의 정유함량은 생체시료에서 0.58%, 냉동건조시료에서 0.60%, 열풍건조 $(60^{\circ}C)$ 시료에서 0.30%를 나타냈다. SDE 추출된 정유의 성분조성을 조사한 결과, 생체시료의 주요 성분은 terpinen-4-ol(9.01%), ${\gamma}-terpinene(7.02%),\;{\beta}-myrcene(7. 55%)$, 기타 sesquiterpene류(28.48%) 등으로 나타났다. 냉동 건조시료의 경우도 비슷한 경향을 보였으나, 열풍 건조시료에서는 ${\gamma}-terpinene(5.40%),\;{\beta}-elemene(8.28%)$, 기타 sesquiterpene류(50.38%)등을 주로 함유하여 열풍건조에 의해 성분 조성이 달라졌다. Headspace 분석의 경우 SDE 분석과는 다른 성분조성을 보였는데 생체시료는 ${\beta}-myrcene(22.05%),\;{\gamma}-terpinen(9.47%),\;{\alpha}-pinene(8.91%)$, sabinene (8.48%) 등이 주성분으로 나타났다. 건조시료의 성분조성은 대체적으로 냉동건조, $(60^{\circ}C)$ 열풍건조, $(80^{\circ}C)$ 열풍건조 순으로 ${\beta}-myrcene,\;{\alpha}-terpinene$ 등은 감소하였고, ${\alpha}-ylangene,\;{\alpha}-pinene$, camphene 등은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건조조건에 따라 정유성분의 함량과 조성 이 SDE 분석과 Headspace 분석 모두에서 변화하였는데, 전반적으로 monoterpene류와 알코올류의 조성은 감소하고 상대적으로 고비점 화합물인 sesquiterpene류의 조성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