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성별인식

Search Result 1,036,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Local Prominent Directional Pattern for Gender Recognition of Facial Photographs and Sketches (Local Prominent Directional Pattern을 이용한 얼굴 사진과 스케치 영상 성별인식 방법)

  • Makhmudkhujaev, Farkhod;Chae, Oksam
    • Convergence Security Journal
    • /
    • v.19 no.2
    • /
    • pp.91-104
    • /
    • 2019
  • In this paper, we present a novel local descriptor, Local Prominent Directional Pattern (LPDP), to represent the description of facial images for gender recognition purpose. To achieve a clearly discriminative representation of local shape, presented method encodes a target pixel with the prominent directional variations in local structure from an analysis of statistics encompassed in the histogram of such directional variations. Use of the statistical information comes from the observation that a local neighboring region, having an edge going through it, demonstrate similar gradient directions, and hence, the prominent accumulations, accumulated from such gradient directions provide a solid base to represent the shape of that local structure. Unlike the sole use of gradient direction of a target pixel in existing methods, our coding scheme selects prominent edge directions accumulated from more samples (e.g., surrounding neighboring pixels), which, in turn, minimizes the effect of noise by suppressing the noisy accumulations of single or fewer samples. In this way, the presented encoding strategy provides the more discriminative shape of local structures while ensuring robustness to subtle changes such as local noise. We conduct extensive experiments on gender recognition datasets containing a wide range of challenges such as illumination, expression, age, and pose variations as well as sketch images, and observe the better performance of LPDP descriptor against existing local descriptors.

Effects of gender and emotional expression of anthropomorphic interface agent on users' perception of the agent (의인화된 인터페이스 에이전트의 성별과 정서 표현이 에이전트에 대한 사용자의 인식에 미치는 효과)

  • Chung, Duk-Hwan;Han, Kwang-Hee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2b
    • /
    • pp.518-525
    • /
    • 2007
  • 컴퓨터와 사용자와의 효과적인 정서적 상호작용의 도구로서 의인화된 형태의 인터페이스 에이전트의 정서 표현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기존의 연구는 의인화된 인터페이스 에이전트가 어떤 정서를 표현하는가에 초점을 두고 있다. 그러나 인간과의 원활한 정서적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어떤 정서인가의 문제만이 아니다. 인간은 타인의 상황과 정서에 공감하는 방식으로 정서를 표현하는 상대를 더 긍정적으로 평가한다. 또한 공감하는 방식의 정서 표현은 사회적으로 적용되는 성별 고정관념에 따라 여성적 속성으로 분류된다. 따라서 공감하는 방식의 정서 표현이라 하더라도 표현의 주체가 남성이냐 여성이냐에 따라 상대방의 인식이 달라질 수 있다. 본 연구는 인간간의 사회적 관계에서 일어나는 공감적인 정서 표현과 표현하는 주체의 성별의 효과가 인간-인터페이스 에이전트간의 상호작용에서도 나타나는지를 검증하기 위하여 참가자와 인터페이스 에이전트가 함께 게임에 참여하는 과제를 실시하고 인터페이스 에이전트의 성별, 참가자의 성별, 얼굴 표정과 말을 통한 정서 표현의 공감 여부(타인의 상황에 공감하는 정서 표현 - 자신의 상황에 대한 정서 표현), 정서 표현 여부(얼굴 표정과 말로 정서를 표현 - 정서가 배제된 무표정과 말)에 따라 인터페이스 에이전트에 대해 참가자가 지각한 배려, 호감, 신뢰, 지능, 지배, 순종이 어떻게 다른지를 측정하는 실험을 실시했다. 그 결과, 타인의 상황과 정서에 공감하는 방식으로 정서를 표현하는 에이전트의 배려, 지능, 순종적 성향을 높게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성 에이전트의 경우, 정서를 표현하거나 정서가 배제된 표현을 하는 조건에 관계없이 참가자가 지각하는 배려와 호감의 차이가 없었으나, 여성 에이전트의 경우 정서를 표현하는 조건에서 배려와 호감이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반대로 참가자가 인터페이스 에이전트에 대해 갖는 신뢰에 대해서 여성 에이전트의 경우, 정서를 표현하거나 정서가 배제된 표현을 하는 조건에 관계없이 참가자가 느끼는 신뢰의 차이가 없었으나 남성 에이전트의 경우, 정서가 배제된 표현을 하는 에이전트에게 더 높은 신뢰를 보였다. 또한 남성 참가자에 비해 여성 참가자가 에이전트의 배려, 호감, 지능, 순종을 높게 평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사용자와 인터페이스 에이전트 간의 원활한 정서적 상호작용을 위해서는 어떤 정서를 표현할 것인지 뿐만 아니라 누구에 대한 정서를 어떻게 표현하는지, 정서를 표현하는 에이전트가 남성인지 여성인지, 에이전트와 상호작용하는 사용자가 남성인지, 여성인지를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 PDF

A Study on Discriminant.Classification Model of Impact Factors about Understanding of Traffic Accident Causes and Acknowledgement to Decrease Traffic Accidents (교통사고 발생원인 인식과 감소대책 인지 영향요인 판별.분류에 관한 연구)

  • 고상선;배기목;이원규;정헌영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0 no.7
    • /
    • pp.143-153
    • /
    • 2002
  • 본 연구는 교통사고의 발생원인에 대한 인식유형과 감소대책에 대한 인지 유형별 영향요인의 정도를 분석하기 위하여 수량화이론 II류와 CHAID 분석법을 이용하여 분류모델과 판별모델을 구축하였다. 수량화이론 II류에 의한 교통사고 발생원인에 대한 인식 유형별 영향요인 판별모델은 전체 적중률이 78.4%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편상관계수는 설명변수의 항목 중 학력, 성별, 운전경력 년 수, 소유 차종의 순으로 영향을 미치고 외적 변수인 교통사고 발생원인에 대한 유형에서는 기여 정도가 교통단속 부재 > 교통체계 미비 > 승용차 과다 사용 >잘못된 의식 때문의 순으로 나타났다. 교통사고 감소 대책에 대한 인지유형별 영향요인 판별모델은 전체 적중률이 59.9%로 높게 나타났으며, 편상관 계수는 학력, 성별, 운전경력 연수, 연령의 순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고, 외적 변수인 교통사고 감소 대책에 대한 유형에서는 기여 정도가 교통단속 강화 > 대중교통수단 이용 유도 > 교통체계 개선 > 의식 개혁의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CHAID 분석법에 의한 교통사고 발생원인에 대한 인식 유형별 영향요인 분류모델에 있어서는 예측변수로 학력, 연령, 성별, 통행수단의 네 가지 변수가, 교통사고의 감소 대책에 대한인지 유형별 영향요인 분류모델에 있어서는 학력, 운전경력 연수, 성별 그리고 통행수단의 네 가지 변수가 카이제곱 통계량 이 5%의 유의수준에서 유의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교통사고 발생원인 인식과 감소 대책의 인지 유형에 대한 빈도분석과 교차분석은 의식과 관련한 유형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판별.분류모델에서는 교통단속과 관련한 유형이 기여 정도가 높고 의식 관련 유형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나는 등 반대양상을 보이고 있어 심리적으로 내재되어 있고 표면에 잘 드러나지 않았던 의식 수준의 낮음이 분류모델을 통해서 명확하게 드러났다.

남녀의 음향학적 특징벡터의 비교 분석에 관한 연구

  • Choe, Jae-Seung;Jeong, Byeong-Gu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2.05a
    • /
    • pp.887-890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켑스트럼 계수의 변화에 따른 남성화자와 여성화자의 음향학적인 특징벡터를 비교하여 분석하는 기초적인 연구를 수행한다. 특히 FFT 켑스트럼 및 LPC 켑스트럼에 대한 남녀의 음향학적인 특징벡터의 차이점을 나타낸다. 향후 이러한 차이점을 기초로 하여 신경회로망 등에 의한 성별 인식에 대한 연구를 수행함으로써 남성화자 및 여성화자를 분리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는 기초연구이다.

  • PDF

A Study on Personal Relational Service System for Blind People (시각장애인을 위한 대인관계 안내시스템)

  • Hong, Joonki;Moon, Nammee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4.11a
    • /
    • pp.1107-1108
    • /
    • 2014
  • 본 연구는 시각장애인들을 위한 대인관게 도움을 위하여, 상대방의 성별과 나이를 안내하여 주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다시점 얼굴 인식 방법을 채택하여, 인식장애 개선과 환경요인변화에 대처하여 성별과 나이구분, 사람 수를 카운트 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모바일을 사용하여, 시스템에서 측정한 상대방에 관한 정보를 미리 확인할 수 있어 원활한 대인관계를 갖을 수 있도록 하였다. 제안 시스템은 안드로이드 스마트폰과 연동하여 실험되어졌으며, C++, Open CV 및 Kinect SDK를 기반으로 구현하였다.

Gender Classification using Non-Negative Matrix Analysis with Sparse Logistic Regression (Sparse Logistic Regression 기반 비음수 행렬 분석을 통한 성별 인식)

  • Hur, Dong-Cheol;Wallraven, Christian;Lee, Seong-Wh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1.06c
    • /
    • pp.373-376
    • /
    • 2011
  • 얼굴 영상에서 구성요소(눈썹, 눈, 코, 입 등)의 존재에 따라 보는 사람의 얼굴 인식 정확도는 큰 영향을 받는다. 이는 인간의 뇌에서 얼굴 정보를 처리하는 과정은 얼굴 전체 영역 뿐만 아니라, 부분적인 얼굴 구성요소의 특징들도 고려함을 말한다. 비음수 행렬 분해(NMF: Non-negative Matrix Factorization)는 이러한 얼굴 영역에서 부분적인 특징들을 잘 표현하는 기저영상들을 찾아내는데 효과적임을 보여주었으나, 각 기저영상들의 중요도는 알 수 없었다. 본 논문에서는 NMF로 찾아진 기저영상들에 대응되는 인코딩 정보를 SLR(Sparse Logistic Regression)을 이용하여 성별 인식에 중요한 부분 영역들을 찾고자 한다. 실험에서는 주성분분석(PCA)과 비교를 통해 NMF를 이용한 기저영상 및 특징 벡터 추출이 좋은 성능을 보여주고, 대표적 이진 분류 알고리즘인 SVM(Support Vector Machine)과 비교를 통해 SLR을 이용한 특징 벡터 선택이 나은 성능을 보여줌을 확인하였다. 또한 SLR로 확인된 각 기저영상에 대한 가중치를 통하여 인식 과정에서 중요한 얼굴 영역들을 확인할 수 있다.

Method for Classification of Age and Gender Using Gait Recognition (걸음걸이 인식을 통한 연령 및 성별 분류 방법)

  • Yoo, Hyun Woo;Kwon, Ki Youn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A
    • /
    • v.41 no.11
    • /
    • pp.1035-1045
    • /
    • 2017
  • Classification of age and gender has been carried out through different approaches such as facial-based and audio-based classifications. One of the limitations of facial-based methods is the reduced recognition rate over large distances, while another is the prerequisite of the faces to be located in front of the camera. Similarly, in audio-based methods, the recognition rate is reduced in a noisy environment. In contrast, gait-based methods are only required that a target person is in the camera. In previous works, the view point of a camera is only available as a side view and gait data sets consist of a standard gait, which is different from an ordinary gait in a real environment. We propose a feature extraction method using skeleton models from an RGB-D sensor by considering characteristics of age and gender using ordinary gait.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could efficiently classify age and gender within a target group of individuals in real-life environments.

The moderating effects of gender between Role stress,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mong flight attendants (객실승무원 성별에 따른 역할스트레스 요인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Lee, Chang-Hyeon;Kim, Yong-Suk
    • 한국항공운항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6.05a
    • /
    • pp.48-49
    • /
    • 2016
  • 최근 사회 전반에서 직업인식에 대한 고정관념이 점점 얕아지고 성별이나 사회적 통념과는 상관없이 자신의 적성에 맞는 직업을 택하는 사회적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특히 최근 항공업계에서는 대표적인 여성 직업 중 하나로 인식되던 항공사 객실승무원이 되기를 희망하는 남성들이 많아지고 있고, 남성 객실승무원의 채용규모 역시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기존 연구들을 살펴보면 객실승무원이 겪는 일반적인 스트레스요인들과 직무만족, 조직몰입과의 관계를 연구한 논의는 꾸준히 있어왔지만, 그러한 스트레스들이 남승무원/여승무원이라는 성별 차이에 따른 비교연구는 전무했다. 이에 본 연구는 역할스트레스를 구성하고 있는 요인들이 남승무원/여승무원이라는 조절변수에 따라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연구모형을 구성하고 실증연구를 시행한다.

  • PDF

Gender Classification of Human Behaviors Using Structure Adaptive Self-organizing Map (구조적응 자기구성 지도를 이용한 인간 행동의 성별 분류)

  • 류중원;조성배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1.04b
    • /
    • pp.298-300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구조적응 자기구성 지도 모델을 사용하여 인간 행동의 성별을 분류하는 인식기를 제안하였다. 26명의 사람이 '화난 상태' 혹은 '보통 상태'의 두가지 정서 하에서 '문 두드리기', '손 흔들기', '물건 들어올리기'의 세가지 동작을 수행하는 동안, 행위자 관절점의 속도나 위치 정보로부터 성별을 분류하였다. 또한 SASOM의 성능 비교 분석을 위하여 전통적인 SOM, 다층 퍼셉트론과 거의 두 가지 결합 모델, SASOM와 의사결정트리 결합 모델, 단일 의사 결정트리, $textsc{k}$-최근접 이웃 등의 인식기를 구현하여 성능을 비교분석 하였다. 실험 결과 SASOM 분류기가 가장 높은 이식률을 보였으며 분류기로서 유용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Korean Consumers' Awareness of Cultured Meat and Influencing Factors by Gender (성별에 따른 배양육 인지도 및 영향 요인)

  • Lee, Kyung-Bon;Park, Giljun;Kwon, Hee-Kyung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20 no.1
    • /
    • pp.239-247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Korean consumers' awareness of Cultured Meat(CM) and influencing factors by gender. On-line survey was conducted from June 9 till June 15, 2021. Analyses of 1,008 respondents whose ages were 20 or older resulted in three points. First, Korean consumers' awareness of CM were lower than the medium in the scale of 1-5, and men reported higher level of awareness than women. Second, the awareness of CM differed by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The younger, the higher educated, and the students showed higher level of awareness of CM. Third, influencing factors on the awareness of CM differed by gender. In total, gender, age, job, health concern, environmental concern, perceptions of Traditional Meat(TM), and early adopter tendency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awareness of CM. Among men, age, job, health concern, and early adopter tendency were significant influencing factors on the awareness of CM, where as age, education, health concern, environmental concern, perceptions of TM, and early adopter tendency were so among women. The study results may be used as basic data for developing policies for CM research and consum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