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성문상부암

검색결과 25건 처리시간 0.02초

후두암의 방사선치료 Patterns of Care Study를 위한 프로그램 항목 개발: 예비 결과 (Investigation of Study Items for the Patterns of Care Study in the Radiotherapy of Laryngeal Cancer: Preliminary Results)

  • 정웅기;김일한;안성자;남택근;오윤경;송주영;나병식;정경애;권형철;김정수;김수곤;강정구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1권4호
    • /
    • pp.299-305
    • /
    • 2003
  • 목적: 후두암 방사선치료의 표준화를 위하여 후두암에 관한 기본적인 임상 자료를 축적하고 필요한 조사 항목을 결정하여 전국적인 웹 기반 데이터 베이스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8년 1월부터 1999년 12월까지 호서호남 지역에서 후두암으로 진단되어 방사선치료를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환자 선정 기준은 18세 이상이며 과거력상 타 장기의 암 진단 병력이 없고 후두에서 기원한 원발성 상피세포암으로 과거 후두에 대한 다른 질환으로 치료력이 없는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후두암에 관한 조사 항목 개발은 대한방사선종양학회 호서호남지회 소속 병원의 전문의들이 합의하여 일차적으로 선정한 항목에 대하여 각 병원에서 자체적으로 조사하였다. 통계처리는 SPSS v10.0을 이용하였다. 결과: 자료가 수집된 총 증례수는 45예이었다. 환자의 연령분포는 28$\~$88세(중앙값: 61)이었고 남녀비는 10 대 1로 대부분 남자에 발생하였다. 원발부위는 성문암이 28예(62$\%$), 성문상부암이 17예(38$\%$)이었다. 병리소견으로는 편평세포암이 대부분이었다(44/45, 98$\%$). AJCC (1997년도) 병기 I+II는, 성문암 28예 중 24예(86$\%$)에 비해 성문상부암의 경우는 16예 중 8예(50$\%$)이었다(p=0.002). 증상은 애성이 n예(89%$\%$로 가장 많았다. 진단은 간접후두경이 전체환자에서, 직접후두경검사는 43예(98$\%$)에서 각각 시행되었다. 치료로서 성문암 28예와 성문상부암 17예 중, 방사선 단독치료는 21예(75$\%$), 6예(35$\%$)에서 각각 시행되었다. 또한 수술요법과 방사선요법의 병용은 각각 5예(18$\%$), 8예(47$\%$)이었고, 항암화학요법과 방사선요법의 병용치료는 각각 2예(7$\%$), 3예(18$\%$)이었으나 두 원발 병소 간에 병용치료 빈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20). 방사선치료는 모두 선형가속기 6 MV X-ray를 이용하여 통상적 분할조사 법으로 시행되었다. 분할선량은 성문암 환자의 86$\%$에서 2.0 Gy를 사용한 반면 성문상부암은 59$\%$에서 1.8 Gy를 각각 사용하였다. 방사선단독치료를 완료한 환자에서 원발병소의 평균 총방사선량은 성문암에서 65.98 Gy, 성문상부암에서 70.15 Gy이었다. 수집된 자료를 기초로 후두암 방사선치료형태 연구에 필요한 총 12개의 모듈과 90개의 항목을 개 발하였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후두암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 필요한 연구 항목을 개발하였다. 향후 웹 기반 데이터 베이스 시스템을 완성하고 전국의 방사선치료 자료를 축적하여 후두암에 대한 한국형 방사선치료의 표준화 및 적정화를 기하고자 한다.

진행된 성문상부암에서 PCR-SSCP에 의한 p53의 변이 양상과 임상적 의의 (p53 Mutations in Advanced Supraglottic Cancer)

  • 홍성언;강진오;백형환;윤경식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9권2호
    • /
    • pp.107-112
    • /
    • 2001
  • 목적 : 진행된 성문 상부암 환자에서 p53 유전자 변이 양상을 파악하고 이의 임상적 예후 인자로서의 관련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경희대학병원에서 병기 3 또는 4의 진행된 후두암으로 진단 받고 근치적 목적의 전 또는 부분 후두 절제술을 시행 받고 4600 cGy 이상의 방사선 치료를 받은 환자 60례 중 적절한 조직을 확보 할 수 있었던 환자 2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조직 일부는 면역 염색을 시행하였고 일부는 p53 유전인자의 exon 5번 부터 8번까지 PCR-SSCP 시행후 PCR-SSCP 상 이상 소견이 있는 환자들의 DNA를 염기서열 분석하였다. 이 결과를 임상적 소견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 PCR-SSCP 검사 결과 exon $5\~8$번에서 전체 26례 중 8례$(31\%)$에서 변이를 나타내었다. 8례 모두 점돌연변이었으며 transition이 전체 8례 중 6례이었다. Exon 5번의 변이가 3례, exon 6번의 변이가 4례, axon 7번의 변이가 1예이었다. 전체 환자의 평균 생존 기간은 67.4개월 이었고 p53 변이가 없는 군이 70.2개월, p53 변이가 있는 군이 61.3개월로 p53 변이가 있는 군의 생존 기간이 감소되어 나타났으나 두 군간의 생존 기간의 통계적인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596). 환자를 병기 III과 IV로 나누어 SSCP상 변이의 차이를 비교하였는데 병기 III은 양성이 $25\%$이었고 병기 IV는 $36\%$로 나타나 병기 IV 에서 약간 높게 나타났으나 통계적 차이는 없었다(p=0.563). 임파절 음성인 환자 중 SSCP 양성은 $25\%$이었고 임파절 양성인 환자 중 SSCP 양성은 $42\%$이었으나 통계적 차이는 없었다(p=0.437). 결론 : PCR-SSCP 를 이용한 p53 유전인자 변이의 검색은 생존 기간, 병기, 임파절 전이 등과 관련이 없으며 예후인자로서 유용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였다.

  • PDF

성문상부암에서 N0 경부에 대한 예방적 방사선치료의 효과 (Effectiveness of Elective Irradiation Therapy on N0 Neck in Supraglottic Cancer)

  • 나홍식;이창행;임기정;권순영;최종욱;정광윤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94-197
    • /
    • 2001
  • Background and Objectives: Supraglottic cancer have a great tendency to spread cervical lymph nodes and lymph node metastasis is a well known prognostic factor. However the treatment for N0 neck in supraglottic cancer is still controversial. Materials and Methods: We retrospectively analyzed our neck management of supraglottic cancer patients who present with cN0 contralateral neck from 1989 through 1997. 36 patients were eligible for analysis. The primary site was surgically removed and the neck was managed by elective neck irradiation (ENI), elective neck dissection (END), or therapeutic neck dissection (TND) with postoperative radiation therapy (PORT). Results: Our results revealed that 18 of 36 patients have clinically negative neck, another 18 patients have clinically positive neck (N1-3). In clinically negative group, 12 of 18 patients were received ENI and there was 1 failure in contralateral neck area. Remaining 6 patients were received END with PORT and there was no failure. In clinically positive neck group, 3 of 18 patients were received ipsilateral TND and an additional contralateral END with PORT. Remaining 15 patients who were received TND with PORT, developed 3 neck failure. Conclusion: ENI or ipsilateral or bilateral END can be done in the cN0 neck of supraglottic cancer however ipsilateral TND and contralateral END with PORT is reasonable for the cN(+) neck.

  • PDF

항암 방사선 치료 후 시행한 구제 후두 전적출술 후에 발생한 생명을 위협하는 특이한 지연 동맥 출혈 (Unusual Late Life-Threatening Arterial Bleeding after Salvage Total Laryngectomy Following Chemotherapy and Radiotherapy)

  • 이동훈;김록영;이재운;이준규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24-26
    • /
    • 2012
  • 본방사선 치료 후에 후두 절제술을 시행할 경우 인두피부누공, 감염, 출혈 등 상처부위 합병증의 가능성이 높다. 저자들은 최근에 항암치료와 방사선 치료 후에 재발한 성문상부암에 대해 후두 전적출술을 시행하였고, 수술 66일째 생명을 위협하는 인두의 동맥 출혈을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성문상부암에서의 경구강 $CO_2$ 레이저 수술과 동시경부청소술 (Simultaneous Neck Dissection in Transoral $CO_2$ Laser Surgery for Supraglottic Cancer)

  • 김성원;이강대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8-23
    • /
    • 2009
  • Objectives : In $CO_2$ laser surgery for supraglottic cancer, neck dissection is generally done in second stage. We investigated simultaneous neck dissection with primary resection could be available in laser supraglottic surgery. Material and Methods : We analyzed 13 patients with supraglottic cancer who were treated with transoral supraglottic laryngectomy and simultaneous neck dissection from 2001 to 2007. Tumor stage, extent of laser surgery, histological results, survival rate, local control rate, complications, and functional results were reviewed. Results : 5-year local control rate, survival rate and disease specific survival rate from the neck was 100%, 69.9%, 100% respectively. Tracheotomy was done in all 13 cases. One patient had a long tracheotomy indwelling (191 days). In the rest of 12 patients average decanulation time was 7.4 days(1-22 days). Nasogastric tube was inserted in 5 cases, and average oral intake was possible in 3.5 days(1-16 days). Average hospital days was 29.7 days. There was no serious complication associated with neck dissection. Conclusion : Simultaneous neck dissection with primary laser resection for supraglottic cancer is oncologic sound and can be performed without significant surgical morbidity.

성문상부암의 방사선치료 -국소종양 제어율과 생존율을 중심으로- (Radiotherapy in Supraglottic Carcinoma - With Respect to Locoregional Control and Survival -)

  • 남택근;정웅기;조재식;안성자;나병식;오윤경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0권2호
    • /
    • pp.108-115
    • /
    • 2002
  • 목적 : 성문상부암에서 방사선 단독치료 또는 수술 후 방사선치료를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방사선치료의 역할을 국소종양제어율과 생존율을 중심으로 후향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86년 1월부터 1995년 10월까지 134명이 성문상부암으로 진단되어 방사선단독 또는 수술 후 방사선치료가 시행되었고 이 중 계획된 방사선량을 조사 받은 117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1997년의 AJCC 병기 분류체계에 의하여 재분류하였고 병기 I, II, III, IVA, IVB의 환자 수는 각각 $6\;(5\%),\;16\;(14\%),\;53\;(45\%),\;32\;(27\%),\;10\;(9\%)$이었다. 전체 환자 중 80명은 근치적 목적의 방사선치료로 원발병소에 $61.2\~79.2\;Gy$ (평균 : 69.2 Gy), 경부림프절에 $45.0\~93.6\;Gy$ (평균:54.0 Gy)를 조사하였다. 전체 환자 중 병기 I과 IVB 환자는 모두 방사선 단독치료를 시행하였다. 37명의 환자에서 수술 후 방사선치료를 받았고 원발병소 절제부위에 $45.0\~68.4\;Gy$ (평균:56.1 Gy), 경부림프절에 $45.0\~59.4\;Gy$ (평균:47.2 Gy)를 조사하였다. 수술방법으로서 33명은 전후두적출술(${\pm}$경부림프절 청소술), 3명은 부분후두적출술(${\pm}$경부림프절 청소술), 나머지 1명은 원발병소만의 절제술이었다. 결과 : 전체환자의 5년 생존율은 $43\%$이었다. 병기 I+II와 III+IV의 5년 생존율은 $49.9\%,\;41.2\%$이었으나(p=0.27), 병기 I (n=6) 환자의 종양특성생존율은 $100\%$이었다. 수술 후 방사선치료군(S+RT)과 방사선단독 치료군(RT)의 5년 생존율은 병기 II에서 $100\%$$43\%$, 병기 III에서 $62\%$$52\%$이었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고(u=0.17, p=0.32), 병기 IVA에서 $58\%$$6\%$로 S+RT군의 생존율이 유의한 차이로 양호하였다(p<0.001). 전체 환자의 국소종양 제어율은 $57\%$이었다. 병기별 국소종양제어율은 병기 I, II, III, IVA, IVB에서 각각 100, 74, 60, 44, $30\%$이었다(p=0.008). S+RT 군과 RT군의 국소종양제어율은 병기 II에서 $100\%$$68\%$, 병기 III에서 $67\%$$55\%$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p=0.29, p=0.23), 병기 IVA에서는 $81\%$$20\%$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1). 방사선 단독치료를 받은 80명의 환자 중 방사선치료반응에 따른 국소종양제어율은 완전관해, 부분관해, 부분관해미만 군에서 각각 76, 20, $0\%$이었다. (p<0.001). 전체환자에서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예후인자는 다변량 분석을 시행한 결과 N 병기, 수술 여부, 나이였고 국소종양 제어율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인자는 N 병기, 수술 여부, ECOG 활동도였다. 방사선 단독치료군에서 다변량 분석결과 생존율과 국소종양제어율 모두에 유의한 인자는 방사선치료 후 종양반응과 N 병기였다. 결론 : 조기 병기의 성문상부암에서는 통상적인 방사선단독치료로 후두기능을 보존하면서 수술군과 대등한 종양제어율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진행된 병기의 경우에는 수술과 방사선치료의 병용요법 또는 후두기능의 보존적 측면에서의 동시적 항암화학방사선요법이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특히 진행된 림프절 병소에 대해서는 가능한 한 방사선치료 전 또는 유도화학요법 후 계획된 경부림프절 청소술을 고려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성문상부암(聲門上部癌)의 근치적(根治的) 방사선치료(放射線治療) 성적(成績) (Radical Radiotheraphy Results of Supraglottic Carcinoma)

  • 김귀언;서창옥;김병수;김광문;홍원표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87-94
    • /
    • 1985
  • A total of eighty five cases with supraglottic carcinoma treated by radical radiotherapy in Yonsei Cancer Center between Jan. 1974 and Dec. 1980, was observed through retrospective analysis. This study is concerned wi th patients selection for irradiation alone or combined treatment with surgery. Emphasis is directed to the analysis of effectiveness of radical radiotherapy instead of partial laryngectomy in T-1, T-2 and early T-3 lesion. A satisfactory control of laryngeal disease and preservation of a normal voice ranging from 100% for $T_1N_0$ lesions, 61.1% for $T_2N_0$ to 50% for $T_3N_0$. But 47.1% of cases with node metastasis on admission had poor results to irradiation suggesting of necessicity of combined treatment. 5 year recurrence-free survivals was 43.3% in all cases with supraglottic carcinoma treated by irradiation alone, although it was 87.5% in T-1 and 51.8% in T-2.

  • PDF

진행된 성문상부암의 발생부위별 임상적 특성에 관한 연구 (Clinical Characteristics of Advanced Supraglottic Cancer by Subsites)

  • 정광윤;최종욱;이종수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93-199
    • /
    • 1993
  • The prognosis of supraglottic cancer is worse than that of glottic cancer. Supraglottic cancers by subsites have different microenvironment of cancer cells, locoregional spread patterns. Therefore we presume that high therapeutic efficacy, while preserving the organ, can be obtained when supraglottic cancer is treated effectively according to its biological behaviors. For the purpose of determination of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causes of treatment failures by subsites of supraglottis, the authors analyzed 24 cases(stage III 14 cases, stage IV 10 cases) of supraglottic cancer which were managed mainly by surgery in our institut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suprahyoid group had worse pathologic grades, more frequent spread to hypopharynx, more freguent recurrence at primary site, and better three-year survival rate than the infrahyoid group. 2) The infrahyoid group had more frequent spread to glottis, understaging, recurrence at cervical nodes than the suprahyoid group. 3) There was no differences in nodal metastasis by sub sit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suprahyoid group may have more aggressive spread pattern but better prognosis than the infrahyoid group.

  • PDF

성문상부암의 치료성적 (Treatment Results of Supraglottic Carcinoma)

  • 박찬일;김광현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권1호
    • /
    • pp.41-47
    • /
    • 1984
  • From March of 1979 through December of 1982, 84 Patients with supraglottic carcinoma were seen and evaluated in the Department of Therapeutic Radi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Of these, 68 patients were treated with a curative intent by employing either radiotherapy alone or a combined approach of radiotherapy Plus surgery. Sixteen patients refused to complete the treatment program. Seventy-three per cent of patients had $T_3\;and\;T_4$ lesions and $63\%$ of patients had lymph node metastasis at the time of diagnosis. Actuarial recurrence-free survival at 3 year was: Stage $I\~II\;62\;%,\;Stage\;III \;54\%,\;Stage\;IV\;18\%$, For $T_{1-2},\;T_3\;and\;T_4$ lesions, the actuarial recurrence free survival at 3 years were 50\%,\;34\;%\;and \;9\%$ respectively. Of 39 Patients with treatment failure, 29 Patients $(78\%)$ had uncontrol or ultimate recurrence at the primary site while 9 patients having lymph node recurrence, 14 patients$(21\%)$ had lymph node recurrence, and S patients had distant metastasis. It is suggested that planned combined radiotherapy is indicated for advanced but rescetable supraglottic carcinoma.

  • PDF

성문상부암 방사선치료 15년 성적 (The Result of Radiation Therapy of Supraglottic Laryngeal Cancer for 15 rears)

  • 유성열;고경환;서성희;김진용;심윤상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권2호
    • /
    • pp.185-190
    • /
    • 1984
  • To assess the result of radiation therapy for fifteen fears experience, a total of 125 cases of pathologically proven supraglottic laryngeal cancer had been analyzed according to patient survival retrospectively. All the patients had been treated with radiation therapy in curative aim using Co-60 teletherapy machine. The results are as follows ; 1. According to AJCC staging, five year survival rate was $58.3\%$ in stage I, $44.4\%$ in II, $31.8\%$ in II, and $28.6\%$ in IV. 2. According to T-staging, five year survival rate was $57.1\%$ in T1, $40.5\%$ in T2, $34.0\%$ in T3, and $19.0\%$ in T4. 3. According to N staging, five year survival rate was $43.5\%$ in negative node group and $26.8\%$ in positive node group. 4. According to the histologic grade, the better in differentiation, the more in number of cases and the better in prognosis. 5. In summary, five year actuarial survival rate was $37.3\%$ and ten year surrival rate was $34.2\%$, and ten year survivors totalled 16 cas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