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성류동굴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19초

성류굴 주변지역의 환경분석

  • 변대준
    • 동굴
    • /
    • 제29권30호
    • /
    • pp.60-78
    • /
    • 1992
  • 성류굴은 우리나라에서도 손꼽는 관광동굴로 유명하다. 가장 오래전부터 우리 조상들과 깊은 인연을 맺어 왔으며, 이 고장의 지역발전에도 크게 기여하고 있다. 이제 이 성류굴이 위치하는 울진지역의 자연 및 인문사회환경을 분석하고 성류굴의 환경보전을 위한 자료의 하나로 제시하고자 한다.(중략)

  • PDF

국내 석회동굴(고씨동굴, 백룡동굴, 성류동굴)에 분포하는 박쥐 구아노의 광물학적 특성 (Mineralogy of Guano Distributed in the Limestone Cave in Korea (Gossi Cave, Baekrong Cave, and Sungryu Cave))

  • 공달용;이성주;전창표;김영규
    • 한국광물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131-141
    • /
    • 2012
  • 동굴 속에서 박쥐 배설물에 의하여 형성된 구아노에는 쇄설성 광물과 더불어 배설물 내의 성분과 주변 암석과의 반응 등을 통하여 생성된 다양한 황산염 및 인산염 광물들이 존재한다. 따라서 이러한 광물들의 연구는 광물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동굴 내 지구화학적 환경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를 제공한다. 본 연구는 국내의 대표적인 세 석회동굴에서 구아노의 시료를 채취하여 이들에 대한 광물학적 특성과 화학 성분 비교를 통하여 동굴 내 구아노를 구성하는 기본적인 광물 성분을 밝히고 이들의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도출하고자 실시되었다. 연구 결과 고씨동굴의 경우 채취된 시료에서 운모, 석영, 장석과 같은 쇄설성 광물과 더불어 많은 양의 석고가 함께 산출되었다. 석고의 양은 하부로 갈수록 증가하며 이것은 백룡동굴과 석류동굴과는 다른 특징이다. 백룡동굴의 시료는 쇄설성 광물로 카올리나이트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며 상대적으로 매우 적은 양의 석고를 포함한다. 성류동굴 시료의 경우 쇄설성 광물의 성분은 고씨동굴과 같으나 석고 대신 바사나이트가 미량으로 관찰된다. 이러한 광물의 분포는 구아노 시료의 화학분석 결과와 일치한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고씨동굴에서는 많은 양의 박쥐 배설물로부터 상대적으로 습도가 높거나 홍수가 자주 일어나는 환경에서 이차광물이 형성되었음을 의미한다. 또한 성류동굴의 경우는 비교적 건조한 환경에서 생성되는 바사나이트의 존재로 미루어 볼 때 다른 동굴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건조한 환경에서 생성되었음을 지시한다.

한국의 자연동굴총람(상) 제1보 총론

  • 홍시환
    • 동굴
    • /
    • 제16권17호
    • /
    • pp.11-22
    • /
    • 1988
  • 어둠과 적막에 휩싸인 캄캄한 암흑의 세계, 동굴 이것이 우리들이 알고 있는 지하동굴 세계의 전부다. 참으로 동굴은 아직도 우리들에게 낯설고 거리감 있는 미지의 세계로 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근자에 이르러 점차 단양의 고수동굴이며 제주도의 만장굴 그리고 울진의 성류동굴은 의외로 주변에서 곧잘 입에 오르내리곤 하는 관광지의 하나로 등장하였다.(중략)

  • PDF

성류굴의 특성과 지물분포에 관한 연구

  • 홍현철
    • 동굴
    • /
    • 제29권30호
    • /
    • pp.22-42
    • /
    • 1992
  • 성류굴은 우리나라 동해안에 있는 천연기념물 제 155 호의 관광개발동굴이다. 우리나라에서는 가장 먼저 알려진 석회동굴이고, 또한 가장 화려하고 웅장한 동굴로 이름났다. 더구나 이 동굴에 얽힌 많은 애화와 전설도 남겨져 있기도 하며, 찾아드는 관광객이 많기로도 우리나라에서 으뜸가는 동굴이다. 이 동굴의 지형학적인 측면에서의 특성은 물론 지형지물의 분포에 대한 조사연구가 없었던 것은 아니지만 보다 세밀하.게 이 지형학적 특성과 분포에 대한 조사 결과를 소개하고자 한다.(중략)

  • PDF

울진 성류굴의 관광적 특성 (A study on the tourist character of Seongryu Cave in Uljin)

  • 유영준
    • 동굴
    • /
    • 제53호
    • /
    • pp.15-24
    • /
    • 1998
  • 여가 및 레저에 대한 의식구조의 변화와 가족 중심의 여가활동의 비중이 증가하면서 자연학습장으로서, 지구과학 전시관으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는 동굴이 이동을 전제로 한 가족 단위 관광객들의 관광 대상지로서 주목받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관광자원으로서의 동굴의 특성을 살펴보고, 그 중에서도 개발 역사가 오랜 성류굴의 관광적 특성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동굴은 지형 ·지질작용과 관계가 깊은 자원이지만 지하의 신비적 경관이 관광자원으로 활용되고, 그 구조의 특성에 따라 산업적 ·군사적 또는 학술적 연구의 이용에 크게 기여하는 등 다기능적 복합성을 띠고 있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동굴을 ‘복합 관광자원’이라 분류한다. 이런 동굴 중에서 성류굴은 오랜 역사를 지닌 관광자원으로서 구전 전설의 주인공이라는 ‘문화 · 역사적인 특성’, 다양한 볼거리를 제공하는 ‘지형적인 특성’, 도로와 철도를 이용한 ‘교통접근성’ 등의 관광적 특성을 지니고 있다.

  • PDF

성류굴의 안전진단

  • 김추윤;변태근
    • 동굴
    • /
    • 제29권30호
    • /
    • pp.87-95
    • /
    • 1992
  • 동굴은 소중한 자연자원이다. 동굴은 오랜 시일을 거쳐서 생성되는 것이므로 그것도 석회암 지역이 아니면 이와같은 동굴은 형성되지 아니한다. 더구나 동굴은 미지의 세계이고 암흑의 신비로운 지하세계이기 때문에 우리 인간에게는 매우 흥미로운 미궁이라고 할 수 있는 지하 복마전이다. 최근에 이르러 세계의 모든 나라에서는 이와같은 지하세계의 탐승을 위한 관광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면 일본에서는 전국에 총 87개소의 동굴들이 공개된 관광동굴로 개발되어 있다.(중략)

  • PDF

동굴환경요인이 미생물 생육에 미치는 영향 - 동굴학적 기초이론에 의해서 -

  • 임기영;조은희
    • 동굴
    • /
    • 제11권12호
    • /
    • pp.23-36
    • /
    • 1985
  • 한국에서의 동굴생물상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는 최등(1961)에 의한 울진 성류굴의 학술조사로부터 비롯되었으며 남궁준ㆍ이문순ㆍ이해풍ㆍ이병훈 등의 지속적이고 헌신적인 노력에 의해 현재 12망34목212종(일부 미확인종 포함)의 동굴생물이 분류되었다. (중략)

  • PDF

성류굴(천연기념물 제155호)의 과학적 중요성 (Scientific Significances of the Seongryu Cave (Natural Monument No. 155))

  • 김련;우경식;김봉현;박재석;박헌영;정혜정;이종희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3권1호
    • /
    • pp.236-259
    • /
    • 2010
  • 성류굴 주변에 분포하고 있는 퇴적암류를 조사한 결과 기존에 알려져 있는 바와 다르게 조선누층군에 대비되는 암석이 나타나고 있다. 특히 조선누층군 중 태백층군과 대비되는 대기층, 화절층 그리고 동점층이 나타난다. 하지만 동점층 상위에 두무골층과 막골층이 나타나는 태백지역과는 달리 이 지역의 암석은 두 층군의 구분이 뚜렷하지 않아 근남층으로 명명하였다. 성류굴은 이 근남층 내에 발달하고 있다. 성류굴은 전체적으로 북동-남서 방향으로 발달하고 있는 수평동굴로서 동굴 내 3개 구간에 규모가 큰 호수가 분포하고 있다. 성류굴의 주굴의 길이는 약 330m, 가지굴의 길이는 약 540m로 총 연장은 약 870m이다. 이 중에서 일반인들에게 개방된 구간이 약 270m이며, 수중조사를 통해 총 약 85m의 수중구간이 발견되었다. 성류굴 내에는 종유관, 종유석, 석순, 석주, 유석, 휴석, 동굴방패, 동굴산호, 베이컨시트, 커튼과 일부구간에 동굴진주, 석화, 곡석, 부유방해석 등이 분포한다. 동굴 내로 동굴수가 지속적으로 흐르는 구간도 있으나, 대부분의 구간에는 천장으로부터 떨어지는 동굴수가 성류굴 내 동굴수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특히 국내 최초로 성류굴 내부의 수중통로 구간을 발견하였다. 이 구간에는 종유석, 석순, 유석, 석주 등의 동굴생성물이 분포하며 동굴수에 의해 침식되거나 용식된 흔적을 찾을 수 있다.

석회암 지역에 분포하는 동굴의 내부 온도 변동 특성 (Variation of Air Temperature Inside Carbonate Area Caves)

  • 김련;박영윤;이종희;최재훈;정규성;김중태;김인수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3권1호
    • /
    • pp.52-63
    • /
    • 2020
  • 이 연구는 국내 대표적인 석회 동굴인 대금굴, 온달동굴, 성류굴의 내부 온도 변동의 특성과 기온이 동굴 내부 온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2019년 4월 13일부터 2019년 6월 25일까지 대금굴, 온달동굴 및 성류굴의 각 세 지점에서 매시간 온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같은 기간에 동굴 주변의 기온 자료를 기상청에서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기초 통계, 시간에 따른 변동 특성, 시계열 분석을 수행하였다. 대금굴, 온달동굴 및 성류굴에서 동굴 입구, 동굴수 유입 지점, 중간 지점 순으로 온도 변화가 크게 나타났다. 연구 기간 동안에 동굴 온도는 점차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대금굴은 외부로부터 약 150m에 위치한 모노레일 정류장에서 온도 변화가 크게 나타났고, 중간 지점 이후부터는 거의 일정하게 유지되었다. 정류장에서는 관람객의 영향으로 인해 기온의 영향이 크게 나타나지는 않았지만, 동굴 입구에서 내부로 갈수록 기온의 영향이 점차 감소하였다. 온달동굴은 입구에서 기온의 영향으로 온도가 넓은 범위를 보였지만 내부는 거의 일정하게 유지되었다. 그러나 동굴 내 관람 구간 가장 안쪽의 동굴수가 유입되는 지점에서는 유입되는 동굴수의 수온이 동굴 온도에 영향을 주었다. 성류굴은 입구와 중간 지점에서 뚜렷한 온도 변화를 보이고 내부는 거의 일정하게 유지되었다. 입구는 기온의 영향으로 온도 변화가 나타났지만, 중간지점은 기온보다는 호수의 수온에 영향을 더 많이 받은 것으로 추정되었다. 그러나 이번 연구에서는 이를 명확하게 설명하지 못하였다. 시계열 분석 결과 모든 동굴에서 기온이 약 1시간이 지난 후에 동굴 내부 온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동굴의 규모, 내부 구조, 동굴수, 동굴 입구의 크기와 형태, 공기의 흐름, 관람객 등이 동굴의 온도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동굴 온도 변동 특성을 명확하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요소들도 함께 고려되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