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성대중

Search Result 352,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성대결절의 음성평가에서 주관적 평가와 객관적 평가간의 관계 분석

  • 윤영선;이은경;손영익;백정환;추광철
    • Proceedings of the KSLP Conference
    • /
    • 1999.11a
    • /
    • pp.181-181
    • /
    • 1999
  • 배경 : 음성평가에서는 기기를 이용한 객관적인 평가뿐만 아니라 청지각에 의한 주관적 평가가 매우 비중 있게 다루어져 왔다. 목적 : 본 연구에서는 객관적인 평가 중 음향학적 분석인 MDVP(Multidimensional Voice Program)의 지표들과 주관적 평가로 알려진 GRBAS점수를 비교하여 이들의 상관관계 정도를 성대결절을 대상으로 알아보고자 하였다. (중략)

  • PDF

기능성 3차원적 후두 전산화 촬영을 이용한 후두질환의 진단

  • 박영학;김형태;송창은;최혁기;조승호
    • Proceedings of the KSLP Conference
    • /
    • 2003.11a
    • /
    • pp.162-163
    • /
    • 2003
  • 후두의 기능으로는 하기도의 보호, 호흡, 발성, 흉강의 고정 등이 있다. 이 중 발성은 성대의 진동에 의한 성대음이 입술까지의 성도(vocal tract) 및 비강에서의 조음과 공명 과정을 거치면서 이루어진다. 후두 질환을 진단하는 방법으로 간접 후두경, 단순 X-선 검사, 굴곡성 후두경(flexible fiberscope), 후두원시경(telescope), 전산화 단층 촬영, 자기공명영상 등이 사용되어 왔다. (중략)

  • PDF

경부기관절제 및 단단문합술

  • 김광문;홍원표;최홍식;조정일;최은창;김명상
    • Proceedings of the KOR-BRONCHOESO Conference
    • /
    • 1995.04a
    • /
    • pp.90.1-90
    • /
    • 1995
  • 저자들은 최근 4년간 11례에서 기관절제 및 단단문합술을 사용하였기에 그 치료 결과를 살펴보고 치료적용의 범위를 넓혀보고자 한다. 대상은 후두-기관협착증 2례, 기관협착증 8례, 갑상선암 1례로 총 11례였으며 이중 3례에서 기관-식도누공이 동반되어 있었다. 술후 발거가 가능했던 경우는 8례였으며 발거가 불가능했던 경우는 술전에 이미 양측성대마비가 있던 경우 l례, 문합부위 아래에 새로운 협착 부위가 생겼던 1례, 기관 연골의 과도한 결손이 있었던 경우가 1례 있었다. 합병증으로 창상감염 1례, 육아조직 3례의 경우는 치료되었으며 양측성대마비가 있던 경우는 편측성대절제를 하여 관찰 중이다. 이상의 결과를 볼 때 기관절제 및 단단문합술이 실패한 경우는 2례로 술전 동반질환의 정확한 검사 및 절제부위의 국소화, 수술시 문합부위의 장력을 최소화하여 시행한다면 합병증은 비교적 받아들일만 하며 비교적 성공율도 기대할 만한 술식으로 여겨졌다.

  • PDF

Region Detection Using the Feature Point Extraction from Medical Image (의료영상에서 특징점 추출을 이용한 영역추출)

  • 김엄준;성미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8.10c
    • /
    • pp.429-431
    • /
    • 1998
  • 본 논문에서는 의료 영상 중에서 성대 운동의 불규칙적인 움직임을 판단하여 자동으로 진단 파라미터를 구하는 비디오스트로보키모그래피(Videostrobokymography) 시스템에서 관심 영역을 추출하는 방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CCD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은 비디오 테이프에 저장된 후 이미지 캡쳐 보드에서 그레이 이미지(gray-level)로 변환되어 저장된다. 입력된 영상은 움직이는 영상을 촬영한 것이므로 관심 영역의 위치가 각 프레임마다 다르다. 또한 실제로 입력된 성대영상들이 점진적인 농도 변화를 보이기 때문에 에지에 의해 영역을 추출하는 일반적인 영역 추출방법은 사용하기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두 번의 단계를 통하여 관심 영역을 추출하고 있다. 첫 번째는 입력된 영상에서 노이즈를 제거한 후 각 프레임에서 영상의 최소 에너지를 구한다. 두 번째로 농도 변화 값을 특징 값으로 이용하는 분할-합병 알고리즘(Split-merge Algorithm)을 적용하여 관심 영역을 추출하였다. 제안한 알고리즘을 19명의 성대 영상에 적용하여 분석한 결과 성대의 관심 영역을 추출할 수 있었다. 그리고, 영상의 에너지 값을 이용하는 스네이크 알고리즘(Snake Algorithm)에 적용하여 비교해본 결과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스네이크 알고리즘보다 좋은 성능을 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관심 영역 추출 방법은 동적인 변화를 보이는 영상에서 관심 영역을 추출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계산 량이 적어 200x280크기의 이미지를 초당 약 40프레임에 대한 관심 영역을 추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 PDF

CLINICO-STATISTICAL STUDY OF PATIENTS WITH HOARSENESS (사성환자의 임상통계적 관찰)

  • 문영일;박연아;김영주;조은아
    • Proceedings of the KOR-BRONCHOESO Conference
    • /
    • 1987.05a
    • /
    • pp.15.2-16
    • /
    • 1987
  • 사성이란 후두의 발생기능에 장애가 있을 때 생기는 후두질환의 가장 대표적인 주증상으로 인간 문화의 발달에 병행되어서 대화에 의한 전달수단이 중요시되고 또한 암에 대한 인식이 높아져 사성을 호소하는 환자들이 많아지는 경향이 있다. 이에 저자는 1980년 1월부터 1984년 12월까지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 이비인후과 외래에 내원한 신외래환자 총 24,949명 중 사성을 주소로 한 800명의 환자에 대하여 병력지를 기준하여 각 질환을 통계적으로 분석 검토하여 다음과 같은 성적을 얻었다. 1) 이비인후과 외래환자 총 24,949명중 사성환자는 800명으로 약 3.2%이었다. 2) 외래사성환자 800명중 남자 336명, 여자 464명으로 남녀비는 약 1 : 1.4이었다. 3) 질환별로는 급성 후두염 248예(31.0%), 만성 후두염 186예(23.3%), 성대결절 160예(20.0%), 성대폴립 90예(11.3%), 성대마비 56예(7.0%), 후두 유두종 12예(1.5%), 후두암 9예(1.1%)이었다. 4) 연령별로는 30대가 213예(26.6%), 20대가 190예(23.8%), 40대가 179예(22.4%)의 순이었다. 5) 각 질환별 최다연령은 급성 후두염 30대 73예(29.4%), 만성 후두염 30대 53예(28.5%), 성대결절 30대 52예(32.5%), 성대폴립 40대 26예(28.9%), 성대마비 40대 14예(25.0%), 후두암 50대 6예(66.7%)이었다. 6) 발병부터 초진까지의 기간은 10일 이내가 153예(19.1%)로 제일 많았고 1개월∼3개월 138예(17.3%), 11일∼l개월 119예(14.9%)의 순이었다. 7) 각 질환에 따른 발병부터 초진까지의 기간의 최다분포는 급성 후두염은 10일 이내가 117예(47.2%), 만성 후두염은 3개월∼6개월이 44예(23.7%), 성대결절은 3개월∼6개월이 40예(25.0%), 성대폴립은 6개월∼1년이 20예(22.2%), 성대마비는 10일이내가 12예(21.4%)이었다. 8) 질환별 동반증상 분포는 사성만을 호소한 경우가 394예(41.4%)로 가장 많았고 동반증상으로는 인두통, 이물감, 객담, 기침, 연하장애, 호흡곤란의 순이었다. 9) 저자의 연도별 사성환자의 평균발생빈도(3.2%)를 문(1981)의 1975년 1월부터 1979년 12월(만 5년간)까지의 평균발생빈도(2.9%)와 비교할 때 증가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Dongsasuchangrok (「동사수창록」에 관한 연구)

  • Park, Moon-Year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46 no.4
    • /
    • pp.77-98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on the Dongsasuchangrok.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1) Tongsinsa refers to diplomatic envoys of Joseon who were officially dispatched to Shogun. Those who participated in Tongsinsa not only produced and left many pieces of paintings and literary works in Japan, but also wrote their experience from that foreign country when they returned to Joseon. These facts indicate that Tongsinsa acted as diplomatic roles and promoted cultural exchanges between two countries. (2) Donsasuchangrok is a collection of 28 poems under 4 titles which were directly handwritten by eight people. The poems portrayed conditions of Joseon and Japan after the Imjin war and feelings of the writers. (3) Considering the implication in poems and a feature that the poems were handwritten by the authors, Dongsasuchangrok deserves to be designated and preserved as a local cultural asset.

The Clinical Analysis of Sulcus Vocalis (성대구증에 관한 임상적 고찰)

  • 김광문;서장수;오혜경;최홍식;김기령
    • Proceedings of the KOR-BRONCHOESO Conference
    • /
    • 1982.05a
    • /
    • pp.11.2-12
    • /
    • 1982
  • The major advancement in phonosurgery due to recent development of laryngomicrosurgery enabled more accurate diagnosis and treatment of patient with voice disorders. Among large proportion of voice disordered patients, prominent linear furrow running parallel along the free edge of vocal cord extending from the vocal process to anterior commissure can be seen as well as incomplete closure during phonation. These cases were illustrated and coined as sulcus vocalis by Salvi in 1901, since then other similar paper was reported in Europe and Japan, but has not been reported in Korea. The exact etiology and therapeutic methods of sulcus vocalis has not been elaborated. At Department of Otolaryngology of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a series of voice analysis were performed among those 35 patients with sulcus vocalis visited to Vocal Dynamics Laboratory from May, 1981 to March, 1982. Following is the result of clinical statistical investgation and therapeutic modality. 1) The incidance of sulcus vocalis among 290 patients with voice disorder visited to Vocal Dynamics Laboratory was approximately 12%(35 cases). 2) Onset of this voice disorder was most frequent among patient under 10 year-old groups; 19 cases (54%) followed by second decade, third decade groups in decreasing frequency respectably. 3) The etiology of sulcus vocalis was mostly unknown. The sequelae after measle (4 cases) and severe upper respiratory infection (3 cases) and congenital deformity (2 cases) were the possible causes of sulcus vocalis. 4) These patients were involved bilaterally in 25 cases (71%), left side only in 8 cases (23%) and right side only in 2 cases (6%). 5) Almost all patients complained hoarseness and 7 patients were suffering from chronic laryngitis. 6) In aerodynamic analysis, Maximal Phonation Time was decreased in 20 cases (57%), Phonation Quotient was increased in 22 cases (63%) and Mean Air Flow Rate was increased in 23 cases (66%). 7) Among them, 33 cases were analyzed with stroboscopy.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incomplete glottic closure during phonation in 31 cases (93%), regular vocal cord movement in whole cases, asymmetric cord movement in 4 cases (12%), decreased amplitude in 5 cases (21%) and small mucosal wave in 24 cases (73%). 8) Intracordal Teflon injection in 5 cases and Sulcusectomy in 1 cases were performed as therapeutic management, however, the therapeutic results were not effective except one case with Teflon injection.

  • PDF

후두미세수술후 지속적인 음성장애환자에 대한 임상적 고찰

  • 김명상;표화영;최홍식;김영호;김광문
    • Proceedings of the KSLP Conference
    • /
    • 1997.11a
    • /
    • pp.257-257
    • /
    • 1997
  • 1996년 10월부터 1997년 6월까지 안ㆍ이비인후과병원과 영동세브란스병원 이비인후과에 음성장애를 주소로 내원한 환자 중 성대양성질환으로 성대미세수술을 시행하고 음성검사를 시행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환자는 총 85명으로 후향적으로 의무기록을 검토하여 수술시 병명, 수술시 레이저(laser)사용유무, 수술 후 발성장애 유무를 확인하였으며 그 중 수술 후 지속적인 혹은 반복적인 발성장애를 보인 환자는 총 12명으로 발성장애의 원인과 치료의 종류 및 치료효과를 판정하기 위해 후두비디오스트로보 스코피 검사, 청각심리검사 및 음성분석을 확인하였으며 통계처리를 하였다. (중략)

  • PDF

Bedside Estimation of the Length of Nares-Vocal Cord in Children (소아에서의 비공 - 성대간 거리에 관한 예측공식의 유도)

  • Lee, Young-Eun;Shin, Teo-Jeon;Kim, Chong-Chul;Lee, Sang-Hoon;Jang, Ki-Taeg;Kim, Jung-Wook;Kim, Youmg-Jae;Hyun, Hong-Keun;Han, Hyo-Jo;Kim, Hyun-Jeong;Seo, Kwang-Suk
    • Journal of The Korean Dental Society of Anesthesiology
    • /
    • v.11 no.2
    • /
    • pp.141-145
    • /
    • 2011
  • 배경: 협조가 불가능하거나 진정법 하 치과치료가 여의치 않을 경우 전신마취 하 치료를 계획하게 된다. 하지만 전신마취 하 치료시 기관내 삽관이 여의치 않은 경우를 종종 경험하게 된다. 이와같은 경우 기관지경을 이용한 기관내 삽관을 시행한다. 기관지 내시경을 환자의 성문에 근접하게 전진시킬 경우 기관지 내시경 하 시야확보가 용이한 점을 감안 시 비공 - 성대간 거리를 예측하는 것은 매우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비공 - 성대간 거리를 추정하게 되면 맹목적 비강내 기관내 삽관을 하는데도 도움이 된다. 방법: 본 연구는 전신마취하 치과치료가 예정되어 있는 62명의 소아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신체변수와 비공 - 성대거리와의 관계를 확인해보고자 하였다. 선형회귀분석을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결과: 소아환자들에 있어 비공 - 성대간 거리는 환아의 신장, 체중, 연령 등과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비공 - 성대간 거리와 상관관계를 보인 변수들 중 에서 신장과의 상관계수가 가장 높았다. 선형회귀분석을 통해 비공 - 성대간 거리를 예측하는 다음과 같은 회귀식을 구하였다. 비공 - 성대간 거리 = (4.8 + 신장(cm)) ${\times}$ 0.07 고찰: 본 연구에서 구해진 회귀식을 이용하여 기도유지가 어려운 소아의 기도유지 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