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성과기반 통계

Search Result 396,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A Multiclass Sound Classification Model based on Deep Learning for Subtitles Production of Sound Effect (효과음 자막 생성을 위한 딥러닝 기반의 다중 사운드 분류)

  • Jung, Hyeonyoung;Kim, Gyumi;Kim, Hyon Hee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0.05a
    • /
    • pp.397-400
    • /
    • 2020
  • 본 논문은 영화에 나오는 효과음을 자막으로 생성해주는 자동자막생성을 제안하며, 그의 첫 단계로써 다중 사운드 분류 모델을 제안하였다. 고양이, 강아지, 사람의 음성을 분류하기 위해 사운드 데이터의 특정벡터를 추출한 뒤, 4가지의 기계학습에 적용한 결과 최적모델로 딥러닝이 선정되었다. 전처리 과정 중 주성분 분석의 유무에 따라 정확도는 81.3%와 33.3%로 확연한 차이가 있었으며, 이는 복잡한 특징을 가지는 사운드를 분류하는데 있어 주성분 분석과 넓고 깊은 형태의 신경망이 보다 개선된 분류성과를 가져온 것으로 생각된다.

The Influence of IoT Technological Characteristics on Expected Achievement and Adoption Intention of SCM: On the Perspectives of Chinese Physical Supply Chain and Distribution Industry (사물인터넷(IoT) 기술특성이 SCM 기대성과 및 도입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중국 물류공급망 및 유통업체를 대상으로)

  • Shang Meng;Yong Ho Shin;Chul Woo Lee;Jun Ho Mun
    • Information Systems Review
    • /
    • v.19 no.3
    • /
    • pp.1-21
    • /
    • 2017
  • The Internet of Things (IoT) analysis aims to verify the technical characteristics, performance expectations, and adoption intentions of IoT. This work refers to IoT data from foreign and domestic publications and websites as well as aims to benefit related organizations by referring to reports from agencies. The literature review summarizes the relevant theories and background of the unified theory of acceptance and use of technology. The SPSS 22.0 software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s (smart PLS 2.0) are used in the data analysis. Technical statistics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validity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models, and statistical methods are employed to test the research hypotheses, that is, the technical characteristics of IoT will have positive effects on its performance expectations. This study introduces the characteristics and expected performance of IoT to present relevant IoT guidelines for companies that aim to adopt such technology.

Analysis on Creativity and Solving-Problem Ability with Hackathon-based Elementary SW Education (해커톤 기반 초등 SW교육이 창의성과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효과성 분석)

  • Lee, Si-Hoon;Han, Jeong-Hye
    •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 /
    • v.18 no.5
    • /
    • pp.995-1000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ducational effect on creativity and solving-problem ability based on hackathon of elementary SW education. We divided into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s with activities of physical computing or robots. The control groups conducted by traditional project based learning collaboratively and the experimental group in hackathon. The outcomes from students were evaluated to by elementary teachers with questionnaire and analyzed to the creativity and solving-problem ability of physical computing or robot productions. As a result, a group of hackathon showed significant positive results in the accuracy on creativity and solving-problem skills statistically. We concluded that the free atmosphere of hackathon for communication and consultation have been attributed to various ideas of students.

The Effects of Team-Based Learning on Outcome based Nursing Education (성과기반 간호교육에서 팀기반학습 적용의 효과)

  • Oh, Hyo-Sook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3 no.9
    • /
    • pp.409-418
    • /
    • 2015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velop and evaluate the effects of Team-Based Learning(TBL) on cardiac problem in adult nursing. The study measured problem-solving ability,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cademic achievement and, class satisfaction for learning outcomes of course. Pretest-posttest design with nonequivalent control group was utilized to analyze the effects of TBL.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each consisting of 52, 54 participants was picked from the junior students. The experimental group was given the TBL for 6 hours and control group was given a lecture and case-based announcement class. In results, significant improvements were found in problem-solving ability(F=5.92, p=.017), and class satisfaction(F=5.80, p=.018).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of experimental group were improved than those of control group, but there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e Analysis on Customer Behavior of Tourism Omnichannel based upon ICT (ICT 기반 관광옴니채널에 대한 고객행동분석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통합기술수용모형의 변수를 중심으로-)

  • Park, Hyun-Jee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6 no.6
    • /
    • pp.95-104
    • /
    • 2018
  • This study is focused on analyzing the difference by dem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users on acceptance behavior of tourism omnichannel based upon Unified Theory of Acceptance and Use of Technology. Through field survey with 392 responden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Partially differences on acceptance behavior are found according to gender, age, education and job a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ourism omnichannel. And the difference by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n acceptance behavior about preferring tourism information is not significant. However performance expectancy and effort expectancy as factors of UTAUT are significantly positive in thirties group of tourism omnichannel users.

An Exploratory Study on the Effects of Innovation and Business Performance of CEO's Internal and External Activities (CEO의 내·외부 활동이 혁신과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탐색적 연구)

  • Choi, Sung-Pyo;Uh, Soo-Bong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7 no.11
    • /
    • pp.302-313
    • /
    • 2016
  • This study conducts statistical analysis based on a survey of 300 CEOs from Korean companies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s of a CEO's internal?external activities (information, knowledge management, learning organization) on business innovation activity (exploitative, exploratory) and business performance. Analysis results show that learning organization activity ha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exploitative and exploratory innovation activity. In addition, knowledge management activity lacke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exploratory innovation activity. Furthermore, exploitative and exploratory innovation activity was affected by CEO's internal?external activities (information, knowledge management, learning organization) and ha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company's business performance. but it was shown that the level of influence was different. Results of this study imply that maximizing business performance through developing innovation activity by CEO's internal?external activities (information, knowledge management, learning organization) in the company, extracting activity advantageous to company's business environment based on activity perceived in the precedent study and business strategy becomes advantageous to the attainment of business performance objectives.

주거부문 행정자료의 인구주택총조사 활용방안

  • Lee, Geon;Byeon, Mi-Ri;Lee, Myeong-Jin;Seo, U-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tatistical Society Conference
    • /
    • 2005.11a
    • /
    • pp.117-120
    • /
    • 2005
  • 인구주택총조사는 국가통계의 가장 기본이 되는 자료를 생산하는 조사로 거의 대부분의 나라에서 전수조사방식으로 정기적으로 시행해왔다. 그러나 최근 들어 일부 국가, 특히 선진국에서 응답거부가 늘고, 조사대상을 접촉하기 어려운 등 조사환경이 나빠지고 있다. 아울러 조사비용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이에 각 국의 통계청에서는 이러한 상황을 인구센서스에 대한 '근본적인 도전'으로 간주하고 있다(Jensen, 2000). 심지어 독일이나 네델란드에서는 조사환경의 악화로 1990년대 이후 인구센서스를 중단한 상태이다(Bierau, 2000). 조사환경의 악화는 조사의 포괄성과 신뢰성에 대한 문제를 야기한다. 선진국들과 마찬가지로 우리나라에서도 조사환경이 빠른 속도로 악화되고 있다. 더욱이 우리의 경우 읍면동사무소 기능축소로 말미암아 과거 인구주택총조사에서 실제 조사에 도움을 주었던 행정지원이 없어짐에 따라 앞으로 조사의 어려움은 더욱 커질 것으로 보인다. 이렇듯 악화되는 조사환경변화에 대응하여 선진 국가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인구센서스방식들이 모색되고 있다. 많은 나라들이 순환형 센서스보다는 행정자료를 인구주택총조사에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으며, 덴마크나 핀란드 등 일부 국가에서는 이미 전혀 조사를 하지 않고 행정자료로 대부분의 인구센서스 통계를 생산하고 있다(Harala, 1996; Gaasemyr, 1999; Laihonen, 1999), 많은 나라들이 행정자료를 활용한 인구센서스 방식을 선호하는 데는 또 다른 이유가 있다. 자료의 측면에서 보면, 행정자료를 활용할 경우 매년 인구센서스 통계를 생산할 수 있다. 실제로 현재 덴마크와 핀란드는 인구센서스에 준하는 통계를 매년 생산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자료를 바탕으로 지역통계 수요에 즉각 대처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이와 같은 통계는 전 국민에 대한 패널자료이기 때문에 통계적 활용의 범위가 방대하다. 특히 개인, 가구, 사업체 등 사회 활동의 주체들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추적할 수 있는 자료를 생산함으로써 다양한 인과적 통계분석을 할 수 있다. 행정자료를 활용한 인구센서스의 이러한 특징은 국가의 교육정책, 노동정책, 복지정책 등 다양한 정책을 정확한 자료를 근거로 수립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한다(Gaasemyr, 1999). 이와 더불어 행정자료 기반의 인구센서스는 비용이 적게 드는 장점이 있다. 예를 들어 덴마크나 핀란드에서는 조사로 자료를 생산하던 때의 1/20 정도 비용으로 행정자료로 인구센서스의 모든 자료를 생산하고 있다. 특히, 최근 모든 행정자료들이 정보통신기술에 의해 데이터베이스 형태로 바뀌고, 인터넷을 근간으로 한 컴퓨터네트워크가 발달함에 따라 각 부처별로 행정을 위해 축적한 자료를 정보통신기술로 연계${cdot}$통합하면 막대한 조사비용을 들이지 않더라도 인구센서스자료를 적은 비용으로 생산할 수 있는 근간이 마련되었다. 이렇듯 행정자료 기반의 인구센서스가 많은 장점을 가졌지만, 그렇다고 모든 국가가 당장 행정자료로 인구센서스를 대체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행정자료로 인구센서스통계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각 행정부서별로 사용하는 행정자료들을 연계${cdot}$통합할 수 있도록 국가사회전반에 걸쳐 행정 체제가 갖추어져야 하기 때문이다. 특히 모든 국민 개개인에 관한 기본정보, 개인들이 거주하며 생활하는 단위인 개별 주거단위에 관한 정보가 행정부에 등록되어 있고, 잘 정비되어 있어야 하며, 정보의 형태 또한 서로 연계가 가능하도록 표준화되어있어야 한다. 이와 더불어, 현재 인구센서스에서 표본조사를 통해 부가적으로 생산하는 경제활동통계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개인이 속한 사업체를 파악할 수 있도록 모든 사업체가 등록되어 있고, 개인의 경제활동과 관련된 각종 정보들이 사업체에 잘 기록 및 정비되어 있어야 한다. 따라서 행정자료 기반의 인구센서스통계생산은 단지 국가의 통계뿐만 아니라 행정조직과 행정체계를 정비하고, 개인과 사업체의 등록체계를 정비하며, 사업체의 개인에 관한 정보를 정비하여 표준화하는 막대한 작업을 수반한다. 이런 이유에서 대부분의 국가들은 장래에 행정자료 기반의 인구센서스통계생산을 목표로 하되, 당장은 행정자료를 인구센서스에 보조적 수단을 사용하는 데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행정자료를 인구주택총조사에 활용할 수 있는 몇 가지 중요한 기반을 갖추고 있다. 첫째, 1962년부터 시행한 주민등록제도가 있다. 주민등록제도는 모든 국민 개개인을 파악할 수 있는 주민등록번호를 갖추고 있으며 40년 이상 제도화되어 오류가 거의 없는 편이다. 둘째, 세계 10위권 내에 들 정도로 높은 우리나라의 정보화 수준과 2000년부터 시작된 전자정부사업으로 행정자료를 연계${cdot}$통합할 수 있는 기반이 잘 갖추어져 있다. 반면, 우리나라 행정자료 가운데 주거(생활)단위와 사업체를 파악할 수 있는 자료는 매우불완전하다. 대표적으로 인구센서스통계의 주요한 단위인 가구를 파악할 수 있는 수준으로 주소체계가 정비되어 있지 않으며, 많은 사업체, 특히 소규모 사업 가운데 등록되어 있지 않거나 등록오류가 많은 편이다. 이외에도 과세대장, 토지대장 등 많은 행정자료가 아직은 불완전하여 이들을 직접 연계하기에 어렵다. 행정자료를 연계하기 위해서는 모든 자료를 정비하고 표준화하여 실제 행정에 활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행정적으로 많은 노력과 시간이필요하다. 따라서 현재는 손쉬운 부분에서부터 인구주택총조사에 행정자료를 활용하고, 앞으로 활용 과정을 거치면서 행정자료를 정비하고 표준화하는 장기적인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 PDF

Verification of the Suitability of Fine Dust and Air Quality Management Systems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Evaluation Models

  • Heungsup Sim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29 no.8
    • /
    • pp.165-170
    • /
    • 2024
  •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accuracy of the air quality management system in Yangju City using an artificial intelligence (AI) evaluation model. The consistency and reliability of fine dust data were assessed by comparing public data from the Ministry of Environment with data from Yangju City's air quality management system. To this end, we analyzed the completeness, uniqueness, validity, consistency, accuracy, and integrity of the data. Exploratory statistical analysis was employed to compare data consistency. The results of the AI-based data quality index evaluation reveal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datasets. Among AI-based algorithms, the random forest model demonstrated the highest predictive accuracy, with its performance evaluated through ROC curves and AUC. Notably, the random forest model was identified as a valuable tool for optimizing the air quality management system. This study confirms that the reliability and suitability of fine dust data can be effectively assessed using AI-based model performance evaluation, contributing to the advancement of air quality management strategies.

A Design of Dialogue Interface System Based on Statistical Approach (통계에 기반한 다영영 대화형 도우미 시스템의 설계)

  • Jeong, Hyoung-Il;Kim, Dong-Hyun;Jang, Hyo-Jun;Kim, Hark-Soo;Seo, Jung-Yu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06.10e
    • /
    • pp.262-267
    • /
    • 2006
  • 대화 인터페이스 시스템(dialogue interface system)은 인간과 컴퓨터의 상호작용을 위한 도구로서 자연언어(natural language)를 사용하여 정보를 공유하거나 특정 업무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이다. 대화 인터페이스 시스템에 대한 기존의 연구들은 영역 의존적인 스크립트나 계획 추론을 위한 계획 지식을 이용해 왔다. 스크립트 모델(script model)은 제한적인 실용시스템 개발을 위해 주로 연구되었고 계획에 기반한 모델은 대화의 원리를 이해하는 분야에서 주로 연구되어 왔다. 그러나 기존의 모델들은 시스템 확장이 매우 어려우며 예측하지 못한 사용자 발화에 대하여 대응이 어렵기 때문에 매우 제한적인 영역이나 정해진 형태의 대화만을 처리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런 단점들을 보완하기 위하여 통계에 기반한 다 영역(multi-domain) 대화 모델을 제안한다. 제안된 시스템은 각 작업들에 대하여 해당 작업에 적합한 영역 모델(domain model)을 잘 알려진 프레임 구조를 따르면서 사용자 의도 파악과 시스템 의도 생성에 통계적 방법을 사용한다. 이러한 하이브리드 형태의 구조 덕분에 제안된 시스템은 영역 확장성과 이식성이 뛰어나다는 장점을 가진다.

  • PDF

Assurance of HIT (head impulse test, Saccade based Vestibular Anomaly Detection) using Confidence Interval of Optical Flow Comparison on Wasserstein Metric (Optical Flow 기반의 Saccade 탐지를 통한 전정기관 이상 검출과 Dowhy 기반의 연관 관계의 신뢰도 검정)

  • Ji, Myeongjin;Kim, Tae-Hyun;Kim, Seong-Wha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1.05a
    • /
    • pp.273-276
    • /
    • 2021
  • 최근의 기계 학습 (딥러닝)은 기존의 전통적인 통계 분석 방법들에 비해 효율성과 정확도가 높은 장점이 있지만, 처리과정이 블랙박스와 같아 결과 값의 중요한 원인 또는 근거 요인을 찾기 어렵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최근의 XAI (eXplainable AI) 연구를 기반으로 하여, 본 논문에서는 의료기관에서 전정기관의 이상을 판별하기 위해 수작업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HIT (head impulse test) 테스트 결과를 자동화하고, 설득력 있는 신뢰도 검정을 위해, XAI 기반 DoWhy 프레임 워크를 사용하였다. 전정기관 이상으로 의심되는 환자의 동공 움직임을 optical flow 로 추적하고, 정상인과의 Wasserstein metric 의 DoWhy 검증을 통해 전정기관 이상 여부의 신뢰도 구간을 검정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