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섬유 성분

검색결과 990건 처리시간 0.034초

수분주입량에 따른 압출성형 옥수수 섬유질의 물리화학적 특성 (Effects of Feed Moisture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Extruded Corn Fibers)

  • 김철현;류기형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427-433
    • /
    • 2013
  • 본 연구는 옥수수 섬유질을 수분주입량의 변화에 따라 압출성형 옥수수 섬유질과 탈전분 압출성형 옥수수 섬유질의 물리화학적 특성 변화를 측정하였다. 원료의 수분주입량은 30, 40, 50%로 조절하였으며 스크루 회전속도와 사출구 온도는 각각 200 rpm, $140^{\circ}C$로 고정시켜 압출성형 하였다. 일반성분 함량은 원료에 비해 감소하였으며, 수분주입량이 30%일 때 옥수수 섬유질과 탈전분 옥수수 섬유질의 불용성 식이섬유 함량은 감소하고 수용성 식이섬유 함량은 증가하였다. 압출성형 옥수수 섬유질의 비기계적 에너지, 직경팽화율, 밀도, 파괴력, 탄성계수는 수분함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고, 비길이는 증가하였다. 압출성형 옥수수 섬유질의 수분흡착지수와 환원당은 수분주입량이 증가할수록 변화가 없었으며 수분용해지수는 감소하였다. 반면에 탈전분 옥수수 섬유질의 수분흡착지수는 감소하고 수분용해지수와 환원당은 증가하였다. 수분주입량 30%일 때 유용성분의 추출이 미량 증가하는 것으로 보아 압출성형공정의 적용하여 섬유질에 포함된 유용성분의 추출이 용이할 것으로 생각된다.

추출용매에 따른 참죽나무 순 분말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ctivities of Cedrela sinensis Tender Leaf Powder Extracts obtained from Different Solvents)

  • 김민정;한영실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1059-1066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전통 식품 소재로의 활용성을 높이기 위해 참죽나무 순을 동결건조하여 일반성분과 무기질 함량을 측정하였고, 추출용매를 달리하여 얻은 열수 추출물과 70% 에탄올 추출물로부터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과 항산화능을 살펴보았다. 참죽나무 순의 일반성분 및 무기질 분석 결과, 조단백질, 조섬유, 칼슘과 칼륨 함량이 높게 측정되었다. 총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는 참죽나무 순 분말 열수 추출물보다 70% 에탄올 추출물에서 함량이 더 높았으며, DPPH 유리 라디칼 소거능과 FRAP 또한 70% 에탄올 추출물에서 더 높은 항산화력을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참죽나무 순 분말은 영양성과 식이섬유소의 기능성이 높아 식품의 재료로 이용가능성이 높으며, 참죽나무 순 분말로부터 유용성분 용출 및 기능성 증대를 위해서는 70% 에탄올로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게르마늄을 첨가하여 재배한 콩나물에서 영양성분의 함량 분석 (Quantity Analysis of Nutrients in Soybean Sprouts Cultured with Germanium)

  • 김은정;이경임;박건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1150-1154
    • /
    • 2002
  • 게르마늄을 처리하여 재배한 콩나물이 일반 콩나물과 비교하여 영양성분의 차이가 있는지를 관찰하였다. 수분함량은 일반 콩나물이 84~87.8%이었으나 게르마늄 콩나물은 88.7~90.2%로 약간 높았다. 회분 함량도 16~24%로 세 품종 모두에서 유의적으로 증가되었으나(p<0.05) 단백질의 함량은 약간 낮게 나타났다. 총 식이섬유소의 함량은 일반 콩나물과 비교하여 게르마늄 콩나물에서 7~10%높았으며 세 가지 품종모두에서 수용성 및 불용성 식이섬유소의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총 비타민 C의 함량은 세 품종 가운데 서목태에서 가장 높았으며, 게르마늄 처리시 일반 콩나물에 비하여 17%증가되었다. 서목태에서 총 페놀 함량은 일반 수돗물이나 지하수로 재배한 콩나물과 비교하여 게르마늄 용해수로 재배한 콩나물에서 20~40%더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콩나물에서 무기질의 함량을 측정한 결과, 재배 일수가 경 과함에 따라 대부분의 무기질 함량은 증가되었으며 특히 나트륨의 함량은 급격하게 증가되었다. 또한 일반 콩나물에 비해 게르마늄 콩나물은 칼슘과 철분의 함량이 높았으며 일반 콩나물에는 전혀 함유되어 있지 않은 게르마늄이 155ppm함유되어 있었다. 따라서 게르마늄을 처리하여 재배한 콩나물은 처리하지 않은 콩나물에 비하여 일반성분을 비롯하여 식이섬유소, 페놀화합물, 비타민 및 무기질의 함량이 높아 영양적으로 우수한 콩나물로 여겨진다.

유기성자원의 퇴비원료로 활용 가능성 평가방법 개발 (Development of Method for Possibility Assessment on Organic Resources for Using Raw Material of Compost)

  • 임동규;이승환;성기석;소규호;신중두;이정택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77-84
    • /
    • 2006
  • 본 연구는 다양한 종류의 유기성자원 중에서 퇴비원료로의 활용 가능성이 충분하고 퇴비로 제조되어 농지에 시용하였을 때 유해성분이 적은 자원을 선별하기 위해 현재 비료관리법상 퇴비원료기준에 규제하고 있는 유기물함량과 중금속(8성분)에 유기화합물(HEM, PAHs)과 Bioassay(Microtox 생물검정법)을 추가하여 규제기준으로 활용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해 $'04{\sim}'05$년(2년) 전국의 유기성자원 16종, 62점을 무작위로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시험재료의 유기물함량은 $65.3{\sim}98.0%$로서 기준치인 60% 이상을 크게 상회하였고, 전 질소 함량과 인산함량은 퇴비원료로서 질소 및 인산성분의 공급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중금속의 경우 섬유오니가 Cr, Ni 및 As에서, 식품오니 및 피혁오니는 Ni 함량에서 퇴비원료의 기준치를 초과하여 퇴비원료로 사용이 곤란하였고, 나머지 성분함량들은 모두 기준치보다 낮았다. HEM 함량은 섬유오니가 $113mg\;kg^{-1}$으로 다른 재료에 비해 상당히 높았으며, PAHs 함량은 제지오니에서 $3,462ug\;kg^{-1}$으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은 피혁오니>중소도시 하수오니 순으로 낮았다. PAHs 성분별 분포는 naphthalene, phenanthrene, pyrene, fluoroanthene, acenaphthene이 다른 화합물들보다 많았다. Microtox분석에서 $EC_{50}$값은 피혁오니에서 가장 낮았고, 제약오니<제지오니<공단지역 하수오니<섬유오니 등의 순으로 낮아졌다. 각 분석치 항목 간의 상관관계는 HEM이 Zn, Cu, Ni과 99% 및 Cd와 95% 수준에서, Microtox $EC^{-1}$ 값은 Hg과 HEM에서 95% 수준에서 유의성을 보였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유기성자원의 퇴비원료로 활용에 대한 기준은 유기물함량과 중금속(8성분: Zn, Cu, Cr, Pb, Ni, Cd, As, Hg)으로 규제하고 있으나, 일반성분(B) 및 중금속(Co, Mo, Se)을 비롯하여 유해화합물(HEM, PAHs, PCBs 등) 및 생물검정법(Microtox 등)에 대한 추가적인 보완연구를 통해 퇴비원료로 활용 가능성 여부를 평가할 수 선별체계(일반성분$\Rightarrow$중금속$\Rightarrow$유기화합물$\Rightarrow$Bioassay) 및 각 선별 체계별 활용기준 항목에 대한 규제기준이 설정된 후 이들의 각 성분함량을 통과하고 최종 비효시험(포장)을 마친 경우에는, 유용한 유기성자원의 농업적 활용으로 안전한 작물재배 및 농업환경을 보전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나물의 영양성분 비교 (Comparison of Nutritional Compositions of Green Vegetables)

  • 김영섭;김현영;김세나;이지윤;서동원;최용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6권5호
    • /
    • pp.592-599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비름나물, 참취, 민들레, 미나리, 부추, 곰취, 홑잎나물 등 식생활에서 많이 섭취되고 있는 7종 나물의 생시료와 데친 후의 수분, 단백질, 지질, 회분, 무기질, 식이섬유와 비타민 함량 등 영양성분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데치기 전후 7종 나물의 수분 함량은 각각 71.28~92.68 g/100 g과 76.90~92.09 g/100 g으로 시료 간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P<0.05). 영양성분 비교 분석을 위해 수분을 제외한 모든 성분의 함량은 건조물 중량 100 g 기준으로 환산하였다. 단백질 함량과 조지방 함량은 곰취가 33.38 g/100 g과 4.50 g/100 g으로 분석시료 중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조회분 함량은 비름나물이 19.89 g/100 g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고 홑잎나물에서 5.21 g/100 g으로 가장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무기성분 중 칼슘 함량은 비름나물이 1,534.44 mg/100 g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그다음으로 곰취, 민들레, 홑잎나물, 참취, 부추, 미나리 순으로 시료 간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P<0.05). 철 함량은 민들레가 55.23 mg/100 g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나트륨 함량은 비름나물이 743.18 mg/100 g으로 기타 채소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칼륨과 마그네슘 함량은 비름나물에서 각각 7,710.63 mg/100 g과 1,786.67 mg/100 g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총 식이섬유는 홑잎나물, 부추, 미나리, 비름나물, 곰취, 참취, 민들레 순으로 홑잎나물에서 59.75 g/100 g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리보플래빈 함량은 곰취와 참취가 각각 3.10 mg/100 g, 3.08 mg/100 g으로 기타 채소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P<0.05). 비타민 C 함량은 홑잎나물에서 468.28 mg/100 g으로 기타 나물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민들레 시료는 22.48 mg/100 g으로 가장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주요 영양소 권장섭취량에 대한 기여도를 보면 단백질, 칼슘, 식이섬유, 비타민 등 성분에 대해서는 홑잎나물이 기여도가 높았다. 철 성분은 민들레가 기여도가 컸으며 칼륨, 마그네슘, 나트륨 등 성분은 비름나물이 성인 권장섭취량에 대한 기여도가 높았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나물은 종류에 따라 영양성분 함량의 차이가 있으며, 어느 한 종류의 나물을 섭취하기보다 여러 가지 나물을 골고루 섭취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생각된다.

아마인과 아마인유의 영양성분과 물리화학적 특성 (Studies on the Nutritional Components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Various Flax(Linum usitatissimum) Seeds and Oils)

  • 남진식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516-525
    • /
    • 2010
  • 아마인의 유용성분에 대해서 알아보고 가열과정을 통한 성분변화 및 다른 종유작물과 유지의 물리화학적 성분과 비교, 평가하였다. 조지방은 37~43%, 탄수화물은 30~35%, 조단백질은 18~23%, 조회분은 3~4% 그리고 수분 함량은 0.2~6.8%의 함량을 나타내었다. 식이섬유 함량은 생아마인보다 가열 처리한 볶음 아마인에서 SDF의 함량이 증가한 것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상대적으로 IDF의 함량도 감소하기 때문에 TDF의 함량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리고 총 식이섬유 함량은 28~31%로 높은 함량을 보였다. 또한 아마인의 주요 유용성분을 살펴본 결과, 비타민은 ${\gamma}$-tocopherol(E), 아미노산은 agrginine, aspartic acid, glutamic acid가 높은 함량을 보였다. 이들은 생아마인보다 볶음 아마인에서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아마인의 무기물 함량을 분석한 결과, 칼슘, 칼륨, 마그네슘, 인이 주요 구성성분이었다. 물리화학적인 특징으로 요오드가, 비누화가, 산가를 분석하였으며, 브라운 아마인유는 각각 204.1 g/100 g, 193.6 mg/g, 1.59 mg/g을 나타내었으며, 골드 아마인유는 각각 203.0 g/100 g, 189.9 mg/g, 2.35 mg/g으로 조사되었다. 아마인유의 지방산 함량에서는 전체적인 구성 비율을 볼 때 ${\alpha}$-linolenic acid(ALA, C18:3n-3)가 약 55.5~56.1% 로 가장 높은 함량을 차지하였다. 그리고 브라운보다는 골드 아마인유의 ${\alpha}$-linolenic acid의 함량이 약간 높았다. 높은 ${\alpha}$-linolenic acid 함량은 아마인유가 오메가-3 지방산이 강화된 식품 개발에 좋은 자원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다가 불포화지방산 함량이 약 71%로 함유되어 있으며, ${\alpha}$-linolenic acid 등 필수지방산의 함량이 높아 식품의 영양학적인 의의가 크며, 양질의 식용유로 사용 가능할 것이다.

연조직종양의 조직 성분 평가를 위한 자기공명영상: MEDIC 과 지방억제 T2 영상의 비교 (MRI Evaluation for the Histologic Components of Soft-tissue Tumors: Comparison of MEDIC and Fast SE T2-weighted Imaging)

  • 문태용;이인숙;이준우;최경운;김정일;김의신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제12권1호
    • /
    • pp.1-7
    • /
    • 2008
  • 목적: 연조직종양의 조직 성분을 자기공명영상으로 평가하는데 MEDIC과 지방억제 T2 영상을 비교하여 더 나은 검사방법을 선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병리조직학적으로 진단된 연조직종양 10예 (신경집종 3예, 혈관종 2예, 지방종 1예, 혈관각화종 1예, 윤활막육종 1예, 지방육종 1예 그리고 악성섬유조직구종 1예)에서 25 조직 성분 (혈관 5예, 신경 4예, 섬유성 4예, 과세포성 4예, 출혈성괴사 2예, 낭성 2예, 지방성 2예, 점액버팀질 1예, 그리고 혈전 1예)을 선택하였다. 병리조직학적 조직 성분과 일치하는 동일 단면상을 가진 MEDIC과 지방억제 T2영상에 동일한 크기의 관심영역을 그려 불균질치를 얻었다. 불균질치는 영상의 불균질성을 나타내는 표준편차 값을 관심영역에서 얻은 신호강도 평균값으로 나눈 값으로 하였다. 결과: 25 조직 성분의 불균질치는 MEDIC 보다 지방억제 T2영상에서 높게 나타났다 (p < .001). 결론: MEDIC 영상은 불균질치가 현저히 낮으므로, 자기공명영상으로 연조직종양의 조직 성분을 평가하는데 지방억제 T2영상 보다 MEDIC 영상이 더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한국산 영지버섯의 화학성분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Chemical Components in Ganoderma lucidum)

  • 이서구;유영진;김창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890-894
    • /
    • 1989
  • 한국에서 인공재배 한 원목영지, 포자영지 및 녹각영지버섯의 일반성분, 무기성분, 지방산 및 아미노산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일반성분은 건물당 조섬유가 $47.2{\sim}49.9%$로 가장 많았으며 탄수화물은 $29.1{\sim}31.9%$. 조단백질 $15.2{\sim}15.6%$, 조지방$4.0{\sim}4.4%$ 조회분은 $1.3{\sim}1.7%$이었다. 조섬유와 조반백질은 원목영지버섯이 가장 많았고 조회분은 녹각영지버섯이 가장 많았으며 탄수화물은 포자영지버섯이 가장 많았다. 무기성분은 K가 $2,742{\sim}4,843ppm$으로 가장 많았으며 P, Mg, Ca, Na의 순으로 많았다. 무기성분의 총함량은 녹각영지버섯이 가장 많았다. 지방산은 불포화지방산이 $81.0{\sim}82.1%$며 주요 지방산은 oleic acid와 linoleic acid이었다. 아미노산은 건물 1g당 histidine이 $9.47{\sim}13.06mg$으로 가장 많았으며 methionine이 $0.20{\sim}0.44mg$으로 가장 적었다. 원목영지버섯은 histidine, glutamic acid, aspartic acid, leucine 순으로 포자영지버섯과 녹각영지버섯은 histidine, aspartic acid, glutamic acid, leucine 순으로 많았다.

  • PDF

시판 중인 구강청결티슈의 세포 독성 관찰 (The Cytotoxic Effect of Oral Wet Wipes on Gingival Cells)

  • 정임희;박지현;이민경;황영선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76-84
    • /
    • 2018
  • 구강위생을 위한 간편성과 편리성 때문에 영유아에서 건강취약자 및 일반인에 이르기까지 구강청결티슈 사용이 증가되고 있다. 또한 기본 성분인 정제수 외에도 구강위생에 도움이 될 목적으로 다양한 기능 성분이 첨가된 구강청결티슈들이 시판되고 있다. 하지만 함유 성분에 대한 제공정보가 부족하고 함유량 기준이 마련되지 못하고 있어 구강 환경이 예민한 영유아 등에게 적용하기 위해서는 이들 제품에 대한 연구자료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구매도가 높은 시판 구강청결티슈 5종에 대한 구강세포 안전성을 확인함으로써 제품사용 시 유의해야 할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시험 결과 피셔프라이스와 닥터케네디 제품 성분은 구강미생물 S. mutans 및 A. actinomycetemcomitans에 대한 항균작용을 나타냈지만 구강상피세포 및 구강섬유세포에도 독성을 나타냈다. 항균작용이 제한적인 궁중비책, 마이비, 아이수 제품 성분은 구강상피세포 및 구강섬유세포에 대한 독성도 낮았다. 피셔프라이스와 닥터케네디 제품 성분에 의한 구강세포 독성은 G2/M phase에서 세포주기 진행 억제와 세포자멸 유도에 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구강 환경이 예민한 영유아 등을 대상으로 한 반복적이고 빈번한 사용은 구강세포 독성의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주요북방형 목초의 건물수량 , 화학성분 및 Net Energy 축적에 관한 연구 III. 예취관리에 화학성분의 계절적 변화 (Studies on Dry Matter Yield s, Chmical Composition And Net Energy Accumlation in Three Leading Temperate Grass Species III. Seasonal changes of chemical components under dfferent cutting managements)

  • 김정갑;양종성;한흥전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157-163
    • /
    • 1986
  • 본(本) 시험(試驗)은 주요북방형(主要北方形) 목초(牧草)에 있어서 기상환경(氣象環境) 및 예취관리(刈取管理)가 Weender 성분(成分)의 합성(合成) 및 축적(蓄積)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구명(究明)코자 $1975{\sim}'79$년간(年間) 한국(韓國)과 서독(西獨)에서 실시(實施)되었다. 공시재료(供試材料)는 orchardgrass(cv. Potomac, Baraula), perennial ryegrass (cv. Reveille, Semperweide) 및 meadow fescue (Cosmos 11, N.F.G.)등 3초종(草種) 6품종(品種)종을, 예취방법(刈取方法)은 방목기(放牧期)(년(年)6-7회(回)), silage기(期)(4-5회(回)) 및 건초기(乾草期)(3회(回))로 구분(區分) 분할구(分割區) 배치법(配置法) 4반복(反復)으로 실시(實施)하였는바 얻어진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목초(牧草)의 Weender 각(各) 성분함량(成分含量)은 기상요인(氣象要因) 중(中) 특(特)히 온도(溫度),강수량(降水量) 및 일조(日照)의 영향(影響)을 크게 받았다. 이상(以上)과 같은 원인(原因)으로 공시목초(供試牧草)의 조섬유(粗纖維) 및 세포막구성물질(細胞膜構成物質)(NDF) 함량(含量)은 봄철의 27.2% 및 42.9%에서 고온건조(高溫乾燥)한 여름철에는 각각(各各) 30.1%(조섬유(粗纖維)) 및 48.7%(NDF)로 증가(增加)된 반면(反面) TNC함량(含量)은 4.01%(봄)에서 1.52%(여름)으로 감소(減少)되었다. 그러나 서독지방(西獨地方)의 경우 Weender 성분(成分)의 합성(合成) 및 축적(蓄積)은 계절간(季節間)에 큰 차익(差異)가 없었다. 2. Orchardgrass 는 perennial ryegrass 및 meadow fescue에 비해 조섬유(粗纖維) 및 NDF 함량(含量)이 높은 반면(反面) 가용무질소물(可溶無窒素物) 및 TNC 축적(蓄積)이 낮아 energy 가치(價値)가 감소(減少)되었다. 지역별(地域別) orchardgrass의 net energy함량(含量)은 Suweon 524 StE, Cheju 431 StE 및 Freising 575 StE로 perennial ryegrass 의 624 (Suweon), 491(Cheju) 및 657(StE(Freising)보다 현저(顯著)히 낮았다. 3. Weender 성분(成分)의 합성(合成) 및 축적(蓄積)은 목초(牧草)의 생육단계(生育段階)에 따라 큰 차이(差異)가 있었다. 공시초총(供試草種)의 평균(平均) 조섬유(粗纖維) 및 NDF함량(含量)은 방목기(放牧期)의 23.9% 및 37.8%에서 건초기(乾草期)에는 각각(各各) 30.3% 및 49.1%로 증가(增加)된데 반(反)해 가용무질소물(可溶無窒素物) 및 TNC함량(含量)은 식물생육(植物生育)이 진행(進行)됨에 따라 감소(減少)하는 결과(結果)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