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설치 위치

Search Result 3,140,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Reactive power compensation using OPF for various load conditions (각 부하 수준에서 최적조류계산을 활용한 조상설비 설치 위치 및 용량 산정 방안)

  • Cho, Hwan-Hee;Bae, Moon-Sung;Jeong, Jin-Woo;Lee, Byong-Ju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15.07a
    • /
    • pp.195-196
    • /
    • 2015
  • 최근 계절별, 시간대별 전력 수요 패턴의 변화로 계통의 전압 수준을 일정 수준으로 관리하는 것이 어려워지고 있다. 계통 전압이 높으면 작게는 설비 상의 문제부터 크게는 계통 안정도의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따라서 전압 유지 및 계통 안정도 향상을 위해서 적정한 위치에 조상설비 투입을 고려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준 전압을 초과하는 모선의 전압을 낮추기 위해 최적의 조상설비 설치 위치 및 용량 산정 방법을 제시한다. 제안된 방법은 2014년 시간대별 데이터를 대상으로 최적조류계산을 수행하여 리액터 용량을 계산하고 경부하시 리액터 투입하는 것이다. 제안된 최적조류계산을 활용한 리액터 설치 지점 및 용량 선정 방안을 검증하기 위하여 국내계통에 대한 시뮬레이션이 수행되었다.

  • PDF

A Study on the Adequacy of the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Air Supply Damper of the Attached Actual Smoke Facility (부속실제연설비 급기댐퍼의 설치위치 적정성 연구)

  • Yang, Sung-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10a
    • /
    • pp.193-194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특별피난계단의 전실에 설치되는 부속실제연설비가 화재 시 발생한 연기가 부속실 내로 역류하지 않는 급기댐퍼의 적정한 설치위치를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FDS(Fire Dynamics Simulator)을 사용 하였다. 시뮬레이션 Case 총 15가지로 구분하고, 방연풍속은 총 64개의 지점에서 측정하는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 출입문 상부 및 하부에서 역 기류가 발행하는 Case가 있었으며, 대부분 출입문 하부에서의 연기 유입이 예상되는 경우가 많았다. 방연풍속은 측정 포인트 64점에서 관련기준에 단 한 곳도 미달하지 않고 만족하는 경우는 총 단 4가지 Case로서 매우 제한적인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만큼 급기댐퍼의 위치 및 급기방향에 따라 부속실 제연설비의 성능이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이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앞으로 실물실험을 통하여 구체적인 자료가 입증되길 바라고, 더불어 부속실 제연설비의 성능을 개선하는 데 있어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 PDF

인공어초가 설치된 지역의 해저지형 측정

  • 신현옥;김승철;김호상;김창길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1.05a
    • /
    • pp.35-36
    • /
    • 2001
  • 본 연구는 해저지형 측정시스템을 이용하여 인공어초가 설치된 통영항 근처의 해저지형을 측정하였다. 인공어초는 해저의 지형 및 저질을 파악한 후 적정위치에 설치되어져야 한다. 본 조사에서는 이미 인공어초가 설치되어진 지역의 해저지형을 조사하여 인공어초가 측정되어진 해저지형에 대해 어떠한 형태로 설치되어져 있는지 조사하였다. 향후 인공어초 설치 시 적정지점을 정하는데 주요한 초기 기초 조사 방법으로써 본 해저지형시스템 사용의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중략)

  • PDF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Proper Location for Subway Transit Station Sign Type - Focusing on the Cases of L Type - (지하철 환승역 안내표지 유형별 적정 위치 개선방안 연구 -L자형 지하철역 사례 중심으로-)

  • Kim, Hwang Bae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7 no.5
    • /
    • pp.915-926
    • /
    • 2017
  • The subway is the transportation means most commonly used by the citizens of the metropolitan area along with the buses in the metropolitan area and major metropolitan municipalities. However, satisfaction with the signboards is low and the signboards need to be improved.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problem of guide signs of city hall and exchange area with L - shaped history structure for guide signs affecting route finding. As a result, it is necessary to confirm whether the moving distance is long and moving accurately to the desired destination due to the L - shaped historical structure in both the station and the alternate area. In both stations, the number of the guide signs, Problems such as installation position, height, other. In this study, the movement within the subway station i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space. The type of guide sign installation was defined, and the specific principles for guiding the movement route were proposed. This research is expected to be useful as an important basic data for the types and layout of subway stations.

A Implementation Techniques of Practical Indoor Localization System based on Wireless LAN (Wireless LAN기반의 실용적 실내위치측정시스템구축기법)

  • Shin, Yong-Woo;Park, Jae-Won;Choi, Jae-Hyun;Lee, Nam-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0.04a
    • /
    • pp.981-984
    • /
    • 2010
  • 최근 유비쿼터스 사회로 진화해 가면서 위치정보의 중요성이 높아짐에 따라 실외를 대상으로 하는 서비스 뿐 아니라 실내를 중심으로 하는 위치기반서비스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실내에서 사용자나 사물의 위치를 정확히 파악하기 위한 기술이 요구됨에 따라 다양한 측정수단과 방식으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특히, 실내에 설치된 AP를 활용하는 것이 가능하여 무선 랜 환경을 이용한 연구가 주로 진행되고 있지만, 기존의 연구는 주로 정해진 환경이나 전용AP를 활용하고 있어 위치측정 장소의 변경 등 환경적 요인이 변경되면 시스템을 재구축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하고, 기존의 AP를 활용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존재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특정한 위치측정 장소에 의존하지 않고 이미 실내에 설치된 AP를 활용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효과적으로 측정하고 모니터링하기 위한 실내위치측정시스템의 구축절차, 고려해야할 사항 및 위치측정방법에 관하여 연구를 진행한다. 본 연구결과를 활용할 경우, 무선 랜 환경을 효과적으로 활용한 실내위치측정시스템의 구축이 용이할 것으로 기대된다.

Location Sensing System for Location based Services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을 위한 위치인식 시스템 연구)

  • Seo, Seung-Ho;Lee, Keung-Hae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5.07a
    • /
    • pp.475-477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을 위한 위치 인식 시스템에 대해서 제안한다. 많은 연구에서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하는 기법과 정확도 향상을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만 특정 환경이나 시나리오에 초점을 맞추어서 다양한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기에는 충분하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위치 기반 서비스들이 필요로 하는 위치정보를 구분하고 IrDA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하는 방법을 소개하고 위치 인식 시스템의 설치 및 관리에 필요한 기능에 대하여 논한다.

  • PDF

Analysis of Indoor Air-flow with Air Cleaners (공기청정기에 의한 실내기류 해석)

  • Kim, Young-Saeng;Mo, Jin-Yong;Lee, Jae-Kwon;Han, Jae-Oh
    • Proceedings of the SAREK Conference
    • /
    • 2005.11a
    • /
    • pp.57-62
    • /
    • 2005
  • 본 연구는 공기청정기의 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서 홉입구, 배기구의 위치 및 형상, 그리고 실내 공간상 배치 등에 대해 수치해석에 의한 모사를 통하여 평가하였다. 해석방법으로는 먼저 유동장을 해석한 후 고정된 유동장 내에서의 먼지 입자의 거동을 검토하였다. 배기구 위치에 의한 성능해석 결과는 배기구를 상면에 위치하게 할 경우 양 측면에 위치한 구조보다 우수한 성능을 나타내었으며, 설치위치에 대한 성능해석 결과는 제한적이나 현관 옆에 설치할 경우 해석된 두 가지 모델 모두 우수한 성능을 나타내었다.

  • PDF

KSRBL 데이터 위치감지 분석

  • HwangBo, Jeong-Eun;Park, Seong-Hong;Bong, Su-Chan;Lee, Dae-Yeong;Park, Yeong-Deuk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37 no.2
    • /
    • pp.131.2-131.2
    • /
    • 2012
  • 태양전파폭발위치감지기(KSRBL)는 단일 안테나 전파분광기로써 미 뉴저지공과대학과의 협력으로 2009년 8월에 한국천문연구원에 개발 설치되었다. 1 MHz 스펙트럼 분해능과 1초의 시간 분해능을 가지고 있고 관측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은 245, 410 MHz 와 0.5-18 GHz에 이르는 광대역이다. 또한 태양 전면 태양 폭발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전파 관측은 LabVIEW와 IDL 프로그램에 의해 미리 짜여진 관측 스케줄에 따라 매일 자동으로 진행된다. 데이터 분석을 위해 필요한 플럭스, 안테나, 전파 이득에 대한 눈금조정 작업을 위한 소프트웨어를 개발하였다. 2009년 설치이후 지금까지 12개의 이벤트를 관측하였고 그 중 5개의 이벤트를 가지고 관측된 스펙트럼의 모듈레이션 패턴을 분석하여 태양면상에서 전파 폭발의 위치 값을 구했다. Solar Dynamics Observatory(SDO) AIA 이미지와 비교해 KSRBL의 위치감지 성능을 분석하였다.

  • PDF

Performance Evaluation of Vibration Control of Adjacent Buildings According to Installation Location of MR damper (인접건축물의 진동제어를 위한 MR감쇠기의 위치 선정에 관한 연구)

  • Kim, Gee-Cheol;Kang, Joo-Wo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teel Construction
    • /
    • v.24 no.1
    • /
    • pp.91-99
    • /
    • 2012
  • In recently, the vibration control of adjacent buildings have been studied and magneto-rheological(MR) fluid dampers have been applied to seismic response control. MR dampers can be controlled with small power supplies and the dynamic range of this damping force is quite large. This MR damper is one of semi-active dampers as a new class of smart dampers. In this study, vibration control effect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MR damper connected adjacent buildings has been investigated. Adjacent building structures with different natural frequencies were used as example structures. Groundhook control model is applied to determinate control force of MR damper. In this numerical analysis, it has been shown that displacement responses can be effectively controlled as adjacent buildings are connected at roof floors by MR damper. And acceleration responses can be effectively reduced when two buildings are connected at the mid-stories of adjacent buildings by MR damper. Therefore, the installation floor of the MR damper should be selected with seismic response control target.

Vehicular Impact Model and Installation Locations for a High Performance Median (중앙분리대 사고자료 분석을 통한 설계 하중모델 개발 및 고성능 중앙분리대 설치 위치 선정)

  • Jeong, Yoseok;Lee, Ilkeun;Lee, Jaeha;Kim, WooSeok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 /
    • v.23 no.1
    • /
    • pp.63-70
    • /
    • 2019
  • The number of vehicle-to-barrier collisions has increased due to improved driving environments. In addition, it is reported that the number of accidents led to impact severity larger than current capacity of a median barrier has increased. It is required to develop a high performance median barrier in order to secure expressway safety. This paper aims at proposing impact loading model and locations for a high performance median barrier based on analysis of median-barrier-related accident history. The SB6 test level (Impact severity: 420 kJ, Mass: 25 ton, Impact speed: 80 km/h, Impact angle: $15^{\circ}$) was suggested for target impact severity based on statistical data analysis. The suitable locations also were proposed from investigation of driver behaviors for installation and rehabilitation of high performance median barri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