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선형회귀 분석

Search Result 1,457,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Predicting claim size in the auto insurance with relative error: a panel data approach (상대오차예측을 이용한 자동차 보험의 손해액 예측: 패널자료를 이용한 연구)

  • Park, Heungsun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 /
    • v.34 no.5
    • /
    • pp.697-710
    • /
    • 2021
  • Relative error prediction is preferred over ordinary prediction methods when relative/percentile errors are regarded as important, especially in econometrics, software engineering and government official statistics. The relative error prediction techniques have been developed in linear/nonlinear regression, nonparametric regression using kernel regression smoother, and stationary time series models. However, random effect models have not been used in relative error prediction.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tend relative error prediction to some of generalized linear mixed model (GLMM) with panel data, which is the random effect models based on gamma, lognormal, or inverse gaussian distribution. For better understanding, the real auto insurance data is used to predict the claim size, and the best predictor and the best relative error predictor are comparatively illustrated.

Fitting Distribution of Accident Frequency of Freeway Horizontal Curve Sections & Development of Negative Binomial Regression Models (고속도로 평면선형상 사고빈도분포 추정을 통한 음이항회귀모형 개발 (기하구조요인을 중심으로))

  • 강민욱;도철웅;손봉수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0 no.7
    • /
    • pp.197-204
    • /
    • 2002
  • 교통사고예측 및 예방을 위해서는 실제적으로 도로설계과정에서 제어가 가능한 도로 기하구조요소에 대한 사고관계를 파악함이 타당하다. 즉, 도로의 설계자는 도로건설에 앞서 기하구조요소와 사고와의 관계를 현장자료를 통해 정확히 밝혀 도로설계에 반영해야 한다. 이를 위해, 교통사고의 빈도분포를 박히는 것은 가장 기본이 되는 일이며, 교통사고 예측모형개발에 선행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교통사고건수의 경우 분산이 평균보다 큰 과분산(overdispersion)의 특징을 가지고 있어 음이항 분포를 따른다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사고모형의 개발에 앞서, 사고발생지점에 대한 도로설계요소와 기타 잠재적인 사고발생 관련요인이 비교적 잘 파악되어있는 호남고속도로를 중심으로 평면 선형상 곡선부에 대하여 교통사고의 분포를 적합도 검정을 통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사고자료는 한국도로송사의 호남고속도로 5년(1996∼2000)간 자료를 분석에 맞게 정리하였으며, 강민욱과 송봉수(2002)에서 제시한 평면선형에 있어서의 구간분할법을 이용하여 배향곡선구간과 단일곡선구간에 대한 사고분석을 하였다. 적합도 분석결과, 예상대로 음이항분포가 사고건수를 설명하기에 가장 적합한 확률분포로 제시되었으며, 이를 통해 최우추정법을 이용한 음이항회귀모형을 개발하였다. 구간분할법을 적용한 음이항회귀모형의 경우, 기존의 확률회귀토형에 비하여 높은 결정계수를 갖았으며, 모형에서 적용된 기하구조요소로는 차량 노출계수, 곡선반경, 단위거리 당 편경사변화값 등이다.

Prediction of the Water Level of the Tidal River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s and Stationary Wavelets Transform (인공신경망과 정상 웨이블렛 변환을 활용한 감조하천 수위 예측)

  • Lee, Jeongha;Hwang, Seok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357-357
    • /
    • 2021
  • 홍수로 인한 침수피해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해 정확한 하천의 수위 예측과 리드타임 확보가 매우 중요하다. 특히 조석현상의 영향을 받는 감조하천의 경우 기존의 물리적 수문모형의 적용이 제한되어 하천수위 예측의 정확도가 떨어지기도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감조하천 수위 예측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조석현상을 분리하고 인공신경망을 활용하는 하이브리드 모델을 제안 하였으며 다중 선형회귀분석과 비교 분석하였다. 감조하천에 위치한 교량의 수위데이터에서 Stationary Wavelet Transform으로 조석현상을 분리하였으며, 이외의 수위에 영향을 주는 time series data와 인공신경망(ANN)을 활용하여 1시간, 2시간, 3시간 후의 수위를 예측하였다. 하이브리드 모델은 96% 이상의 정확도를 보였으며 다중 선형회귀 분석과 비교하여도 높은 정확성을 보여주었다.

  • PDF

The study On Linear Regression Model At One Component Input System) (성분입력계의 선형회귀모델에 관한 연구)

  • 김치홍;주영수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1990.07a
    • /
    • pp.167-174
    • /
    • 1990
  • 일종의 Autoregression Model에 강우와 유량의 입력에 의하여 일유입량의 예측을 행한 것으로 댐 지점의 일유입량과 우량시계열을 회귀분석하여 댐 유역의 하천유량을 예측 할 수 있는 수학적 모형을 수립하고 통계적 분석을 행 하고자 한다.

  • PDF

통계적 분류방법을 이용한 문화재 정보 분석

  • Kang, Min-Gu;Sung, Su-Jin;Lee, Jin-Young;Na, Jong-Hwa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Industrial Systems Conference
    • /
    • 2009.05a
    • /
    • pp.120-125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통계적 분류방법을 이용하여 문화재 자료의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류방법으로는 선형판별분석, 로지스틱회귀분석, 의사결정나무분석, 신경망분석, SVM분석을 사용하였다. 각각의 분류방법에 대한 개념 및 이론에 대해 간략히 소개하고, 실제자료 분석에서는 "지역별 문화재 통계분석 및 모형개발 연구 1차(2008)"에 사용된 자료 중 익산시 자료를 근거로 매장문화재에 대한 분류방법별 적합모형을 구축하였다. 구축된 모형과 모의실험의 결과를 통해 각각의 적합모형에 대한 비교를 수행하여 모형의 성능을 비교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도구로는 최근 가장 관심을 갖는 R-project를 사용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Estimation Possibility of Driver's Stress Degrees with the HRV Analysis (HRV를 통한 운전자 스트레스 정도 추정 가능성 연구)

  • Lee, Jeon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13 no.1
    • /
    • pp.61-68
    • /
    • 2010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estimation possibility of driver's stress degrees with the HRV analysis. For this, first, HRV analysis was applied to the 5 driver's ECG signals which were acquired in 7 different stress situations. From this, the facts that HRV trend was different from that in long-distance driving and 6 parameters - meanRR, sdRR, HF, LF/HF, LFnorm, HFnorm were useful for the stress estimation in stress varying driving situation. Next, we designed 5 personalized linear regression models in which 6 HRV parameters were input and the outcomes were 7 different stress degrees. Finally, we tested each model for 5min-long 16 segments individually. Consequently, the models could not hit the stress degrees exactly in some segments but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original stress pattern and estimated stress pattern during entire driving showed reasonably high.

  • PDF

Rational Estimation of Dam Low-flow Frequency Inflow (가뭄대응력 평가를 위한 합리적 댐 유입량 산정 연구)

  • Kim, Ji-Heun;Lee, Jae-Hwang;Kim, Yeong-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178-178
    • /
    • 2021
  • 최근 들어 기후변화로 인한 극심한 가뭄 피해가 한반도에 발생하고 있다. 가뭄 상황에 대비하여 댐을 안정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갈수빈도 유입량에 대한 분석이 필수적이다. 갈수빈도해석의 경우, 홍수빈도해석과 유사하게 확률밀도함수의 극값에 대한 확률값을 산정하며, 확률 분포형의 역함수에 비초과확률을 대입하여 산정한다. 그러나 홍수와 달리 가뭄은 지속기간이 긴 특성 탓에 자기상관을 고려해야하며, 댐 및 저수지 등 대규모 시설물의 경우 일반적인 하천과 달리 저류효과로 인해 누적 유량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이에 K-water는 자체 제작한 누가차분법 및 Disaggregation 두 가지 방법을 채택하여 실무에서 사용해왔다. 그러나 누가차분법을 사용할 경우, 빈도유입량이 지나치게 크게 산정되는 문제가 있으며, Disaggregation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 특정 빈도 이상의 극한가뭄에서 유입량의 차이가 유의미하지 않아 산정된 빈도유입량과 최근 발생한 극심한 가뭄의 실측유입량간 큰 차이가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자기상관을 고려한 선형회귀모형에 근거하여 빈도유입량을 배분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앞서 서술한 네 가지 빈도유입량 방법(월빈도분석, 누가차분법, K-water Disaggregation, 자기상관 선형회귀모형)에 대한 수식적 비교를 수행하며, 국내 댐 유역에 적용 및 평가를 통해 자료 특성에 따른 적절한 빈도유입량 산정방식에 대한 기준을 제안한다. 본 연구를 통해 가뭄특성을 고려한 합리적인 댐 유입량을 산정함으로써 보다 유연한 수자원시설물의 가뭄대응이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 PDF

Proposal of Models to Estimate the Coefficient of Permeability of Soils on the Natural Terrain considering Geological Conditions (지질조건에 따른 자연사면 토층의 투수계수 산정모델 제안)

  • Jun, Duk-Chan;Song, Young-Suk;Han, Shin-In
    •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 /
    • v.20 no.1
    • /
    • pp.35-45
    • /
    • 2010
  • The soil tests have been performed on the specimens obtained from about 1,150 sites including landslides and non-landslides areas in natural terrains for last 10 years. Based on the results of those tests, the average soil properties are estimated and the simple equations for estimating permeability are proposed according to geologic conditions. The average permeability in Granite and Mudstone sites is higher than other sites and the content of silt and clay in Mudstone and Gneiss sites is higher than other sites. The correlation analysis and th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o estimate the coefficient of permeability according to geological conditions. As the result of the correlation analysis, the coefficient of permeability is selected as a dependent variable, and the silt and clay contents, the water contents and the dry unit weights are selected as independent variables. As the result of the regression analysis, the silt and clay contents and the void ratio were involved commonly in the linear regression equations according to geological conditions. To verify the proposed the linear regression equations, the measured result of the coefficient of permeability at other sites was compared with the result predicted with the proposed equations. As the result of comparison, there were a little bit different between them for some data. However the difference was relatively small. Therefore, the linear regression equations for estimating the coefficient of permeability according to geological conditions may be applied to Korean soils. However, these equations should be verified and corrected continuously to improve the accuracy.

Linear Regression-based 1D Invariant Image for Shadow Detection and Removal in Single Natural Image (단일 자연 영상에서 그림자 검출 및 제거를 위한 선형 회귀 기반의 1D 불변 영상)

  • Park, Ki-Hong
    •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 /
    • v.19 no.9
    • /
    • pp.1787-1793
    • /
    • 2018
  • Shadow is a common phenomenon observed in natural scenes, but it has a negative influence on image analysis such as object recognition, feature detection and scene analysis. Therefore, the process of detecting and removing shadows included in digital images must be considered as a pre-processing process of image analysis. In this paper, the existing methods for acquiring 1D invariant images, one of the feature elements for detecting and removing shadows contained in a single natural image, are described, and a method for obtaining 1D invariant images based on linear regression has been proposed. The proposed method calculates the log of the band-ratio between each channel of the RGB color image, and obtains the grayscale image line by linear regression. The final 1D invariant images were obtained by projecting the log image of the band-ratio onto the estimated grayscale image lin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method has lower computational complexity than the existing projection method using entropy minimization, and shadow detection and removal based on 1D invariant images are performed effective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