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선행 지표

Search Result 656,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우리 나라 주식시장에서 투자지표로서 경제적 부가가치(EVA)의 유용성에 관한 연구

  • Gu, Maeng-Hoi;Kim, Byeong-Gon
    • 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Studies
    • /
    • v.4 no.1
    • /
    • pp.1-38
    • /
    • 1998
  • 미국의 증권시장에서는 EVA가 주요한 주자지표로 주목을 받고 있다. 그동안 주요 투자지표로 사용되던 EPS, ROA, ROE, PER 등의 회계적 이익지표들에 비해 EVA의 활용도가 점차 높아지고 있다. 우리 나라에서도 투자지표로서, 경영관리지표로서의 활용 가능성에 대해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 나라 주식시장에서 EVA가 유용한 투자지표로 활용될 수 있는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1991년부터 1995년의 분석기간에 걸쳐 첫째, 주당EVA가 회계적 이익지표보다 주식수익률을 더 잘 설명하는가, 둘째, 주당EVA가 높은 기업이 더 높은 초과수익률을 실현하는가, 셋째, 주당EVA는 개별 종목 초과수익률의 선행지표로 활용될 수 있는가를 EPS, ROA, ROE, PER 등의 회계적 이익지표와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우리 나라 주식시장에서 주식수익률은 주당EVA보다 회계적 이익지표인 EPS, ROA, ROE가 더 잘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EPS, ROA, ROE를 기준으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는 경우 유의적인 초과수익률을 획득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주방EVA를 기준으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는 경우에는 3월 이후에 포트폴리오간 유의적인 초과수익률 차이가 발생하여 초과수익률 획득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주당EVA, EPS, ROA 등은 초과수익률에 대해 동행적 투자지표로 유용하고, ROE는 동행적 지표와 선행적 지표로 모두 유용하고, PER는 선행지표로 유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분석결과는 우리 나라 주식시장에서 EVA는 회계적 이익지표인 EPS, ROA, ROE, PER보다 더 우월한 투자지표라고 말하기는 어렵지만, 회계적 이익지표와 보완적으로 활용하는 경우에는 유용한 투자지표로 활용될 수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 PDF

A study on composite precedence indices focusing on Jeju (제주지역 경기선행종합지수에 관한 연구)

  • Kim, Kye Chul;Kim, Myung Joon;Kim, Yeong-Hwa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 /
    • v.29 no.1
    • /
    • pp.243-255
    • /
    • 2016
  • The developed composite index has limits to estimate and predict economic status due to economic pattern change and the response change of explanatory variables. A higher precedence individual indicators should be selected to predict the future accurately. In this study, effectiveness of Jeju Island precedence indicators consists of constituents in the area, the consumer price index, services production index, mining and manufacturing production index. The average temperature of Seogwipo and credit card purchase amount is reviewed as an economic turning point consideration and time lag correlation analysis with real data. In addition, we suggest the proper reference cycle in Jeju composite precedence index and evaluate the configuration in leading indicators for Jeju by comparing national economic indicators. Based on the derived results, the current problems of Jeju Island precedence indicators will be illustrated and the improvement methods to estimate a regional composite index will be suggested.

Development of evaluation indicators for each stage of mega drought spread (메가가뭄 확산단계별 평가지표 개발)

  • Lee, Sangmin;Shin, Yonghyeon;Yang, Dongm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353-353
    • /
    • 2021
  • 메가가뭄으로 인한 적응전략 수립은 국민의 물 안보 및 수자원 재해에 대한 안전 증대에 매우 중요한 핵심기술임에도 불구하고 메가가뭄의 정량적인 평가지표는 개발 중인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메가가뭄 분석 및 영향평가 관련 선행연구사례를 분석하여 메가가뭄 확산 단계별 평가지표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메가가뭄을 평가하기 위해 선행연구에서는 이상 강수량과 이상기온을 함께 고려하는 방법을 지속적으로 제안해 왔다. 이상 강수량은 기상학적 가뭄과 토양수분의 저하, 수문학적 가뭄, 사회경제적 영향에 이르기까지 가뭄을 평가할 수 있는 지표로써 활용할 수 있으며, 이상 기온은 폭염 등 기온 상승으로 인한 증발산량의 증가로 토양수분 저하와 저수량 감소 등의 영향을 평가할 수 있는 지표이다. 본 연구에서는 메가가뭄의 확산을 4단계로 구분하고 확산단계별 평가지표를 개발하였다. 또한 가뭄유형을 기상, 농업, 수문, 사회경제적 가뭄으로 구분하여 메가가뭄의 발생 단계와 그에 따른 가뭄의 확산 분야별 영향 분석을 수행하도록 제시하였다. 가뭄단계는 메가가뭄의 징후기, 진입기, 확산기, 지속적인 메가가뭄으로 인한 국가적 위기 4단계로 구분하였다. 메가가뭄은 1년 주기의 분석이 아닌 Carry over되는 연속적인 사상임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메가가뭄의 단계를 각각 2년, 3년, 4년 연속적으로 지속하였을 때로 구분하였으며, 이에 따른 기상, 농업, 수문, 사회경제적 평가지표를 제시하였다. 기상학적 메가가뭄 평가지표는 누적강수량을 이용한 강수량 부족으로 인한 가뭄, 이상기온(폭염)으로 인한 폭염으로 구분하였다. 농업적 메가가뭄 평가지표는 농업용수를 공급하는 농업용 저수지와 밭작물 생육에 영향을 미치는 토양수분에 관련한 평가항목을 이용하였으며, 수문학적 메가가뭄 평가지표는 다목적댐의 저수율과 하천 갈수량을 이용한 하천건천화 지수를 이용한 평가지표를 제시하였다. 사회경제적 메가가뭄 평가지표는 국민이 실제로 체감할 수 있는 지표로써 농작물 가격과 생·공용수의 제한급수 발생 현황을 이용한 평가가 가능하도록 제시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Indicators for Evaluating the Web Credibility by Goodness-of-fit Analysis (지표 적합도 분석을 통한 웹 사이트 신뢰성 평가 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 Kim, Young-Ke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 /
    • v.25 no.4
    • /
    • pp.185-204
    • /
    • 2008
  • The Internet is now an integral part of the everyday lives of a majority of people. Web users are demanding web sites that offer credible information. This study tired to comprehensively extract the factors that affect the perception web credibility based on preceding researches and develop of indicators for evaluating the web credibility by goodness-fit analysis. I modified more than 100 factors which presented by preceding researches to 28 factors, and allocated these factors into the hierarchical categories like followings; trustworthiness, expertness, safety are categorized as first level factors, trustfulness and reputation are placed to sub-factors of trustworthiness, usefulness, timeliness and competency to sub-factors of expertness, security and reliability to sub-factors of safety as second level factors. Finally this study developed evaluating indicators for web credibility by goodness-of fit analysis.

Speech Recognition Accuracy Measure using Deep Neural Network for Effective Evaluation of Speech Recognition Performance (효과적인 음성 인식 평가를 위한 심층 신경망 기반의 음성 인식 성능 지표)

  • Ji, Seung-eun;Kim, Wooil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21 no.12
    • /
    • pp.2291-2297
    • /
    • 2017
  • This paper describe to extract speech measure algorithm for evaluating a speech database, and presents generating method of a speech quality measure using DNN(Deep Neural Network). In our previous study, to produce an effective speech quality measure, we propose a combination of various speech measures which are highly correlated with WER(Word Error Rate). The new combination of various types of speech quality measures in this study is more effective to predict the speech recognition performance compared to each speech measure alone. In this paper, we describe the method of extracting measure using DNN, and we change one of the combined measure from GMM(Gaussican Mixture Model) score used in the previous study to DNN score. The combination with DNN score shows a higher correlation with WER compared to the combination with GMM score.

A New Speech Quality Measure for Speech Database Verification System (음성 인식용 데이터베이스 검증시스템을 위한 새로운 음성 인식 성능 지표)

  • Ji, Seung-eun;Kim, Wooil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20 no.3
    • /
    • pp.464-470
    • /
    • 2016
  • This paper presents a speech recognition database verification system using speech measures, and describes a speech measure extraction algorithm which is applied to this system. In our previous study, to produce an effective speech quality measure for the system, we propose a combination of various speech measures which are highly correlated with WER (Word Error Rate). The new combination of various types of speech quality measures in this study is more effective to predict the speech recognition performance compared to each speech measure alone. In this paper, we increase the system independency by employing GMM acoustic score instead of HMM score which is obtained by a secondary speech recognition system. The combination with GMM score shows a slightly lower correlation with WER compared to the combination with HMM score, however it presents a higher relative improvement in correlation with WER, which is calculated compared to the correlation of each speech measure alone.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ESG Management Evaluation Index for Library (도서관 ESG 경영평가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 Younghee Noh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57 no.1
    • /
    • pp.309-338
    • /
    • 2023
  • As awareness of social and environmental issues increases due to the gust of ESG management, interest in ESG management is increasing, and the influence of ESG evaluation is getting stronger, and libraries need to participate in ESG management evaluation. In order to apply ESG management to libraries, library ESG evaluation indicators must be developed.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comprehensively examine ESG management evaluation indicators of public institutions, including companies, and propose ESG management evaluation indicators applicable to libraries. To this end, it went through the process of investigating and analyzing ESG-related prior research, deriving preliminary evaluation indicators for libraries, collecting expert FGI opinions, developing primary library ESG evaluation indicators based on expert FGI opinions, and) examining the suitability of primary library ESG evaluation indicators. Finally, a total of 25 items were selected in the environmental area, a total of 56 items in the social area, and a total of 32 items in the governance area. In future studies, it is necessary to conduct ESG management evaluation for libraries based on this indicator.

신기술 사업화를 위한 기술평가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기술성 및 사업성을 중심으로)

  • Park, Jin-Seop;Choe, Jong-Hwa;Im, Chun-Seong
    • Proceedings of the Technology Innovation Conference
    • /
    • 2009.02a
    • /
    • pp.649-662
    • /
    • 2009
  • 일반적으로 기술평가는 무형의 기술을 대상으로 그 기술의 기술성, 사업성, 시장성을 검토하여 기술을 금액, 등급, 점수, 의견 등으로 표시하는 평가활동으로 정의할 수 있으며(Cordon, 1994), 평가목적에 따라 다양한 기술평가유형이 존재한다. 최근 기술의 사업화가 선진경제구현의 핵심 매커니즘으로 부상함(박종복, 2008)에 따라 성공적인 신기술 사업화의 선행절차로서 기술평가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신기술의 사업화 관련 선행연구 및 그것을 추진하는 기관들은 기술의 기술성과 사업성을 중심으로 신기술을 평가하고 있다. 하지만, 현재까지의 신기술 사업화 목적의 기술평가와 관련한 선행연구는 기술성과 사업성의 균형 있게 평가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신기술의 평가를 위해 기술의 기술성과 사업성을 동시에 고려할 수 있는 기술평가지표를 개발하였다.

  • PDF

스마트워크 수준 측정 프레임워크에 관한 연구

  • Lee, Jeong-U;Lee, Hye-Jeong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29 no.12
    • /
    • pp.31-38
    • /
    • 2012
  • ICT의 발달과 더불어 근로의 본질이 지식근로로 바뀌어 가고 있고, 따라서 시간과 장소에 구속되지 않고 좀더 자유롭게 ICT를 활용하여 업무를 수행하는 스마트워크가 확산되고 있다. 미래형 근로의 형태를 수용하고자 하는 스마트워크는 근무패러다임의 변화라서 정책적으로도 많은 변화가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정책들의 근간 자료이자 현황과 변화의 추세를 파악하여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스마트워크의 추진 정도, 또는 수준을 지속적으로 측정하는 지표 시스템이 필요하다. 이러한 측정 지표의 개발을 위해서는 복합적인 개념인 스마트워크를 좀더 정교하게 정의하고 이와 관련된 지표들을 총괄하는 프레임워크 도출이 선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에서 시행되고 있는 스마트워크 관련 조사들의 내용들과, 선행 학술 연구문헌들을 취합 분석하여 스마트워크의 개념을 정의하고 스마트워크의 수준을 측정하기 위한 기본 프레임워크를 제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