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선택연기

검색결과 52건 처리시간 0.028초

AI 챗봇과 상담원이 추천하는 제품에 대한 태도와 선택연기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I Chatbot and Service Agent on Attitude and Choice Deferral of Recommended Products)

  • 유건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3호
    • /
    • pp.297-307
    • /
    • 2022
  • 본 연구는 정보제공원(AI 챗봇 vs. 상담원)에 따라 추천하는 제품에 대한 태도와 선택연기에 미치는 영향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 이러한 차이가 발생하게 된 심리적 프로세스에 대해 정보신뢰와 불확실성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또한, AI 챗봇이 추천하는 제품에 대한 선택연기를 감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의인화의 역할과 사회적 실재감, 지각된 개인화의 순차적 매개효과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를 살펴보기 위해 3회의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1은 256명을 대상으로 시나리오 기법을 사용하여 여행상품 구매과정에서 정보제공원(AI 챗봇 vs. 상담원)에 따른 정보신뢰와 제품태도에 미치는 영향과 불확실성과 선택연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실험 2는 160명을 대상으로 AI 챗봇의 의인화 여부에 따른 사회적 실재감, 지각된 개인화, 선택연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비자는 AI 챗봇(vs. 상담원)이 추천하는 제품정보를 신뢰하여 더 긍정적인 제품태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소비자는 AI 챗봇(vs. 상담원)이 추천하는 제품을 구매할지 선택하는 상황에서 오히려 불확실성을 지각하여 선택연기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소비자는 의인화된 AI 챗봇(vs. 비의인화된 AI 챗봇)이 추천하는 제품에 대한 선택연기는 사회적 실재감과 지각된 개인화를 통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시사점과 향후 연구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조기 화재 경보 시스템을 위한 비디오 기반 연기 감지 방법 (A Smoke Detection Method based on Video for Early Fire-Alarming System)

  • 퉁트룽;김종면
    •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 /
    • 제18B권4호
    • /
    • pp.213-220
    • /
    • 2011
  • 본 논문은 조기 화재 경보 시스템에서 예측하지 못한 위험요소들의 이벤트에 즉각 응답하는 비디오 기반의 효과적인 4단계 연기 감지 방법을 제안한다. 첫 번째 단계에서는 근사 미디언(approximate median) 방법을 사용하여 비디오의 현재 프레임에서 움직이는 영역들을 분리한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연기의 칼라 기반 분리 기법을 사용하여 이러한 움직이는 영역들로부터 후보 연기 영역을 선택한다. 세 번째 단계에서는 특징추출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연기의 움직임이나 지역 불규칙성과 같은 후보 연기 영역들의 특징을 분석하여 연기의 다섯 가지 특징 파라미터를 추출한다. 네 번째 단계에서는 추출된 다섯 가지 특징 파라미터를 K-nearest neighbor (KNN) 알고리즘의 입력으로 사용하여 후보 연기 영역이 연기인지 아닌지를 구분한다. 모의실험 결과, 제안하는 4 단계 연기 감지 방법은 기존의 연기 감지 알고리즘들과 비교하여 연기감지의 정확도에서 우수한 성능을 보였고, 또한 오픈된 넓은 공간에서도 높은 신뢰성과 낮은 오류 경보율을 보였다.

매체연기를 위한 영상언어 연구 (Visual Language for the Media Acting)

  • 고현욱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2호
    • /
    • pp.154-162
    • /
    • 2012
  • 촬영 시 프레이밍 되는 사이즈에 따라 배우의 표정과 몸짓 등이 소극적으로 혹은 과장되어 보이며 조명의 방향성, 광량 그리고 광질의 선택에 의해 배우 캐릭터의 변화가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이유로 감독을 비롯한 매체영상을 담당하는 모든 이들은 카메라 앞의 배우들이 스크린에 어떻게 투영될지에 대해 많은 고민을 하게 된다. 본 논문은 이와 같은 영상매체의 기술적 설정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방법과 배우의 캐릭터 및 내면연기를 강조하고 설명할 수 있는 카메라 및 조명의 역할 등 을 체계적으로 제시함으로써 영상언어의 시각적 요소들이 매체연기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 할 것이다.

아메리칸 액팅 메소드에 기반한 메릴 스트립의 연기 분석 (Analysis on Acting of Meryl Streep Based on American Acting Method)

  • 조성희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4호
    • /
    • pp.47-55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헐리우드 영화배우 중 메소드 배우로 인정받고 있는 메릴 스트립(Meryl Streep)의 연기를 분석하여 아메리칸 액팅 메소드 중 메릴 스트립은 어떠한 방법을 통해 연기력을 향상시킬 수 있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아메리칸 액팅 메소드의 개념과 이론들에 대하여 알아보고 메릴 스트립의 연기를 "소피의 선택", "악마는 프라다를 입는다", "철의 여인"등 영화 3편을 통해 분석하였다. 영화와 인터뷰 등을 통한 분석에서 메릴 스트립은 "정서적 기억", "상상력", "주어진 상황", "반복" 등 아메리칸 액팅 메소드를 특별한 구분 없이 모두 활용한 것으로 보이며 특정 연기 이론에 치우치지 않고 자신에게 적합한 훈련을 수행한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분석에 따라 메릴 스트립이 영화에서 아메리칸 액팅 메소드를 어떻게 활용하였는지를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본 논문의 결과는 국내에서도 배우의 연기훈련에 적용하여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Poly(dimethylsiloxane)/Ceramic 복합막을 이용한 투과증발에서의 선택도에 대한 온도의 영향

  • 홍연기;홍원희
    • 한국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막학회 1997년도 추계 총회 및 학술발표회
    • /
    • pp.124-126
    • /
    • 1997
  • 1. 서론 : 투과증발이란 비다공성 고분자막을 이용하여 수착, 확산, 및 증발기구를 통해 액체혼합물을 분리하는 기술이다. 따라서 투과증발의 분리효율은 고분자막의 종류 및 형태의 다양성뿐만 아니라 여러 단계의 기구 특성에 의해 결정된다. 일반저긍로 투과증발막의 성능은 분리하고자 하는 물질에 대한 선택도와 투과도로서 나타날 수 있다. (중략) 본 연구에서는 Poly(dimethylsiloxane)과 세라믹 지지체의 복합막을 이용하여 IPA(Isopropanol)/물 계에서의 여러 조업변수에 따른 IPA의 분리특성을 연구하였다.

  • PDF

제품의 속성별 선호역전에 따른 소비자의 선택변화 영향 연구 : 의료서비스 상품과 일반 제조품 비교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nfluence of Consumer Choice on the Preference Reversals by Product Attribute : Focusing on Comparison of Medical Service Products and General Products)

  • 한용준;조성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8호
    • /
    • pp.122-132
    • /
    • 2019
  • 본 연구는 상품 특성 및 상황에 따른 선호역전 현상이 선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규명하여 소비자 의사결정 논리체계를 살펴보고, 선택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규명하여 효과적인 의사결정 및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인 소비자 선호역전과 선택변화 간의 영향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3가지의 연구문제를 설정하였으며, 범주형 종속변수를 고려하여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의료서비스 상품과 일반 제조품의 선호도 감소가 선택변화 및 선택연기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연구문제 1을 해결하였다. 그리고 의료서비스 상품에서 속성의 중요도에 따른 선택변화가 일반 제조품에 비해 더욱 민감하게 작용한 반면, 선호역전에 따른 선택변화가 일반 제조품에서 더욱 높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의 선호 및 선호역전 연구와는 다른 관점에서 소비자의 중심가치로서의 선호 개념을 조명하여 선택 간의 인과관계를 확인하였으며, 선호역전에 따른 선택변화 뿐만 아니라 선택연기와 같은 다른 대안까지 포함할 수 있음을 연구결과로 제시함에 따라 그에 따른 이론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 의의가 있다.

대학생의 졸업연기 유형과 취업성과 : 취업목적 휴학의 효과를 중심으로 (College Students' Delayed Graduation and Employment Achievement : Focusing on the Effects of Employment-Oriented Delay on the Employment Outcomes)

  • 변진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6호
    • /
    • pp.228-236
    • /
    • 2017
  • 본 논문은 대졸자의 취업성과에 있어 취업준비 목적의 자발적 졸업연기가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 연구 목적을 위해, 본 연구는 한국고용정보원의 '2015년 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2014GOMS)' 자료를 활용하여 취업준비 목적의 자발적 졸업연기가 정규학기 졸업과 비교해 취업여부와 첫 일자리 임금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로지스틱 회귀분석과 다중회귀분석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취업준비 목적의 자발적 졸업연기는 정규학기 졸업에 비해 취업확률에 유의미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취업준비 목적의 자발적 졸업연기는 정규학기 졸업에 비해 첫 일자리의 임금수준이 높을 가능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논의하고자 한다. 첫째, 기업은 투명한 채용기준을 제시하여 대학생들이 필요한 역량계발에 몰두할 수 있도록 돕고, 대학은 학생들이 재학 중 단기 일 경험을 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시하여야 하며, 정부는 이중노동시장 구조를 완화하고 불평등을 해소하여 청년층의 첫 일자리 선택에 대한 불안감을 줄일 수 있도록 제도와 정책을 보완해야 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인터넷 패션 소비자의 예상된 후회와 선택의 어려움이 구매결정연기 및 구매전환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Internet Fashion Consumer's Anticipated Regret and Selection Difficulty on Decision Making Delay and Purchase Switching Intention)

  • 이은진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526-539
    • /
    • 2013
  •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internet fashion consumer's anticipated regret and the selection difficulty on decision making delay and purchase switching intention. The survey was conducted in 2012 on internet fashion consumers in their 20s to 40s from May 1 to June 30; subsequently, 487 responses were used for the data analysis. The anticipated regret of internet fashion consumers was composed of product, service, social psychology, and function-related anticipated regret. The selection difficulty of internet fashion consumers was composed of process, information, and experience-related selection difficulty.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nticipated regret, selection difficulty, decision making delay, and purchase switching intention by gender. The anticipated regret (product, service, and social psychology-related anticipated regret) and selection difficulty effected decision making delay. In addition, the anticipated regret for product and selection difficulty by process or information influenced purchase switching inten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useful information on the success and efficient operation of internet shopping malls.

분전반 내부 전기화재 시뮬레이션 (A Simulation of Electric Fire in Power Panel)

  • 이상익;김기현;신성수;배석명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11년도 제42회 하계학술대회
    • /
    • pp.2150-2151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분전반 내에서 전기화재가 발생할 경우 화염전파와 연기화염의 전파 특성, 연기의 진행방향, CO가스농도의 위치, 내부 온도분포 등을 통해 전기화재의 사전예방과 화재대응 운영시스템 등에 활용하고자 수치해석 등의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 화재가 발생한 경우 온도보다 CO가스가 분전반 상부에 빠르게 전달됨을 확인하였고, 시뮬레이션 결과는 분전반 화재예방을 위한 센서의 선택과 설치위치 선정 등에 활용될 것이다.

  • PDF

패스트 패션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 의사결정 연기의 선행변수 (Antecedents of consumers' decision postponement on purchasing fast fashion brands)

  • 박혜정
    • 복식문화연구
    • /
    • 제22권5호
    • /
    • pp.743-759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antecedents of consumers' decision postponement on purchasing fast fashion brands. Ongoing search behavior, overchoice confusion, and similarity confusion were considered as antecedents. It was hypothesized that ongoing search behavior influences decision postponement both directly and indirectly through overchoice confusion and similarity confusion. Data were gathered by surveying university students in Seoul, using convenience sampling. Three hundred five questionnaires were used in the statistical analysis, which wer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using SPS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path analysis using AMOS. Factor analysis proved that ongoing search behavior, overchoice confusion, similarity confusion, and decision postponement were uni-dimensions. Tests of the hypothesized path proved that ongoing search behavior influences decision postponement indirectly through overchoice confusion. In addition, similarity confusion influences decision postponement. The results suggest some confusion reduction strategies for marketers of fast fashion brands.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are also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