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선천적 성대 격막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5초

후두 격막증의 치험 1례 (A Case of Anterior Glottic Web (Video))

  • 김기령;박인용;김광문;이원상;이경재;정태영;이명호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83년도 제17차 학술대회연제순서 및 초록
    • /
    • pp.8.1-8
    • /
    • 1983
  • 후두격막증은 이를 선천성 및 후천성 후두격막증으로 분류하며 선천성 후두격막증은 후두의 발생과정에서 특히 태아기 7 ∼ 8주경에 후두개와 양측 피열연골 융기가 서로 합쳐진 T형 초기성문 (primitive glottis)이 태아기 10 주경에 이루어져야 할 전후분리가 장해됨으로서 선천성 후두질환의 약 3 %에서 발생되며 그 중 약 75 %가 성문부에서 발생되고 나머지 약 25 %는 성문상부 및 성문하부에서 발생된다. 한편 후천성 후두격막증은 그의 대부분이 외상이나 수술후의 상흔 등에서 합병되며 선천성에 비해서 격막이 비교적 두껍고 섬유성인 경향을 보인다. 후두격막증의 증상은 그 격막의 상태에 따라서 일정하지 않으나 대체로 그 격막형성이 아주 작은 경우에는 특별한 증상이 없으나 격막이 큰 경우에는 사성이나 호흡곤란을 유발하게 된다. 본 증의 치료 원칙으로서는 격막을 절제한 후 특히 성문의 성대전연합 (Anterior Commissure)부위의 재유착을 예방하는 것인데 현재까지의 시술방법으로서는 1924년 Haslinger가 수술후의 성대전 연합 사이로 엷은 은편(silver plate)을 삽입시켰던 례와 1950년 McNaught가 갑상연골절개술로 탄타룸 편(tantalum keel)을 삽입시켰던 례가 있으며 이밖에도 테후론편 (teflon keel)등이 삽입되거나 점막이식술 등이 시도되어 왔다. 저자들은 최근에 23세 남자 환자로서 유·소아기에 수차의 후두유두종 수술후에 성대 전연합부에 발생한 격막증에 대하여 금편(gold keel)을 삽입하여 치험하였기에 이를 비데오로 소개하고자 한다.

  • PDF

후두격막의 새로운 치료법 (A New Surgical Technique of the Larygeal Web)

  • 안회영;여승근;박창식;이동엽;차창일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93년도 제27차 학술대회 초록집
    • /
    • pp.77-77
    • /
    • 1993
  • 후두격막은 여러가지 원인으로 생기나 선천성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비교적 두텁고 질긴 반흔 조직으로 그 상하면은 상피세포로 덮여 있다. 후두격막 치료의 궁극적 목표는 양측 성대의 전장이 상피 세포로 덮여져서 호흡 및 발성의 정상 기능을 찾게 하는 데 있다. 저자들은 최근 6예의 후두격막 환자에서 전신 경구삽관 마취하에 미세수술로 격막을 전후로 절개한 후 절개면의 상-하 상피층을 봉합하는 새로운 수술 방법을 고안하여 시도하였다. 보통의 후두미세술과 같이 익숙한 장비와 수술시야에서 격막 이외의 다른 부위에 손상을 주지 않고, 비교적 짧은 수술 시간 내에 한번의 수술로 별다른 합병증이 없고, 입원 시간도 짧은 등 장점이 있는 후두격막에 효과적인 치료법으로 생각되어 소개한다.

  • PDF

음성 장애를 주소로 내원한 선천성 성대 격막 2예 (Two Cases of Congenital Laryngeal Web Presenting in Complaint of Hoarseness)

  • 문명기;채령;이상혁;진성민
    • 대한후두음성언어의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99-103
    • /
    • 2014
  • A laryngeal web is connective tissue covered with epithelium stretching between both sides of the true vocal cords. Laryngeal webs were first reported by Fleischmann in 1882, and they cause upper airway obstruction and abnormalities of phonation. Congenital webs result from an arrest of reabsorption of the epithelium of the larynx at the tenth week of the fetus. The most common site of webbing is the anterior commissural glottic area, followed by other glottic areas and rarely subglottic or supraglottic areas. We have experienced two cases of congenital laryngeal webs. The webs were operated in two different methods. The first was excised under magnified vision through a laryngoscope, with a silastic keel secured between the raw surfaces of the separated mucosa. In the second case, the deepithelialized surfaces were exposed for a certain time length to mitomycin C to prevent postoperative webbing. We, hereby, report our experience of the diagnosis and management of two cases of a rare entity known as the congenital laryngeal web, and discuss the results with relevant studie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