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선야설(宣夜說)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9초

"황제내경(黃帝內經)"과 선야설(宣夜說)의 관계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Sunya Theory(宣夜說) in "Hwangjenaegyeong(黃帝內經)")

  • 은석민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5-26
    • /
    • 2009
  • Seonya theory(宣夜說) was one of the most important metagalaxy model in the ancient times. Unlike the other important metagalaxy model, it had the concept that the sky is not in the solid state but is just the infinite space which is full of gi(氣). But Seonya theory, though it had partially the superb academic thought, it had gradually become the forgotten thing among scholars in the ancient times. Since then, once forgotten Seonya theory was reconstructed again in Song(宋) dynasty, and Jangjae(張載) did the main role at that time. In the historical sequence like this, we need to take notice of one thing that "Hwangjenaegyeong(黃帝內經)" had worked on Jangjae as the origin of his sunya theory. So we also need to take notice of one thing that "Hwangjenaegyeong" is just a rare document that comprises the academic thought of Seonya theory which had once been forgotten in ancient times. Based on the historical situation like this,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idea that the discuss on the Jangjae's Seonya theory would be a good way to think of the cosmic theory of "Hwangjenaegyeong" and the theoretical thought derived from them. So this study will first look into the academic characteristics of Seonya theory of ancient times and of "Hwangjenaegyeong" and through the study on the academic characteristics of Jangjae(張載)'s Seonya theory, will also think of the significance of the thought of Jangjae's Seonya theory that would be some help to the research on "Hwangjenaegyeong".

  • PDF

양웅(揚雄)과 갈홍(葛洪)의 '현(玄)' 개념 비교 연구(2) - 우주구조론을 중심으로 - (A comparative study on the 'Xuan'in the view of Yangxiong & Gehong(2))

  • 이진용
    • 한국철학논집
    • /
    • 제42호
    • /
    • pp.165-195
    • /
    • 2014
  • 이 글의 목표는 양웅(揚雄)과 갈홍(葛洪)의 '현(玄)' 개념을 우주구조에 관한 이론을 중심으로 살펴보는 것이다. 고대 중국의 우주구조론은 '천(天)'에 대한 이해로부터 출발하여, 천체의 구조, 천지의 구조 및 위치관계 등의 문제를 통해 한대(漢代)에 그 이론이 체계적으로 정립되었다. 다만 중국 전통시기의 우주구조에 관한 논의는 대부분 천문(天文)과 역법(曆法)을 통해 발전했듯이, 인간의 관점에서 인간사를 해명하기 위해 전개되었다. 양웅과 갈홍 또한 이러한 맥락에서 각자의 우주구조론 체계를 정립하는데, 그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양웅은 우주구조론가운데 개천설(蓋天說)을 비판하며 혼천설(渾天說)을 수용하여 발전시켰고, 갈홍은 혼천설을 지지하는 가운데 선야설(宣夜說)의 일부 논의를 수용하였다. 둘째, 양웅과 갈홍의 우주구조론은 그들의 우주생성론의 이론적 출발점이다. 천체의 구조와 천지의 위치관계를 다루는 우주구조론을 중심으로, 그들은 각자 우주만물 생성의 근원과 생성과정에 대한 논의를 전개한다. 이 과정에서 두 학자 모두 '현(玄)' 개념을 중심축으로 하여 우주론 체계를 건립하였다. 셋째, 양웅과 갈홍의 우주구조론은 그들 철학체계를 지탱하는 이론적 전제가 된다. 양웅은 우주구조에 관한 논의를 통해 천도(天道)와 인사(人事)의 관계를 모색하고, 갈홍은 우주구조론을 활용하여 신선도교 이론체계를 정립한다. 이처럼 양웅과 갈홍의 우주구조론은 우주생성론과 함께 우주론체계의 중요 구성 요소가 되며, 두 학자 모두 '현' 개념 중심의 우주구조론과 우주생성론을 바탕으로 각자의 철학체계를 정립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