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석회 동굴

검색결과 107건 처리시간 0.079초

화암동굴의 지형지물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f special quality for topography and natural feature in Hwa Am-Cave)

  • 홍현철;변대준
    • 동굴
    • /
    • 제41권42호
    • /
    • pp.15-26
    • /
    • 1995
  • 화암동굴은 1980년 2월 16일에 강원도 지방 기념물 33호로 지정, 보호 관리되고 있는 석회동굴이다. 이 동굴의 기본적 학술조사는 1966년 초에 한일 합동 동굴조사대어서 이루어졌으며, 그후 한국동굴보존협회와 한국동굴학회에서 수차례에 걸친 조사가 이루어졌다.(중략)

  • PDF

중국의 주요 관광동굴 조사보고

  • 홍시환;홍승달;변대준
    • 동굴
    • /
    • 제30권31호
    • /
    • pp.98-103
    • /
    • 1992
  • 중국의 동굴이라 하면 석회동굴이 주로 된다. 국토가 넓기 때문에 중국 본토의 화북, 화남 지방에 분포하고 있는 석회암 대지는 대우 넓게 발달하고 있다. 따라서 이 지역에 많은 동굴들이 있을 것으로 추측되어지고 있으나 아직까지 자연동굴 그대로 방치한 상태이고, 이 동굴의 학술적이고 학문적인 방향에서의 용도로 시행되고 있지 않는 것이 사실이다.(중략)

  • PDF

성류굴의 특성과 지물분포에 관한 연구

  • 홍현철
    • 동굴
    • /
    • 제29권30호
    • /
    • pp.22-42
    • /
    • 1992
  • 성류굴은 우리나라 동해안에 있는 천연기념물 제 155 호의 관광개발동굴이다. 우리나라에서는 가장 먼저 알려진 석회동굴이고, 또한 가장 화려하고 웅장한 동굴로 이름났다. 더구나 이 동굴에 얽힌 많은 애화와 전설도 남겨져 있기도 하며, 찾아드는 관광객이 많기로도 우리나라에서 으뜸가는 동굴이다. 이 동굴의 지형학적인 측면에서의 특성은 물론 지형지물의 분포에 대한 조사연구가 없었던 것은 아니지만 보다 세밀하.게 이 지형학적 특성과 분포에 대한 조사 결과를 소개하고자 한다.(중략)

  • PDF

동굴 답사를 위한 지질ㆍ지형학적인 이해

  • 김주환
    • 한국동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동굴학회 2002년도 동굴자연학습을 위한 Workshop
    • /
    • pp.7-30
    • /
    • 2002
  • 현재 우리 나라에는 고수동굴, 성유굴, 고씨굴 등의 석회동굴 이외에 제주도의 만장굴과 협재굴 등이 공개되고 있는 관광동굴의 대표적인 것들로 알려져 있다. 이들 동굴들은 계속 드나들고 있는 관광객들에게 자연의 신비로움과 오묘함을 보여주고 있을 뿐만 아니라 자연관찰의 현장으로 그리고 심신단련의 자연도장으로 커다란 몫을 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중략)

  • PDF

한국의 특수 자연동굴

  • 한국동굴학회
    • 동굴
    • /
    • 제18권19호
    • /
    • pp.4-50
    • /
    • 1989
  • 정선군은 본 동굴 이외에도 비룡굴과 화암굴을 갖고 있는 강원도의 남동부에 속하는 해발 800m 이상의 많은 산들에 의해서 둘러싸여 있는 산간군이다. 본 여량산호동굴은 강원도 정선군 북면 여량사리의 산(1060m)의 북동 면 해발 970m 지점에 위치하고 있는 석회동굴이다.(중략)

  • PDF

온달굴의 개발타당성 연구

  • 홍현철
    • 동굴
    • /
    • 제44호
    • /
    • pp.17-26
    • /
    • 1995
  • 온달굴은 우리나라 내륙산지의 서쪽기슭에 속하는 충청북도 단양땅에 있는 석회동굴이다. 그 옛날 온달장군이 이 동굴속에서 심신을 단련시켰다하여 온달굴이라고 한다. 한편 이 동굴은 남한강 강가의 남쪽연안에 있기 때문에 남굴이라고도 전해지고 있는 동굴이다. 사실상 이 온달굴에 있는 단양땅에는 이미 고수동굴, 노동굴 그리고 천동동굴이 관광동굴로 공개되고 있으므로 될 수 있으면 이 동굴만이라도 길이 보존관리하는 것이 좋다고 사료되기는 하나 이미 이 동굴이 지금부터 15년전에 2년동안 이 기나긴 세월을 관광동굴로 개발 이용되었던 동굴이므로 동굴내부는 매우 훼손, 오염이 심하며 더구나 그 당시에 설치되었던, 통로, 교량, 전기조명 시설들이 그대로 방치되어 왔었기에 이미 훼손된 동굴이기에 개발의 타당성을 연구하게 된 것이다.(중략)

  • PDF

용연동굴의 개발 타당성에 관한 연구

  • 홍충렬
    • 동굴
    • /
    • 제37권38호
    • /
    • pp.26-38
    • /
    • 1994
  • 태백산지의 내륙산간에 해당하는 태백시는 강원도의 주요 지역을 연결하는 결절지의 구실을 할 수 있는 지리적 위치에 있으며, 용연동굴 뿐만 아니라 많은 석회동굴이 산재하고 동굴의 보고 지역이다. 지금까지 이곳 주민의 주산업은 석탄광업에 의존하여 왔으나 현재는 정부의 석탄합리화 정책으로 인한 탄광의 폐광으로 마땅한 수익원이 없으므로 이촌향도 현상이 심화되어 가고 있다. 이러한 피폐를 탈피하기 위해서는 안정성이 높은 생활환경을 만드는 것이 시급한 이곳의 과제라고 하겠다.(중략)

  • PDF

충북의 Karst지형

  • 강승삼
    • 동굴
    • /
    • 제4권5호
    • /
    • pp.14-26
    • /
    • 1979
  • 최근에 와서 석회암 지형에 대한 조사연구는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특히 석회동굴을 중심으로 하여 관광 학술면에서 그 활동 방향이 진행되고 있으나 이와같은 동굴의 형성도 석회암지형의 발달과 관련하여 그 형성이 규명되어야 하고 동굴의 형성과 지하수면과의 관계 종유동 형성의 시간적 길이, 절리, 단층 등이 동굴형태와의 관계도 종합적인 석회암지형을 연구함으로써 지형학적, 지질학적 제문제가 해결되리라 생각된다.(중략)

  • PDF

용연동굴의 개발 타당성

  • 홍충렬
    • 한국동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동굴학회 1994년도 제 6차 국제학술회 ASIA 동굴 SIMPOSIUM
    • /
    • pp.88-89
    • /
    • 1994
  • 태백산지의 내륙산간에 해당하는 태백시는 강원도의 주요 지역을 연결하는 결절지의 구실을 할 수 있는 지리적 위치에 있으며, 용연동굴 뿐만 아니라 많은 석회동굴이 산재하고 동굴의 보고 지역이다. 지금까지 이곳 주민의 주산업은 석탄광업에 의존하여 왔으나 현재는 정부의 석탄합리화 정책으로 인한 탄광의 폐광으로 마땅한 수익원이 없으므로 이촌향도 현상이 심화되어 가고 있다. 이러한 피폐를 탈피하기 위해서는 안정성이 높은 생활환경을 만드는 것이 시급한 이곳의 과제라고 하겠다.(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