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서해안

Search Result 976,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A Study on the Mechanical Characteristic and Shear Strength haracteristic on Elapsed Time of the Western Sea Dredged Soils (서해안 준설토의 역학적 특성 및 시간경과에 따른 강도 특성에 관한 연구)

  • Kim, Hongtaek;Han, Yeonjin;Yu, Wandong
    •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 /
    • v.14 no.2
    • /
    • pp.31-41
    • /
    • 2013
  • The dredged soils of western sea of Korea have been used as the fill materials because it possess the characteristics that constitute silt, silty sand and sand mainly. However, a study on dredged soils as the fill materials is insufficient. Hence, in this present study, the application the dredged soils of western sea of Korea as the fill materials was confirmed. Primary, the composition characteristics of the ground was analyzed to confirm the application on dredged soils as the fill materials by the piezo-cone penetration test. In laboratory test, it was performed the self-weight consolidation test for 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the dredged soils. The direct shear test using self-weight consolidation test sample for shear strength characteristics was performed after self-weight consolidation test. Additionally, the 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the dredged soils on elapsed time using self-weight consolidation test sample, which is drained naturally, was evaluated. The dredged soils of western sea of Korea show that unit weight and shear strength is increased as natural drain time elapses.

Review on the Relative Sea-level Changes in the Yellow Sea during the Late Holocene (한반도 서해안의 후기 홀로세 해수면 변동 곡선에 대한 검토)

  • Choi, Sung-Ja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 /
    • v.51 no.5
    • /
    • pp.463-471
    • /
    • 2018
  • In this paper, we review previous studies on the relative sea-level changes in the Yellow Sea during the Holocene to comprehensive understand the various research results. Currently, it is reported two theories : 1) the Holocene sea-level has never been higher than the present-day level; and 2) sea-level have reached highstand during mid-Holocene, followed by slow lowering to that of the present. The first theory yields a curve that is similar to a climate-change-related eustatic sea-level curve. However, in reality, most of the relative sea-level fluctuation resulted from land uplift or subsidence. The second theory yields a curve that is fairly coincident with a relative sea-level curve indicative of continental margins being located away from the ice sheets(i.e., far-field), and is considered as an effect of GIA(Glacio Isostatic Adjustment) and gravitational attraction. Based on detailed review of previous researches, we realized that they sourced the same papers, but obtained different results because they selectively chose and added the data. The data used to derive the second theory pertain to the northern Gunsan region, which is located within the western area of the Chugaryeong fault. Thus, we believe that the sea-level curve for the second theory is only representative of the area north of Gunsan, which is subject to GIA and tectonic deformation. Although the relative sea-level curve for the west coastal area is comparable to that for the far-field continental margin region, it is necessary to evaluate local tectonic activities as suggested by active seismicity in the west coastal area and the more than 400 faults currently existing in on the Korean Peninsula.

서해권 항로표지용 AIS 관리실태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 Guk, Seung-Gi;Jeong, Tae-Gwon;Park, Hye-Ri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2.06a
    • /
    • pp.169-171
    • /
    • 2012
  • 근래 각국에서는 기존의 항로표지(AtoN)와 선박자동식별장치(AIS)를 혼합한 형태의 AtoN AIS를 도입하여 해상 상태 및 위치 등의 정보를 수집 전달하는 방식의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우리나라 역시 국제 동향에 맞춰 AtoN AIS를 채택하여 활성화시키기는 단계에 있다. 그 중 서해안은 해양교통 환경이 매우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곳으로, 이미 설치된 AtoN AIS 시스템의 관리 실태조사 및 연구를 통한 재평가가 필요한 실정이다. 이 논문에서는 AtoN AIS 시스템을 국내 표준화 시스템으로 구축하기 위한 실용화 및 활성화 방안을 마련하고자 선진국의 AtoN AIS 시스템 구축 사례 및 관련 국제 규정을 검토하여 현재 서해안의 시스템과 비교 분석한다. 또한 실제 선박 AIS와 AtoN AIS 시스템의 상호 연계성을 연구하여 실제 운항하는 선박의 항해사들이 AtoN AIS 시스템을 선박 AIS와 같이 활용 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

  • PDF

Storm Surges in West Coast of Korea by Typhoon Bolaven (1215) (태풍 볼라벤 (1215)의 서해안 폭풍해일 분석)

  • Seo, Seung Nam;Kim, Sang Ik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 /
    • v.26 no.1
    • /
    • pp.41-48
    • /
    • 2014
  • To analyze the surface elevation data of Typhoon Bolaven, simple analytical models are employed to investigate major causes of the storm surges in the west coast of Korea. Although the simple models cannot reproduce the storm surges by Typhoon Bolaven accurately, they are able to provide sufficient evidence of physical processes involved in the storm surges. Surges in islands located at deeper water were mainly driven by typhoon low pressure rather than associated winds. In contrast, bigger storm surge heights more than 1m were recorded in shallow coastal areas during low tide, which were dominantly produced by typhoon winds.

Analysis of Maximum Tsunami Heights on Uljin Nuclear Power Plant with Epicenters (발생위치별 울진 원자력발전소에서의 최대 지진해일고 분석)

  • Byung-Ho Kim;Yong-Gook Lee;Yong-Sik Ch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505-505
    • /
    • 2023
  • 지진해일의 발생빈도는 태풍이나 홍수 등의 자연재해와 비교하여 발생빈도가 낮지만 발생 시 큰 피해를 입힐 수 있다. 우리나라 동해안은 일본 서해안에서 발생된 지진해일에 취약하며 특히 강원도 삼척시와 경상북도 울진군 부근은 일본 서해안에서 발생된 지진해일 에너지가 집중되는 위험지역으로 기존 연구에서 확인되었다. 동해를 따라 먼 거리를 전파해오는 지진해일 파의 전파양상은 해저수심의 영향을 받아 변화될 뿐만 아니라 진원지의 발생위치와 각 매개변수의 특성에 따라 대상지역에서의 영향도가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일본 서해안에서 과거 발생한 지진원(4건) 및 향후 발생 가능한 가상지진원(71건)을 대상 시나리오로 선정하였으며, 가상지진원자료는 한반도 에너지개발 기구(11건) 및 일본토목학회(60건)에서 제시한 총 71건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동해안 해저수심 영향에 의한 지진해일 파 집중도를 확인할 수 있는 파향선추적 기법 수행을 통해 75건 중 집중도가 높은 41건의 지진원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지진원은 불확실성을 고려하기 위해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사용되고 있는 로직트리기법을 적용하여 총 1,107건으로 생성되었으며, 이에 대해 지진해일 수치해석이 수행되어졌다. 최대 지진해일고 비교 결과, 특정 발생위치에서의 지진원은 타 지진원보다 지진강도가 작음에도 불구하고 울진 원자력발전소에서 최대 지진해일고 결과는 더 크게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PDF

Application of GALDIT in inland coastal area of the norther west coast of Korea (한국 서해안 북부 내륙 연안지역의 GALDIT 적용)

  • Kim, Il Hwan;Kim, Min-Gyu;Chung, Il-Moon;Chang, Sun W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265-265
    • /
    • 2021
  • 해수면 상승과 연안지역의 무분별한 지하수의 이용으로 해수침투는 가속화되고 있다. 해수면 상승과 지하수의 과잉 양수로 인한 연안지역의 대수층은 사용 가능한 담수 지하수자원이 줄어들고 있다. 연안지역의 대수층을 대상으로 해수 침투 영역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GALDIT은 index & ranking 방법을 이용한 지하수자원의 해수침투에 대한 취약성 평가 방법으로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을 통해 주제도에 대한 중첩으로 평가 지수를 산정한다. 한국의 해수침투 취약성 평가에 대한 선행 연구 중 상당수는 제주도를 대상으로 많은 연구가 수행되었으며, GALDIT을 이용하여 해수침투에 대한 취약성 평가가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내륙의 연안지역을 대상으로 GALDIT을 적용하였다. 한국의 서해안 지역 중 도심지가 밀집되어 있는 북쪽으로 선택하였다. 연구지역은 인천, 아산, 안산, 김포, 화성, 시흥, 평택, 당진, 오산으로 9개의 행정구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9개의 지역은 모두 제조업이 발달되어 도시화가 가속화되고 있으며, 지속적인 인구의 유입이 진행되고 있다. GALDIT은 지속가능한 해안지하수를 위한 수자원 계획을 뒷받침하는 평가 자료로 사용될 수 있으며, 국내 기후 및 공간 특성 매개변수를 고려한 가중치 및 평가 기준의 확대 등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Analysis of Temporal and Spatial Change of Mean Sea Level on the West Coast (서해안 평균해수면의 시간적/공간적 변화 분석)

  • Yang, Su-Hyun;Choi, Seung-Bae;Ryu, Hong-Ryul;Hwang, Kyu-Na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270-270
    • /
    • 2022
  • 기후변화로 인해 전 세계적으로 평균해수면이 상승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전반적으로 평균해수면이 상승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Yoon and Kim, 2012; Jung, 2014, Yang et al., 2022). 해수면의 상승은 연안저지대 범람, 내수배제 불량 등의 피해를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해수면 상승에 대한 분석과 장래 해수면변화에 대한 정확한 예측은 매우 중요한 사항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평균해수면의 변화는 전 지구적 평균해수면의 변화와는 별개로 지역적으로 변동특성이 크게 다르게 나타날 수 있는데(Yang and Hwang, 2021), 해수면의 시간적/공간적 변화가 중첩되는 경우 단기간에 해수면 상승이 가속화 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한 취약지역이 발생할 가능성이 매우 크기 때문에(Arnoldo et al, 2017), 평균해수면의 시간적/공간적 변화양상을 파악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사항이라 하겠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서해안에 분포한 조위관측소의 조위 관측자료를 이용하여 평균해수면의 시간적/공간적 변화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서해안의 북부보다 남부로 갈수록 평균해수면의 변화량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과거의 변화량보다 최근의 평균해수면 변화가 더 큰 양상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Survey for Farmland Development in Western Coast of North Korea Using Satellite Image Data (인공위성 화상데이터를 이용한 북한 서해안지역의 농지기반조성 현황조사)

  • An, Gi Won;Jo, Byeong Jin;Seo, Du Cheon;Lee, Jeong Cheol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19 no.1
    • /
    • pp.96-96
    • /
    • 2001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and confirm the project formulation, feasibility, scale and locations on the farmland development projects such as planned and ongoing tideland reclamation and irrigation facilities along the western coast of North Korea using satellite image data, Landsat TM, JERS OPS and SPOT PAN and aged maps. In order to apply to the study, remote sensing technologies such as geometric correction. digital mosaicking, image merging, linear extraction and land cover classification were studied. As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reclaimable tidal flats are recognized at about 178,000 ha equivalent to 59% of announced 300,000ha. and 16,000 ha of completed, 17,000 ha of ongoing project areas although 27,000 ha were revealed to be completed during 1987-1993. Almost planned projects are appeared to be shortage of water supply due to their small watersheds, however, most projects are connected with 2000 mile canal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