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서천식

Search Result 17, Processing Time 0.03 seconds

회원작품

  • Korea Institute of Registered Architects
    • Korean Architects
    • /
    • no.12 s.94
    • /
    • pp.19-32
    • /
    • 1976
  • PDF

A Study of the Seocheon Fireball Explosion on September 23, 2020 (2020년 9월 23일 서천 화구 폭발 관측 연구)

  • Che, Il-Young;Kim, Inho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42 no.6
    • /
    • pp.688-699
    • /
    • 2021
  • On September 23, 2020, at 1:39 a.m., a bright fireball above Seocheon was observed across the country. Two fireball explosions were identified in the images of the All-Sky Camera (ASC), and the shock waves were recorded at seismic and infrasound stations in the southwestern Korean Peninsula. The location of the explosion was estimated by a Bayesian-based location method using the arrival times of the fireball-associated seismic and infrasound signals at 17 stations. Realistic azimuth- and rang-dependent propagation speeds of sound waves were incorporated into the location method to increase the reliability of the results. The location of the sound source was found to be 36.050°N, 126.855°E at an altitude of 35 km, which was close to the location of the second fireball explosion. The two explosions were identified as sequential infrasound arrivals at local infrasound stations. Simulations of waveforms for long ranges explain the detection results at distant infrasound stations, up to ~266 km from the sound source. The dominant period of the signals recorded at five infrasound stations is about 0.4 s. A period-energy relation suggests the explosion energy was equivalent to ~0.3 ton of TNT.

Estimation of flood peak discharge using flood marks (홍수흔적을 이용한 첨두홍수량 추정)

  • Lee, Tae Hee;Lee, Jung Hoon;Kang, Jong Wan;Roh, Youngs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75-75
    • /
    • 2019
  • 첨두홍수량 자료는 홍수예경보 및 치수계획수립 등 하천관리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그러나 대규모 홍수가 발생 시 악천후가 동반된 기상상황이나, 현장 접근이 어려운 환경적 조건과 예산 및 인력 부족 등에 의한 불가피한 문제로 첨두홍수량을 측정하는데 어려움 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수위-유량관계곡선식을 이용하여 첨두홍수량을 산정하지만 단순 고수위 외삽 추정을 통해 개발된 곡선식을 이용한 첨두홍수량 산정에 있어서는 주의가 필요하다. 이러한 경우 홍수가 지나간 후 현장조사를 통해 획득한 위치, 표고, 횡단면적 등 홍수흔적(flood marks)을 가지고 경사면적법(slope-area method)과 같은 간접적인 방법으로 첨두홍수량을 추정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18년 큰 호우사상이 발생한 내성천의 지류인 서천의 영주시(월호교) 지점과 남강의 산청군(하촌리) 지점에서 홍수흔적 조사를 통해 지점별 두 개의 단면을 선정하였다. 영주시(월호교) 지점의 두 단면 간 거리는 약 90m, 높이차는 약 0.21m로 조사되었고, 산청군(하촌리) 지점의 두 단면 간 거리는 약 330m, 높이차는 약 0.47m로 조사되었다. 경사면적법을 이용한 첨두 홍수량 추정에 적용된 조도계수는 '서천 하천기본계획(2014)', '남강 하천기본계획(2013)'에서 계획 홍수량 산정에 적용된 조도계수 0.029와 0.025를 적용하였다. 영주시(월호교) 지점은 2018년 9월 4일 발생한 호우사상의 첨두수위 5.59m에서 수위-유량관계곡선식을 이용하여 산정된 유량은 $1,127.8m^3/s$이고 경사면적법을 이용하여 추정된 유량은 $1,105.9m^3/s$로 약 -1.98%의 편차율이 발생하였다. 산청군(하촌리) 지점은 2018년 8월 26일 발생한 호우사상의 첨두수위 6.75m에서 수위-유량관계곡선식을 이용하여 산정된 유량은 $3,435.0m^3/s$이고 경사면적법을 이용하여 추정된 유량은 $3,233.3m^3/s$로 약 -6.24%의 편차율이 발생하였다. 경사면적법을 이용하여 추정된 첨두홍수량은 수위-유량관계곡선식을 이용하여 산정된 유량과 편차율이 지점별 ${\pm}10%$ 이내의 근사한 범위로 산정되었다. 따라서 경사면적법을 이용한 첨두홍수량 추정 방법의 적용에 있어서 적절한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 study on the Changes in the water level-flow rate relational curve according to the vegetation influence in the stream (하도 내 식생영향에 따른 수위-유량 관계곡선식의 변화)

  • Park, Jun Su;Ok, Young Jun;Lee, Jung 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395-395
    • /
    • 2021
  • 우리나라에서는 최근 이상기후로 인해 평균 기온이 높아지고, 여름철에 집중된 강우 특성으로 인하여 하천의 하도와 하도내 식생영향에 따른 수위-유량관계곡선식의 변동성이 높아지고 있다. 하도 내 식생과 하천의 흐름은 서로 영향을 주기 때문에 하도내 식생은 하천 흐름 특성에 핵심적인 요소로 볼 수 있다. 하도의 변동성은 단면 측량 등으로 확인 할 수 있으나, 하도내 식생은 주변 환경에 따라 매년 다르게 나타나기 때문에 이에 대한 모니터링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만경강 유역에 위치한 전주시(서천교)관측소를 대상으로 2017년~2018년, 2020년의 하도 내 수중식생과 하안 영역의 식생 성장과 소멸 및 식생사주의 모니터링 결과를 바탕으로 수위-유량관계 변화를 분석하였다. 2017년은 하도 내 식생의 성장과 소멸에 따라 저수위 구간에서 다수의 기간분리가 발생하였으며, 중수위 구간은 기간분리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2018년과 2020년은 하도 내 수중식생의 성장과 소멸로 인항 저수위 기간분리 이외의 하안영역의 식생 성장과 소멸에 따른 통수능 변동으로 인하여 중수위 기간분리가 추가로 발생하였고, 식생사주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하여 중수위 구간분리를 추가 검토하였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하도 내의 식생영향에 따른 유량측정성과를 확보하였으며 확보한 유량측정성 통한 신뢰도 높은 수위-유량관계곡선식을 개발하였고 이를 통해 생산된 유량자료는 정확도가 매우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Desirable pH of Slurry in the Desulfurization Absorber for a 200 MW Anthracite Power Plant (200 MW급 무연탄 발전용 탈황 흡수탑에서 적정 슬러리pH)

  • Choi, Hyun-Ho;Yoo, Hoseon
    • Plant Journal
    • /
    • v.16 no.1
    • /
    • pp.38-43
    • /
    • 2020
  • In this study, Seochon Thermal Power Plant No.1 for anthracite coal was tested to find the proper operation range of limestone slurry pH in the absorber tower which can be operated continuously in compliance with the Air Quality Preservation Act and Seocheon Thermal Power Division's internal regulation, sulfur dioxide average emission regulation. When operating the sulfur dioxide concentration [ppm] in the combustion gas flowing into the desulfurization absorption tower at 370, 400, 460 and 550 ppm while the main operating elements such as the flow rate of the combustion gas were fixed, the proper slurry pH Were 4.4, 4.5, 4.8 and 5.1, respectively. Therefore, it is recommended to operate with the correlation equation, RpH=0.004×Cin+2.93 derived using sulfur dioxide and the appropriate slurry pH.

Floristics of Halophytes and Hydrophytes in the Jungseonpo, Gwingok, and Gwangyangseo Rivers (중선포천, 관곡천, 광양서천에서 염생식물과 수생식물상 분포)

  • Huh, Man Kyu
    • Journal of Life Science
    • /
    • v.30 no.2
    • /
    • pp.186-190
    • /
    • 2020
  • Halophytes are physiologically adapted to withstand the high salinity of water and saline soil.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lucidate the distribution of halophytes and hydrophytes in the Jungseonpo River (Sacheon-ci, Gyeongsangnam-do), Gwingok River (Hadong-gun, Gyeongsangnam-do), and Gwangyangseo River (Gwangyang-ci, Jeollanam-do) in Korea. A total of six species of halophytes and ten species of hydrophytes were collected in the Jungseonpo River. Halophytes in the Gwingok River and Gwangyangseo River numbered five species and 11 species, respectively. Hydrophytes in the Gwingok River and the Gwangyangseo River numbered 13 species in five families and 16 species in eight families, respectively. Of these, Phacelurus latifolius, endemic to the west and south coast of Korea, is an endangered species in the context of investigating the ecology and conservation of halophyte species. Many individual halophyte species have been diminished due to reduced habitable area caused by sand dune destruction. The rivers in the three areas on the south coast were also different in terms of distribution of salt plants due to regional differences, and they were all different from the well-developed west coast. Seven species, including Rosa wichuraiana, have been added to South coasts compared to past rec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