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서울 재수굿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9초

한국무속의 신격 연구1 - 서울과 고성의 재수굿을 중심으로 - (The Study on the Divinity of Korean Shamanism 1)

  • 심상교
    • 공연문화연구
    • /
    • 제36호
    • /
    • pp.365-414
    • /
    • 2018
  • 본고는 한국무속에 나타난 신격의 유형과 성격을 연구하는 과정의 하나로 서울과 강원도 고성의 재수굿에 나타난 신격에 대해 연구하였다. 신격에 대한 연구란 무속신이 각 굿에서 의미하는 바, 무속신의 위계, 무속신 상호간의 관계, 무속신의 각 지역 간 대비점 등에 대한 고찰을 의미한다. 본고의 무속 신격 연구는 채록된 무가를 근간으로 하였다. 서울의 재수굿은 논자에 따라 10거리에서 18거리까지 다양하지만 대체로 10거리 내외다. 본고에서는 김태곤이 채록한 12거리 무가를 근간으로 한다. 12거리는 부정거리, 가망거리, 말명거리, 상산거리, 별상거리, 대감거리, 제석거리, 호구거리, 군웅거리, 성주거리, 창부거리, 뒷전거리 등이다. 강원도 고성의 재수굿은 8거리로 부정굿, 서낭굿, 조상굿, 성주굿, 지신굿, 칠성굿, 말명굿, 거리풀이로 구성되었다. 말명거리는 독립굿이 아니라는 견해도 있지만 분석텍스트에 의거하여 본고에서는 독립된 거리로 본다. 그리고 상산 별상 신장 대감을 분리하기도 하고 묶어 대안주로 보기도 하지만 역시 김태곤무가집의 텍스트대로 분리하여 고찰한다. 재수굿의 핵심은 이성과 과학으로 설명되지 않는 세계를 이용해서 개인의 평안을 기원한 측면이 강하다. 인간의 기억에 저장된 경험의 세계를 이성과 과학이 모두 설명할 수 없는 측면이 반영된 것이고 인간 삶의 넓고 다양한 측면에 대해 해명하고자하는 탐구와 정리가 재수굿에 반영된 것으로 생각된다. 서울의 재수굿 각 굿에는 그 굿의 근간이 되는 주신이 있고 주신의 의미를 분명히 하려는 종신, 속신이 있다. 한 굿의 주신은 다른 굿에서 종신이나 속신이 되기도 한다. 각 신격들은 상하관계로 존재하지 않고 평등하게 존재하는 것이다. 재수기원의 신들은 기본적으로 나라안위${\rightarrow}$지역안위${\rightarrow}$가정안위 순으로 굿을 받게 된다. 국태민안${\rightarrow}$안과태평${\rightarrow}$부귀공명${\rightarrow}$재수소망의 순서가 되는 것이다.

서울 재수굿 무속복식의 의미 및 특징 (Meanings and Characteristics of Seoul Jaesugut Shaman's Costumes)

  • 서승희;박정주
    • 패션비즈니스
    • /
    • 제26권4호
    • /
    • pp.83-99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form and meaning of shaman's costumes worn by each gutgeori in Seoul jaesugut and to derive the characteristics of Shaman's costume at gutgeori. Observational research was conducted for three years by participating in the site of two types of gut, which are divided into local jaesugut for the well-being of the region and individual jaesugut that takes place based on personal request. Seoul jaesugut consists of 12 different gutgeori according to the deity it serves and meaning: Bujeongcheongbae, Gamangcheongbae, Bulsageori, Sangeori, Josanggeori, Sangsangeori, Byulsanggeori, Sinjanggeori, Daegamgeori, Seongjugeori, Changbugeori, and Duitjeon. The shape and colour of the shaman's costume worn in each gutgeori are related to the meaning of the gutgeori. Followings a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shaman's costume from gutgeori. First, shaman's costume adopted traditional costumes that symbolized the characteristics of god represented in each gutgeori. Second, gutgeori consists of multiple gods, and shaman's costumes were adopt to represent the superior god among these gods. Third, sometimes the costumes were adopt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 of the god instead of its divinity. Fourth, even if the gods were different, if the roles of the gods were the same, the same form of shaman's costume could be taken. Fifth, the process of gut showed the harmony of yin and yang using the principle of five elements through the colour of shaman's costu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