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서울시립대학교

검색결과 1,020건 처리시간 0.025초

카메라트래핑을 활용한 광교신도시 내 도시형 생태통로 모니터링 (Monitoring Urban Ecological corridors in Gwanggyo New Town Using Camera Trapping)

  • 박일수;김휘문;김성열;박찬;송원경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69-80
    • /
    • 2021
  • The new town in Korea, developed as a large-scale housing plan, has created urban ecological corridors to provide habitat and movement routes to wildlife and to promote natural ecological flow.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use of wildlife in 10 ecological corridors in Gwanggyo New Town through camera trap technology and confirm effectiveness by identifying environmental factors affecting the use of wildlife's urban ecological corridors. Our researchers installed 20 unmanned sensor cameras at each the entrance and exit of the ecological corridors, and monitored urban wildlife for 10 weeks. According to the monioring results, the main species in Gwanggyo New Town were identified not only raccons, cats, water deer, korean hare and avain but also magpies, dove, eurasian tree sparrow, ring-necked pheasant, and eurasian jay. The number of uses ecological corridors of urban residents was 801(13.49%), as high as that of urban wildlife (1,140, 19.20%), which was judged to have disturbed the use of ecological corridors by wildlife. However, most dominant species of urban wildlife are nocturnal so that, it was judged that they share home range with urban residents at a time interval.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correlation analysis results between the mammal using rate of the urban ecological corridors and environmental factors(ecological corridor-specific length, ecological corridor-specific width, cover degree, shielding degree, connected green area, separation of movement routes, and presence of streetlights), environmental factor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However, the more the area of green space connected to ecological corridors, the more increasing the mammal using rate of ecological corridor(r=0.71, p<0.05). Therefore, the area of green space connected to the ecological corridors that is associated with rate of wildlife using corridors should be considered as a priority when developing an urban ecological corridors. In the future, this study will extend the observation period of the ecological corridors and continuously accumulate data by adding the number of observation cameras. Furthermore,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standards for urban ecological corridors installation.

정전용량 수분센서의 배지 함수량 정량화 (Quantification of Rockwool Substrate Water Content using a Capacitive Water Sensor)

  • 백정현;박주성;이호진;안진희;최은영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27-36
    • /
    • 2021
  • 정전용량 수분측정 센서는 수경용 배지 양쪽에 구리 및 테플론으로 절연된 전극판(30cm×10cm)을 부착하여 배지의 넓은 부분에 걸쳐 측정하도록 개발되었다. 본 연구는 콘덴서형 정전용량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정전용량 값을 배지 함수량으로 변환하는 것이다. 정량화 실험은 양액을 공급하면서 배지 물무게와 정전용량 변화를 측정하고 그 값을 비교하는 방식으로 수행되었다. 배지 함수량과 정전용량은 본 연구를 위해 특별히 개발된 소프트웨어와 함께 센서와 로드셀을 사용하여 20~30초마다 측정되었다. 상용 curve-fitting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배지 함수량과 정전용량을 변수로 정전용량 값으로 배지 함수량을 추정하였다. 공급하는 물의 양이 증가하면 정전용량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배지 내 물무게에 따른 정전용량에 대한 변동계수(coefficient of variation, cv)는 배지 내 물무게가 1.0kg 수준에서 다른 무게에 비해 높아 함수량 보정은 물무게를 1.7~6.0kg 수준에서 수행하였다. 정전용량과 물무게 사이의 상관 계수는 0.996이었고 보정식에 의해 정전용량으로 추정된 함수량은 로드셀로 측정한 배지 함수량과 비교하였다.

HMAC/NMAC-MD4에 대한 향상된 키 복구 공격 (Improved Key-Recovery Attacks on HMAC/NMAC-MD4)

  • 강진건;이제상;성재철;홍석희;류희수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63-74
    • /
    • 2009
  • 2005년 Wang이 MD 계열 전용 해쉬함수에 대한 분석 결과를 발표함에 따라, MD 계열 전용 해쉬함수를 이용한 메시지 인증 프로토콜에 대한 분석 결과 또한 다수 발표되었다. CRYPTO'07에서 Fouque, Leurent, Nguyen은 Wang의 충돌쌍 공격을 이용한 MD4, MD5 기반 HMAC/NMAC의 내부 키 복구 공격과 외부 키 복구 공격을 소개하였다[4]. EUROCRYPT'08에서 Wang, Ohta, Kunihiro는 근사 충돌쌍(near-collision)을 이용한 MD4 기반 HMAE/NMAC의 외부 키 복구 공격을 소개하였다[2]. 즉, Wang 등은 새로운 근사 충돌쌍 특성을 이용하여 기 제안된 Fouque의 분석 방법을 향상시킴으로서 오라클 질의량을 $2^{88}$에서 $2^{72}$으로 감소시켰으며, MD4계산량 또한 $2^{95}$에서 $2^{77}$으로 감소시켰다. 본 논문에서는 분할-정복(divide and conquer) 공격을 이용한 새로운 MD4 기반 HMAC/NMAC의 외부 키 복구 공격 알고리즘을 제시한다. 본 논문에서 제시하는 분할-정복 공격을 이용한 공격알고리즘은 $2^{77.1246}$의 오라클 질의량과 $2^{37}$의 MD4 계산량으로 HMAC/NMAC의 외부 키를 복구할 수 있는 향상된 공격 방법이다.

시나리오 중립 접근법을 활용한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보령시 가뭄의 수문학적 위험도 평가 (Evaluation of hydrologic risk of drought in Boryeong according to climate change scenarios using scenario-neutral approach)

  • 김지영;한영만;서승범;김대하;김태웅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7권3호
    • /
    • pp.225-236
    • /
    • 2024
  • 기후위기에 선제적으로 대비하기 위해서는 기후변화에 따른 영향을 예측 및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기후위기 적응과 관련한 정책과 전략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기후변화를 고려해야 하나, 기존 연구 방법인 시나리오 리드 접근법에서 연구자들은 기후변화 대표 시나리오를 선택하여 활용하기 때문에, 예측된 결과의 불확실성이 크고 신뢰도가 낮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기후변화 관련된 수자원 정책 및 설계기준에 반영되는 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기후변화로 인해 발생가능한 변화 범위를 고려하는 시나리오 중립 접근법을 활용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보령시를 대상으로 총 343개의 기후스트레스 시계열을 생성한 뒤 이변량 가뭄빈도분석을 통해 재현기간을 산정하고 가뭄에 대한 수문학적 위험도를 산정하였다. 분석결과, SSP1-2.6 18개 및 SSP5-8.5에 18개에 대해 최대 재현기간의 가뭄이 20년 내에 발생할 수문학적 위험도는 0.15±0.025, 50년 내에 발생할 수문학적 위험도는 0.3125±0.0625 사이로 나타났다. 따라서 보령시에서는 해당 범위의 수문학적 위험도를 고려하여 가뭄 정책 및 대책 수립이 필요하다.

스트림 암호 Grain-v1에 대한 연관키 공격 (The Related-Key Attack on Grain-v1)

  • 이유섭;정기태;성재철;홍석희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45-52
    • /
    • 2008
  • $K{\ddot{u}}c{\ddot{u}}k$은 eSTREAM 프로젝트에 제안된 스트림 암호인 Grain-v1에 대하여, 공격자에게 키스트림 수열이 주어지면 이를 1-비트 좌측 이동시킨 키스트림 수열을 생성할 수 있음을 보였다[5]. 본 논문에서는 [5]에서 제안된 공격을 확장하여 연관키 선택 Ⅳ 공격을 제안한다. 본 공격은 Grain-v1의 초기화 과정의 취약점을 이용하여 비밀키의 부분 정보를 획득하여 $2^{25.02}$개의 Ⅳ와 $2^{56}$의 시간 복잡도로 Grain-v1의 비밀키를 복구한다. 본 공격은 Grain-v1에 대한 첫 번째 키 복구 공격이다.

Shrinking 생성기와 Self-Shrinking 생성기에 대한 향상된 고속 상관 공격 (Improved Fast Correlation Attack on the Shrinking and Self-Shrinking generators)

  • 정기태;성재철;이상진;김재헌;박상우;홍석희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25-32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shrinking 생성기와 self-shrinking 생성기에 대한 향상된 고속 상관 공격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공격은 Zhang 등이 CT-RSA 2005에서 제안한 shrinking 생성기에 대한 고속 상관 공격을 개선한 것으로 shrinking 생성기에서 길이가 61인 생성 LFSR의 초기 상태값을 $2^{15.43}$ 키스트림 비트와 $2^{56.3314}$의 계산 복잡도로 성공 확률 99.9%로 복구할 수 있다. 또한 245.89 키스트림 비트와 $2^{112.424}$ 계산 복잡도로 self-shrinking 생성기에서 길이가 $2^{40}$인 LFSR의 초기 상태값을 성공 확률 99.9%로 복구할 수 있다.

천변저류지 조성에 따른 효과분석 : (2) 경제적 가치 평가 (Effectiveness Analysis of Constructed Washland : (2) Economic Valuation)

  • 유병국;곽재원;김형수;김재근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0권1B호
    • /
    • pp.23-31
    • /
    • 2010
  • 천변저류지의 조성에 관한 기존의 연구는 천변저류지의 홍수조절 효과분석이나 유량변화 등을 이용하여 그 효과를 판단하고 적용하여 왔다. 그러나, 이와 같은 분석방법은 천변저류지의 조성에 의한 경제적인 효과를 명확하게 제시할 수 없으므로 천변저류지의 타당성과 역할을 정확하게 평가하고 알리기에는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천변저류지 조성에 따른 홍수 조절 효과와 수질개선효과 및 생태적인 효과를 경제적인 가치로 산정하고 이를 정량화하였다. 이를 위하여 경상남도 창녕군에 위치한 우포늪 지역을 대상으로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우포늪의 천변저류지 조성에 따른 경제적인 가치는 평균 819억원으로 산정되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경제적 가치 평가는 천변저류지의 효과 및 중요성을 판단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천변저류지 조성에 따른 효과분석 : (1) 홍수조절 및 생태적인 효과 (Effectiveness Analysis of Constructed Washland : (1) Flood Control and Ecological Effect)

  • 곽재원;김재근;김형수;유병국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0권1B호
    • /
    • pp.13-21
    • /
    • 2010
  • 최근에 들어서 홍수조절과 생태적 기능을 모두 만족시키는 방안으로서 천변저류지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경상남도 창녕군의 토평천 유역을 대상으로 하여 우포늪의 상류 및 중하류에 분포하는 천변저류지를 조성하였을 경우 천변저류지로 인한 홍수조절 효과와 생태적인 효과를 검토하였다. 연구 결과 천변저류지로 인하여 홍수 조절 및 생물다양성 증진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여러 천변저류지의 형식이나 조합에 따라서 효과는 상이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천변저류지를 설치할 경우 단순 홍수조절 효과만을 고려하여 평가하기 보다는 다양한 효과 분석을 통해 천변저류지를 조성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물상추의 무기이온 흡수 특성을 이용한 수질정화 (Water Purification by Inorganic Ion Absorption Character of Water Lettuce (Pistia stratiotes L.))

  • 이성춘;이정식
    • 화훼연구
    • /
    • 제17권1호
    • /
    • pp.1-8
    • /
    • 2009
  • 본 연구는 부유 식물 물상추를 이용하여 수질 개선과 무기양분 흡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초기 Sonneveld-2S 처리에서 물상추는 $NH^+_4$$NO^-_3$보다 더 많이 흡수하여 초기 pH 값이 가장 낮았으나 시간이 지남에 따라 pH가 올라갔다. 대부분 빗물로 구성된 연못은 EC가 생육시기 전반에 걸쳐 낮았다. 식재 30일에서 50일 사이에 총 부유물질이 모든 처리에서 급격하게 증가하다가 그 이후 다시 감소하였다. 생육기간 동안 DO는 낮아졌으며 동시에 COD 값은 이와 상반된 결과를 보였다. 식재 100일 후 물상추의 초장, 초폭, 분지수와 생체중은 Sonneveld-2S 처리에서 가장 높았으며 연못물에서 가장 낮았다. 연못물 처리를 제외한 모든 처리에서 분지수는 급격히 증가하였다. 특히 생활하수에서 초장과 초폭은 Sonneveld-2S와 Sonneveld-1S 처리와 거의 비슷할 정도로 식물 생장이 왕성하였다. Yamazaki의 공식으로 무기 양분의 흡수량을 계산한 결과 총질소는 Sonnveld-2S에서 $112.5me{\cdot}L^{-1}$, Sonnveld-1S에서 $56.6me{\cdot}L^{-1}$, Sonnveld-1/2S에서 $17.4me{\cdot}L^{-1}$, 연못물에서 $3.7me{\cdot}L^{-1}$ 그리고 생활하수에서 $31.8me{\cdot}L^{-1}$로 다른 무기 이온에 비해 질소를 가장 많이 흡수하였다. 총 질소의 흡수량은 각각 식물체 분석 결과 물상추 내 총 질소는 모든 처리에서 지하부가 지상부에 비해 더 높았다. 생활하수 처리에서 총 질소는 지상부와 지하부가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인은 Sonnveld-2S에서 $15.6me{\cdot}L^{-1}$, Sonnveld-1S에서 $1.72me{\cdot}L^{-1}$, Sonnveld-1/2S에서 $3.13me{\cdot}L^{-1}$, 생활하수에서 $5.0me{\cdot}L^{-1}$ 흡수하였다. 물상추가 식물 양분 형태로 질소와 인을 흡수 및 제거하여 부영양화된 수질을 정화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유·무인 항공영상을 이용한 심층학습 기반 녹피율 산정 (Derivation of Green Coverage Ratio Based on Deep Learning Using MAV and UAV Aerial Images)

  • 한승연;이임평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7권6_1호
    • /
    • pp.1757-1766
    • /
    • 2021
  • 녹피율은 행정구역면적 대비 녹지가 피복된 면적의 비율로, 실질적인 도시녹화 지표로 활용되고 있다. 현재 녹피율은 토지피복지도를 기반하여 산출되는데, 토지피복지도의 낮은 공간해상도와 일정하지 않은 제작시기는 정확한 녹피율 산출과 정밀한 녹피분석을 어렵게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새로운 녹피율 산출방안으로 항공영상과 심층학습을 활용한 방안을 제안한다. 항공영상은 높은 해상도와 비교적 일정한 주기로 정밀한 분석을 가능하게 하며 심층 학습은 항공영상 내 녹지를 자동으로 탐지할 수 있다. 지자체는 매년 다양한 목적을 위해 유인항공영상을 취득하여 이를 활용해 신속하게 녹피율을 산출한다. 하지만 미리 취득된 유인항공영상은 취득 시기와 해상도, 센서와 같은 세부사항을 선택할 수 없어 정밀한 분석이 어려울 수 있다. 이러한 한계점은 다양한 센서의 탑재가 가능하고 낮은 고도의 비행으로 인해 고해상도 영상을 취득할 수 있는 무인항공기를 활용하여 보완될 수 있다. 이에 두 가지 항공영상으로부터 녹피율을 산출하였고 그 결과, 모든 녹지 유형으로 부터 높은 정확도로 녹피율을 산출할 수 있었다. 하지만 유인항공영상으로부터 산출된 녹피율은 복잡한 환경에서 한계가 있었다. 이를 보완하고자 활용한 무인항공영상은 복잡한 환경에서도 높은 정확도의 녹피율을 산출할 수 있었고 추가밴드 영상을 통해 더 정밀한 녹지 영역 탐지가 가능했다. 추후 기존 유인항공영상에 새로 취득한 무인항공영상을 보완적으로 사용해 녹피율을 효과적으로 산출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