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서비스 타입

검색결과 615건 처리시간 0.029초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he Kernel Module Prototype for the Single Disk I/O (단일 디스크 입출력을 위한 커널 모듈 프로토타입의 설계 및 구현)

  • 황인철;김동환;김호진;맹승렬;조정완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한국정보과학회 2003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30 No.2 (1)
    • /
    • pp.406-408
    • /
    • 2003
  • 요즘 값싼 PC를 빠른 네트웍으로 묶어 높은 성능을 얻고자하는 클러스터 컴퓨팅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연구 중 클러스터 컴퓨팅 환경을 구성하는 여러 컴퓨터들을 하나의 컴퓨터처럼 보이게 해주는 단일 시스템 이미지 서비스는 사용자에게 쓰기 편리한 환경과 높은 가용성을 제공하여 준다. 단일 시스템 이미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단일 프로세스 공간, 단일 메모리 공간 및 단일 디스크 입출력을 제공하여 주어야 한다. 단일 디스크 입출력은 여러 컴퓨터에 나누어져 있는 디스크들을 하나의 큰 디스크로 보여주고 여러 디스크들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러한 단일 디스크 입출력을 사용자 수준이나 파일 시스템 수준에서 제공하여 주는 것은 성능 측면이나 투명성의 측면에서 커널 모듈로 제공하여 주는 것 보다 좋지 않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단일 디스크 입출력을 위하여 커널 모듈 프로토타입을 설계하고 구현한다. 그리고 네트웍 파일 시스템과 단일 디스크를 이용하여 단일 디스크 입출력을 위한 터널 모듈의 성능과 비교, 분석한다.

  • PDF

Data Type-Tolerant Component Model: A Method to Process Variability of Externalized Data (데이터 타입 무결성 컴포넌트 모델 : 외부화된 데이터 가변성 처리 기법)

  • Lim, Yoon-Sun;Kim, Myung;Jeong, Seong-Nam;Jeong, An-Mo
    • Journal of KIISE:Software and Applications
    • /
    • 제36권5호
    • /
    • pp.386-395
    • /
    • 2009
  • Business entities with which most service components interact are kind of cross-cutting concerns in a multi-layered distributed application architecture. When business entities are modified, service components related to them should also be modified, even though they implement common functions of the application framework. This paper proposes what we call DTT (Data Type-Tolerant) component model to process the variability of business entities, or externalized data, which feature modern application architectures. The DTT component model expresses the data variability of product lines at the implementation level by means of SCDTs (Self-Contained Data Types) and variation point interfaces. The model improves the efficiency of application engineering through data type converters which support type conversion between SCDTs and business entities of particular applications. The value of this model lies in that data and functions are coupled locally in each component again by allowing service components to deal with SCDTs only instead of externalized business eutities.

Development of Mobile Tour Game for Site-specific Cultural & Historical Tour Information Service (위치 기반 역사 문화 관광 정보 서비스를 위한 모바일 투어게임 개발에 관한 연구)

  • Kim, Hyun-Jeong;Schliesser, John;Kim, Min-Soo;Chung, Han-Kyung;Park, Jung-Hyun;Park, Young-Je;Shim, Jung-Wha;Kim, Young-Hee;Kim, Min-Jung;Cho, Shin-A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7년도 학술대회 2부
    • /
    • pp.70-77
    • /
    • 2007
  • 모바일 IT와 무선인터넷의 발달에 따라 디지털 컨텐츠를 담는 뉴미디어로서의 휴대폰의 가능성은 점차 확대되고 있으며, 모바일 컨텐츠 시장도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다. 무선인터넷의 발달은 유선 인터넷 컨텐츠를 무선으로 확장하게 하였으며, 장소기반 관광 정보 (Location Based Information) 서비스가 우선적으로 구축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모바일 기기로 서비스되고 있는 대부분의 관광정보는 관광지에 대한 간단한 설명, 교통편, 숙박, 음식점 등 매우 실용적이고 일반적이어서 편리하긴 하지만, 그다지 사용하고 싶은 매력은 없는 정보에 그치고 있다. 본 연구는 기술적으로 진화하고 있는 유비쿼터스 도시 환경에서 모바일을 활용하여 어떠한 새로운 형태의 관광 컨텐츠가 가능해질 수 있을까 하는 질문에서 출발하였다. 본 논문은 정보통신연구 진흥원의 지원을 받아 진행했던 지역의 역사, 문화 정보 전달을 위한 모바일 투어 게임 "타임트렉" 프로토타입 개발에 관한 리서치, 컨셉, 프로세스를 정리한 것이다. "타임트렉" 프로젝트에서 추구했던 방향은 문화적, 역사적으로 중요한 장소를 투어하면서 모바일 미디어를 활용하여 보다 깊은 역사, 문화 정보를 새롭고 재미있는 방법으로 전달하고자 하는 것이었다. 특히, 사용자의 보다 적극적인 참여와 흥미유발을 위해 시간여행 능력을 가진 탐정이 과거로 시간여행을 통해 사건을 해결하는 롤플레잉 스토리 기반 게임과 물리적 장소에서 답을 찾아야 하는 오프라인 퀘스트 게임의 형식을 포함하는 모바일 투어 게임형태로 구축하였다. 이렇게 함으로써 관광객들에게 보다 그 장소에 대해 알고 싶어 하는 흥미를 유도하고 투어를 완료하게 유도함으로써 만족스럽고 새로운 관광 경험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새로운 타입의 모바일 관광서비스의 프로토타입 개발에 있어 중점을 두었던 부분은 역사적으로 중요한 장소를 워킹 트레일로 구성하고 그 장소가 가지는 기본적인 문화, 역사적 정보에 오락적 요소(스토리와 게임 요소)를 자연스럽게 혼합하여 흥미로운 컨텐츠를 만들는 것이었으며, 또한 모바일이 가진 위치기반 서비스 기능을 활용하여 효과적으로 컨텐츠를 적재적소에 제시하는 인터페이스 구현에 중점을 두었다. 논문에서는 먼저, 기존의 국내외 모바일 관광정보서비스의 사례 및 연구 동향을 분석하고, 이에 따라 설정한 "타임트렉" 프로젝트의 방향성과, "타임트렉" 프로젝트에서 개발했던 프로토타입에 대하여 요약, 설명하였으며, 사용자 테스트 과정을 기술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시장 세분화에 따른 관광 정보 서비스의 엔터테인먼트화 전략에 대해 논의하였다. 본 연구에서 시도했던 지역의 역사, 문화 관광을 위한 LBS 모바일 기술과 스토리, 게임 등 엔터테인먼트 요소의 결합은 관광객들에게 새로운 형태의 즐거운 관광 경험을 창출할 수 있으며, 관광 산업과 모바일 컨텐츠 산업의 결합이라는 새로운 접근의 장을 개척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An Approach to Developing Service Descriptions Based on Product Line (프로덕트 라인 기반 서비스 명세 생성 방법)

  • Park, Joon-Seok;Moon, Mi-Kyeong;Yeom, Keun-Hyuk
    • The KIPS Transactions:PartD
    • /
    • 제16D권5호
    • /
    • pp.747-754
    • /
    • 2009
  • Software product line engineering is an approach to creating core assets by systematically exploits common that can be highly reusableand different characteristics in related system families that is domain. By adapting this approachin object and component paradigm, software productivity is extended. Recently, Software development paradigm is changed to service oriented paradigm which is using services that are core assets. Therefore, to develop service oriented software more flexible, systematic and to enhance business agility about business changes, we need adaptation of product line to creation of services that are core assets. In this paper, we propose an approach to create and specify domain service through combine of product line and service oriented paradigm. Domain service explicitly specifies commonality and variability by domain service common/optional property variability, operation type variability, message type variability. By using this approach, it can support efficient and flexible service oriented development by producing various services through customization of domain service for the purpose.

A Viewer's Modality-based Design Guideline of Digital TV Data Service and a Data Service Prototype adopting the Guideline (시청자의 TV 이용 행태를 고려한 디지털 TV 데이터 서비스의 기획 가이드라인과 이를 적용한 데이터 서비스 프로토타입)

  • Ko, Kwang-Il
    • Convergence Security Journal
    • /
    • 제12권3호
    • /
    • pp.123-129
    • /
    • 2012
  • Due to the high digital technology, various devices such as TV, PC, smartphone, and pad computer are connected to each other using internet and under the circumstance internet services of which the running platforms are mainly PC become "N-screenlized" by extending their service platform to non-PC devices. As a digital TV has outstanding features of being the most influential device in the living room and having the wide spectrum of users, several internet services has been ported on the digital TV platform (in the form of data services) in order to enhance their brand powers. Most of the services, however, failed to get a satisfactory results as the data services are defeated by the broadcasting contents in the competition for the viewer's interests. In the paper, the design guidelines that make data services not to compete with the broadcasting contents are proposed and a prototype of a data service that accommodates the guidelines is introduced. The prototype, called "TV ideal-type world-cup", does not disturb a viewer's watching broadcast contents and channel-changing behavior while it is running and its service flow is designed for a viewer to achieve the goal of service in a few minutes so that the viewer can enjoy the service in a commercial period.

A Development of Direct Marketing System Prototype Using Temporal & Spatial Mining Techniques (시간 및 공간 마이닝 기술을 이용한 다이렉트 마케팅 시스템 프로토타입 개발)

  • Lee, Heon Gyu;Choi, Yong Hoon;Na, Dong-Gil;Jung, Hoon;Park, Jong Heung
    • Annual Conference of KIPS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0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1402-1405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시간 및 공간 마이닝 기술을 적용한 다이렉트 마케팅 지원 시스템 프로토타입을 개발하였다. 개발한 프로토타입은 서울시를 대상으로 약 인구 500명 크기의 블록단위 e-Commerce 구매 패턴과 유사블록 그룹핑 및 기타 마케팅에 유용한 외부 공개 자료의 검색 기능을 포함한다. 또한, 마케팅 캠페인에 프로토타입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서 상품선호도 기반 검색, 라이프스타일 기반 검색 및 복합정보 기반 검색 모듈 등의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A study on the Implementation of Geoweb Service Based on Mobile Web (모바일웹 환경에서의 지오웹 서비스 구현에 관한 연구)

  • Ahn, Jae-Seong;Kim, Hyung-Tae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한국GIS학회 2010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45-146
    • /
    • 2010
  • 이 연구에서는 모바일웹 방식으로 지오웹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무지원용 서비스 프로토타입을 구현하였다. 구현한 서비스는 LH의 택지개발업무 중 기본조사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현장업무를 지원하는 것이다. HTML5를 이용하여 웹 브라우저를 통해서 스마트폰 디바이스에 접근하고 사용자의 위치를 확인하며, 온라인 지도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OpenAPI와 OWS(OpenGIS Web Service)를 융합하는 모바일 메시업 기법을 적용하였다.

  • PDF

게임리뷰- 싸워

  • Sin, Seung-Cheol
    • Digital Contents
    • /
    • 7호통권146호
    • /
    • pp.78-79
    • /
    • 2005
  • 귀여운 캐릭터를 바탕으로 한 슈팅타입의 캐주얼 대전액션 게임인 ‘싸워(SSaWar: Small Soldier Action War)’는‘라그하임’·‘라스트 카오스’를 개발, 서비스하고 있는 나코인터랙티브의 모회사 나코엔터테인먼트가 게임사업부 신설 1년만에 선보이는 온라인게임으로 엽기와 코믹을 메인 소재로 하고 있다. 지난달 23일부터 25일까지 진행했던 이 게임의 2차 클로즈베타 서비스에 참여, 어떤 모습인지 살펴봤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Multiple Control Server for Telemedicine Service (원격진료 서비스를 위한 다중접속 제어서버 설계 및 구현)

  • Kim, Do-Yoon;Yoo, Sun-Kook;Kim, Nam-Hyun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SC
    • /
    • 제49권1호
    • /
    • pp.39-46
    • /
    • 2012
  • We can adapt telemedicine systems in advance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capabilities and increase of network bandwidth. The telemedicine service can be applied to a public health center, a school, a prison and islands in lacks of medical equipments and medical staffs. The telemedicine services which can be provided high quality medical services. We designed the multiple control server system consisting 3 sub-function, patients and doctors name list, network types, connection states and computer equipments. The telemedicine link configuration was decided as 'Flowing', or 'By-passing' in accordance the network type and bandwidth of patient systems or doctor systems. The multiple control server system was performed the best communication configuration over heterogeneous networks. This system was achieved high quality telemedicine services through dynamic wired and wireless networks at any time. This study represented a hybrid multimedia telemedicine system over heterogeneous networks. We expected that the designed system could provide not only the high quality services, tele-diagnosis and tele-consultation, but also the effective emergency telemedicine services to multi-patients in the heterogeneous network environments.

Implementation of SOAP Client in U Programming Environment (nML 프로그래밍 환경에서 SOAP 클라이언트 구현)

  • 권오경;한태숙
    • Journal of KIISE:Software and Applications
    • /
    • 제30권1_2호
    • /
    • pp.164-172
    • /
    • 2003
  • Web service implementations are now rapidly growing. Web services are easily achieved by XML messaging for most programming languages. Applications usually utilize web services through APIs tied to a specific implementation of SOAP. nML is a dialect of SML and OCaml made in ROPAS. The soaptype type in nML is defined for the value of SOAP encoding. SOAP encoding specification defines rules for serialization of a graph of typed objects using XML Schema. XML Schema validates XML SOAP value. The soaptype type is encoded to XML and decoded from XML. It is necessary to guarantee safe encoding and decoding. So, the definitions for element and type definition in XML Schema are specified by element type and typeinfo type, which include the part of the definitions of XML Schema specif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