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서법(筮法)

검색결과 37건 처리시간 0.023초

근기남인(近畿南人)으로서의 성호(星湖) 이익(李瀷)의 역학사상(易學思想) - 「시괘고(蓍卦攷)」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I-Ching of Lee Ik(李瀷) as a Member of South Faction near Seoul - Centering around "Shiguakao(「蓍卦攷」))

  • 서근식
    • 한국철학논집
    • /
    • 제32호
    • /
    • pp.161-183
    • /
    • 2011
  • 성호(星湖) 이익(李瀷)의 학문은 포괄적이면서도 회의(懷疑)를 통한 자득(自得)을 중시한다. 그의 학문태도는 성호학파(星湖學派) 가운데에서도 모범적이었으며, 그의 제자들은 그를 본받기 위해 노력하였다. 성호학(星湖學)의 위대성은 그의 직후 바로 성호학파(星湖學派)가 성립됨으로써 드러났다. 성호(星湖)는 "주역(周易)"의 육화(六?)이 내괘(內卦)와 외괘(外卦)로 나뉘어 서로 보아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는 소옹(邵雍)의 방법과 같이 일화(一?)에서 육화(六?)까지가 연결된 것이 아니라 내괘(內卦) 삼화(三?)과 외괘(外卦) 삼화(三?)이 독립된 것임을 밝힌 것이다. 성호(星湖)는 서법(筮法)과 변효(變爻)에 있어서도 주자(朱子)의 서법(筮法)이나 "역학계몽(易學啓蒙)" "고변점(考變占)"에 대해 의문을 제기한 것이 많다. 서법(筮法)에서는 주자(朱子)의 "서의(筮儀)"와는 다른 서법(筮法)을 제시함으로써 후에 다산(茶山)이 새로운 서법(筮法)인 '시괘법(蓍卦法)'을 제시하는데 일조한다. 성호(星湖)의 역학(易學)은 획기적으로 다름을 주장한 것은 아니다. 회의(懷疑)를 통한 자득(自得)이라는 그의 목표아래에서 이루어진 것이다. "시괘고(蓍卦攷)" 역시 마찬가지이다. 성호(星湖)의 역학(易學)은 후대에 다산(茶山)의 역학(易學)을 형성하는데 지대한 공헌을 했다고 하겠다.

주자(朱子) 『역학계몽(易學啓蒙)』의 체계적(體系的) 이해(理解) (The Systematic Understanding of Zhuzi's Yixueqimeng)

  • 서근식
    • 동양고전연구
    • /
    • 제43호
    • /
    • pp.233-258
    • /
    • 2011
  • 본 논문은 주자(朱子)의 "역학계몽(易學啓蒙)"에 관한 것이다. 주자역학(朱子易學)의 형성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차지하는 "역학계몽(易學啓蒙)"은 그 이후 30종의 연구서가 나온 것에 비하면 연구성과를 4편으로 매우 적다. 이 글은 朱子의 "역학계몽(易學啓蒙)"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서가 되고자 한다. 주자(朱子)는 "하도(河圖)"와 "낙서(洛書)"를 수용함으로써 "주역(周易)" 해석에 있어 상수역학(象數易學)의 의미를 다시 드러낸다. "주역(周易)"에 있어 의리역학(義理易學)은 왕필(王弼)의 '득의망상론(得意忘象論)'으로 해서 새로운 힘을 얻었듯이 주자(朱子)는 "역학계몽(易學啓蒙)"을 통해 상수역학(象數易學)의 의미를 되새기려고 하였다. "하도(河圖)"와 "낙서(洛書)"를 통해 "주역(周易)"을 해석함으로써 "하도(河圖)"와 "낙서(洛書)"는 없어서는 안 될 것이 되었다. 서법(筮法)에 있어서도 대연지수(大衍之數)를 "하도(河圖)"와 "낙서(洛書)"에서 도출시킴으로써 서법(筮法) 또한 "하도(河圖)"와 "낙서(洛書)"에 관계시킨다. 주자(朱子)는 이렇게 함으로써 대연지수(大衍之數) 역시 "하도(河圖)" "낙서(洛書)"와 연관시킨다. 또한, 건괘(乾卦)와 곤괘(坤卦)의 용구(用九) 용육(用六)을 여섯 효(爻)가 모두 변하였을 때 보는 점사(占辭)로 해석함으로써 역학사(易學史)에 커다란 공헌을 한다. 역학사(易學史)에서 주자(朱子)가 차지하는 비중은 왕필(王弼)이나 정이(程?)에 버금간다. 물론 헛되이 노력한 부분도 없지 않지만 주자(朱子)의 노력으로 "주역(周易)"을 해석하는 방법은 나날이 발전하게 된다.

범진과 사마광의 악(樂)·율(律) 논쟁 (A Debate of Fan-Jin(范鎭) and Sima-Guang(司馬光) about Le(樂) and Lu(律))

  • 주용성
    • 한국철학논집
    • /
    • 제56호
    • /
    • pp.119-149
    • /
    • 2018
  • 제왕의 정치에서 악(樂)은 중요하다. 북송 시대에도 악은 중요했다. 북송의 태조부터 악에 대한 제정 작업이 이루어진다. 5대 10국이란 혼란기를 겪은 탓인지 몰라도 북송시대에 악에 대한 개정 작업이 6번 이루어진다. 그 당시 인종시기부터 철종시기까지 악에 대한 연구를 했던 인물이 바로 범진이다. 그는 인종 때부터 악에 대한 상서를 올리고, 철종 때는 자신이 만든 악기 및 음악을 올리기까지 한다. 한편 범진과 더불어 악 율에 대해 논쟁했던 인물이 사마광이다. 둘 사이의 논쟁은 30여 년이 지속된다. 논쟁은 끝까지 합의점을 찾지 못한다. 범진은 도량형의 기준을 율(律)로 두며, 율의 기준을 황종(黃鍾)으로 본다. 반면에 사마광은 율의 기준을 도량형으로 본다. 범진은 당시에 통용되던 누서법(累黍法)과는 다른 적서법(積黍法)을 주장한다. 사마광은 당시에 통용되던 누서법을 주장하나 그것이 선왕(先王)의 법도는 아니라고 본다. 범진의 적서법은 기존의 도량형 기준을 정하는 방법과 다르다. 하지만, 그의 방법을 통해 얻은 도량형은 당시에 통용되던 제도들과 합치한다. 범진은 자신의 방법이야말로 올바른 방법이라고 확신한다. 그리고 그 방법을 통해서 선왕의 악을 구할 수 있다고 보았다. 범진은 또한 당시 남아 있던 문물들이 선왕시대의 문물이라고 생각한다. 그는 적서법을 통해 황종을 구하고, 황종을 통해 율을 구하고, 율을 통해서 악을 만들면, 선왕의 법도를 회복할 수 있다고 보았다. 반면에 사마광은 선왕의 도량형은 모두 없어졌다고 여기며, 선왕의 악 또한 없어졌다고 여긴다. 선왕의 악을 구할 수 있는 방법은 오직 중화(中和)를 얻는 것 밖에 없다. 그가 보기에 범진의 방법은 이미 틀린 것이다. 사마광은 틀린 방법으로 악을 구하는 것을 반대했다. 그는 범진의 방법으로는 그 당시의 악도 이룰 수 없는데, 선왕의 악은 더욱 찾을 수 없다고 본 것이다. 또한 범진은 중화를 할 수 있는 사람은 천자이며, 일반 사람들은 할 수 없다고 보는 반면, 사마광은 중화를 모든 사람 및 만물이 해야 하며 또한 벗어날 수 없는 것으로 본다. 논쟁의 핵심은 율과 중화다. 범진은 율을 악의 근본으로 보지만 사마광은 중화를 악의 근본으로 본다. 율은 유형의 법칙이고, 중화는 무형의 법칙이다. 둘 사이의 논쟁은 비록 일치점을 보지 못한 채 끝났지만, 유형과 무형의 법칙만들기의 대립이라는 측면에서, 당시 학자들의 견해차를 엿볼 수 있다. 아울러 이 논쟁을 통해서 북송 시대에 사마광을 중심으로 하는 중화 논의의 시작점도 짐작해 볼 수 있다.

영어의 서법 조동사 Will/Shall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nglish modal auxiliary Will/Shall)

  • 강문구
    • 영어어문교육
    • /
    • 제12권3호
    • /
    • pp.99-122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ain the meanings and uses of the English auxiliaries SHALL/WILL. The complexity of modern usage of SHALL/WILL has been one of the most disputable themes of traditional English grammar. The paper purported to address the study and analysis of diachronic and synchronic approach to the two auxiliaries. A general view of the figures of Fries'(1925) survey was added for further investig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se auxiliaries express some of various modal meanings associated with the volitional or emotional attitude of the speaker without implying futurity. The findings also suggested that the use of SHALL in present-day English is restricted to non-volitional future with the first person but the practice of this use is also diminished by the expansion of the use of WILL, and the original meaning of WILL, 'to desire or wish', has generally been replaced by other verbs or modal forms. But sentences which seem to indicate futurity are often tinged with modal senses. Therefore, WILL/SHALL should be considered to act either as tense auxiliary or as modal auxiliary depending on situational contexts in which it occurs.

  • PDF

오규일이 새긴 인장 완당예고의 융합 요소 분석 (Fusion Factor Analysis of Seal Wandangyego Engraved by Oh Gyuil)

  • 최준호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11호
    • /
    • pp.110-117
    • /
    • 2019
  • 본 연구는 오규일이 새긴 인장 완당예고의 융합적 요소를 분석하여 조선 시대 전각예술의 우수성을 널리 알리고자 했다. 완당예고의 외형을 다른 인장들과 비교했다. 완당예고에 담긴 서법 철학, 인문 완(阮), 당(堂), 예(隷), 고(古)의 구성, 오규일의 도법이 집중적으로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 완당예고는 세계 최대급 방형 인장이었고, 그의 스승 김정희의 서법 철학이 담겨 있었다. 오규일은 전각예술가였고 인장의 손잡이 제작전문가였다. 그는 '충도'와 '절도'를 적절하게 섞어 사용했고, 절묘한 동양의 황금비가 적용된 구성으로 동양예술의 사의적 감성을 자극했다. 실재 인장의 중요성이 제시되었고, 인장 완당예고가 세계적으로 걸출한 작품인 것도 방증했다. 본 연구 결과가 회화, 조각, 디자인에 담긴 융합 요소를 분석하는 데 새로운 연구 방법론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김정희가 사용한 명호 세 용정의 비교 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Three Dragon-man Nicknames Used by Kim Junghee)

  • 최준호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10호
    • /
    • pp.94-100
    • /
    • 2019
  • 본 연구는 김정희가 제주도 유배 전후 쓴 명호 세 용정의 용도, 의미, 서법 등을 분석하여 그의 서법의 우수성을 제시했다. 세 용정의 기본구조를 바탕으로, 시대 정황 등장인물 사이의 관계가 연구되었다. 그 변화 과정을 통해 다른 작품과의 예술공학적 차이가 비교 분석되었다. 김정희는 의도적으로 '용(龍)'이 들어가는 명호를 쓰며 어려운 상황을 헤쳐나갔다. 그는 주변 상황에 따라 명호 세 용정의 의미, 용도, 서체를 다르게 썼다. 결국, 김정희는 자신의 심정과 의도를 표현하기 위해 임금 헌종과 스님 초의에게 세 용정을 사용했다. 그의 필법은 예술공학적으로 뛰어났고 세계 유일무이했다. 모두 그의 금석학의 식견이 뒷받침되었음이 밝혀졌다. 본 연구 결과가 일반 예술가의 명호에 담긴 의미를 분석하는 데 새로운 연구방법론이 되길 기원한다.

한국어 피동문의 구조와 기능의 의미 (The Pattern of the Passive Construction in Korean and its Semantics)

  • 목정수;조수경;한선혜;김윤신;이정민
    •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학술대회논문집(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 /
    • 한국정보과학회언어공학연구회 2003년도 제15회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
    • /
    • pp.121-126
    • /
    • 2003
  • 한국어 피동구문에서 출현하는 '가형 성분'에 대해 어떤 통사적 기능을 부여할 것인가에 대한 논의는 조사 자체에 대한 인식과 밀접한 관련을 맺을 뿐만 아니라 한국어 구문 분석에 있어서도 매우 중요한 위를 차지한다. 본 고에서는 논리명제적 차원에 머무는 분석보다는 언어의 발화행위 차원을 고려하여 문장의 형식을 고려할 필요성을 제기하고, 문장을 조사와 어미를 중심으로 하여 인칭과 서법 요소들을 통해서 볼 때, 문장 성분에 대한 인식이 달라질 수 있음을 '피동동사'를 중심으로 제시했다.

  • PDF

유한요소법을 이용한 제트엔진 디스크의 초소성 단조공정설계 (Process Design in Superplastic Forging of a Jet Engine Disk by the Finite Element Method)

  • 이진희;강범수;김왕도
    • 대한기계학회논문집
    • /
    • 제18권4호
    • /
    • pp.876-886
    • /
    • 1994
  • Process design in superplastic forming to produce a Nickel-base jet engine disk has been carried out using the rigid-viscoplastic finite element method. This study aims at deriving systematic procedures in forging of superalloy engine disk, and develops a simple scheme to control strainrate within a range of superplastic deformation during the forging operation. The new process, a pancake type preform being used, is designed to have less manufacturing time, and more even distribution of effective strain in the final product, while the conventional superplastic forging of an engine disk has been produced from a cylindrical billet. The jet engine company, Pratt & Whitney, provided the basic information o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superplastic forging of a jet engine dis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