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생태 인식

Search Result 641,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Consumer's Awareness and Preference on Brand Shopping Bag Design's Eco-friendly Resource (세미나 - 브랜드 쇼핑백 디자인의 친환경적 소구에 대한 수용자 인식과 선호도)

  • Yang, Cho-San
    • The monthly packaging world
    • /
    • s.245
    • /
    • pp.98-112
    • /
    • 2013
  • 친환경 디자인이란 환경과 생태적 측면을 고려한 제반 디자인 활동이나 경향을 의미하며, 최근 많은 기업체에서 친환경 제품이나 서비스를 통해 일반 소비자들과 소통하는 중요한 분야로 인식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백화점 쇼핑백 디자인의 재활용 여부와 경험, 횟수, 관심도, 조형성 평가를 통해 주요 3개국(한국, 일본, 미국) 백화점 쇼핑백에 대한 일반소비자들의 친환경적 소구에 대한 인식과 선호도 연구결과를 조사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분석을 위해 연구범위를 주요 3개국 고급백화점으로 제한하였으며, 분석 대상업체의 개수를 한국 4업체, 일본 4업체, 미국 6업체 등 최종 3개국 14업체를 분석대상으로 선정하고 통계분석(spsswin18.O)하였다. 본 고는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통권 제24호에서 발췌했다.

  • PDF

A Survey on Trend and Factor Determining Positive and Negative Recognition for Big Data Tools (빅데이터 도구 트렌드 및 긍·부정적 인식 결정 요소 조사)

  • Lee, Myungjin;Koo, Jahwan;Kim, Ung-M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0.05a
    • /
    • pp.409-412
    • /
    • 2020
  • 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데이터의 규모와 형태의 다양성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많은 업계에서 빅데이터를 비즈니스와 사용자의 서비스 제공에 사용하고 있으며 데이터의 중요성 또한 커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빅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단계를 수집, 저장, 그리고 처리 및 분석 단계로 나눈 후, 단계별로 가장 높은 관심도를 가진 도구를 선정하고, 소프트웨어 리뷰 분석을 통해 긍부정 인식을 판단하며 인식 결정 요인을 조사한다. 이를 통해 다양한 빅데이터 생태계 속에서 사용자들이 관심을 많이 두고 있는 빅데이터 도구의 트렌드를 쉽게 파악하고 관련 빅데이터 도구를 선택하는 데에 도움을 줄 수 있다.

A Study on the Support Method for Activate Youth Start-ups in University for the Creation of a Start-up Ecosystem: Focused on the Case of Seoul City (지역 청년창업생태계 조성을 위한 대학의 지원방안 탐색: 서울시 사례를 중심으로)

  • Kim, In Sook;Yang, Ji Hee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17 no.4
    • /
    • pp.57-71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erception and demand of local youth and to find ways to support universities in order to create an youth start-up ecosystem. To this end, 509 young people living in Seoul were analyzed to recognize and demand young people in the region for youth start-ups, and to support universitie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young people's perception of youth start-ups in the region, the "Youth Start-up Program" was analyzed the highest in terms of the demand for regional programs by university. In addition, there was a high perception that the image of youth startups in the region was "challenging" and "good for changing times." Second, after analyzing the demand for support for youth start-ups in the region, it appeared in the order of mentoring, start-up education, and creation of start-up spaces. And it showed different needs for different ages. Third, the results were derived from analysis of the demand for university support for the creation of a regional youth start-up ecosystem, the criteria for selecting local youth start-up support organizations, and the period of participation in local youth start-up support.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bove research, the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of university support for the creation of a community of youth start-up ecosystem are as follows. First of all,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operate sustainable symbiosis mentoring programs focusing on university's infrastructure and regional symbiosis. Seco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utilize step-by-step systematic microlearning content based on the needs analysis of prospective youth start-ups. Third, it is necessary to form an open youth start-up base space for local residents in universities and link it with the start-up process inside and outside universi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establishing policies for supporting youth start-ups and establishing and operating strategies for supporting youth start-ups at universities.

Managerial Implications for Competitiveness Enhancement based on Perceptual Analysis of National Natural Heritages (자연유산 경쟁구조 분석과 관리적 시사점 -대학생 인식을 중심으로-)

  • Cho, Kyoung-shin;Um, Seo-ho
    • Korean Journal of Heritage: History & Science
    • /
    • v.46 no.3
    • /
    • pp.78-93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ollege students' perception of national natural heritages, including natural monumentsand scenic sites, in comparison with the similar concepts of national parks and eco-landscape preservation areas, to suggest managerial implications to enhance competitiveness. The first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measure their attitude toward traveling each type of natural heritage and to rate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e four types of heritages in terms of preservation. Natural monuments were perceived as the most strongly preserved type, while scenic sites were perceived as the least strongly preserved type. The second objective is to conduct a correspondence analysis to match the concepts of four types of natural heritages with 10 tourist attractions representing the types. It was found that college students have difficulty appropriately identifying the types of 10 tourist attractions. In addition, multi-dimensional scaling (MDS) was implemented to identify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the four types of natural heritages and to produce a positioning map matching the four types of natural heritages with the six attributes representing each type as a tourist attraction. Natural monuments were perceived very differently from scenic sites and not very differently from eco-landscape preservation areas. There were a few associations between the four types of natural heritages and the six tourism attributes, implying that little effort is made to promote and position each type of natural heritage in terms of tourism. In conclusion, a public awareness program is required to enhance the brand image of natural monuments and scenic sites in comparison to national parks and eco-landscape preservation areas. In addition, local residents who live near the natural heritages should be bolstered to play a managerial role as supporters and contents providers for sustainability.

A Policy Direction for Future River Management: Results of Expert and Citizen Recognition Survey (미래 하천관리를 위한 정책방향: 하천관리에 대한 시민과 전문가의 인식 조사 및 비교)

  • Kim, Ik-Jae;Lee, Seung-Soo;Kim, Ji-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7-8
    • /
    • 2020
  • 지속가능한 국가 발전을 위한 물관리 정책은 항상 국정 과제의 중심에 있다. 물관리는 수재해예방, 양질의 안정된 물이용, 충분한 식량생산, 수생태계와 물환경의 보호, 효과적 재정투자 등과 같이 다양한 분야에 계층적이면서도 상호연계성 있는 전문성을 요구한다. 동시에 물관리의 효과와 편익은 경제활동의 기반이 되고 환경보전의 원천이므로 정책의 수요는 정부뿐만 아니라 국민과 더불어 자연으로부터 기인한다. 특히 기후변화의 불확실성 또는 감염병 대발생과 국가적 위기에도 지속가능한 국가 발전을 이행하기 위해서는 시의성 있고 유효한 물관리 정책은 필수이다. 그동안 우리나라 물관리 정책의 세분화 또는 파편화는 물관리 전문성 강화의 효과보다는 비효율성의 결과를 더 크게 생산해 왔었다. 특히 부족한 협력과 조정은 과잉·중복 투자, 비일관적 정책, 비효율적 성과라는 왜곡된 통합물관리 정책 순환이 반복되게 하였다. 최근 정부는 국토교통부의 하천수량(홍수 포함) 및 광역상수도 관리 기능을 환경부로 이관하는 물관리일원화를 추진하여 통합물관리의 발판을 마련하는 계기를 달성하였다. 하지만 비록 정부조직법 개정과 물관리기본법 제정으로 통합물관리 정책의 틀은 마련되었으나, 국토교통부가 하천법 상의 일부 사무를 담당하므로서 하천관리 정책의 복잡성과 다원화는 높아졌다. 따라서 하천의 이용 및 관리에 관한 만족도, 관리주체, 미래상, 물관리일원화 후 정책수요, 기후변화에 관한 인식, 하천관리 참여 의향 등을 조사하는 연구는 시급한 실정이며 향후 하천기본계획, 생태하천복원사업, 소하천정비사업 등과 같은 재정사업의 추진 방향에도 매우 중요한 주제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와 미래 하천의 이용 및 관리, 그리고 정책방향에 대하여 일반 시민(4,500명)과 전문가(168명) 대상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인식의 공통점과 차이를 비교분석하였다. 설문조사의 내용은 3가지 부문(하천이용, 하천관리, 하천정책)으로 구분하여 각 부문별로 세부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일반 시민과 전문가 간의 인식조사 비교 결과, 공통적으로 시민과 전문가는 하천의 바람직한 미래상으로 '깨끗한 수질의 하천'을 가장 높게 선호하였다. 하천관리 우선순위를 묻는 질문에 대한 시민과 전문가의 응답도 대하천, 도랑이나 개울, 중하천, 소하천 순으로 동일하였지만, 1순위와 2순위의 격차는 시민(26.1%)보다 전문가(1.2%)가 낮았다. 또한 시민과 전문가는 하천관리의 주체로 '물전문기관'을 가장 높게 선호하였지만, 전문가는 '물전문기관' 다음으로 중앙부처(20.2%)를 선호하였지만, 시민은 중앙부처(6.8%)를 가장 선호하지 않는 하천관리 주체로 응답하여 두 집단 간의 큰 인식의 차이를 알 수 있었다. 물관리일원화 후 보다 큰 관심을 가져야할 정책으로는 '건강하고 깨끗한 수질'을 시민(38.9%)과 전문가(47.0%)는 1순위로 선택하였으나, 2순위는 시민은 '생태서식공간'(11.6%)을 전문가는 '안정적 수량확보'(20.2%)를 선택하여 두 집단의 인식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The Evaluation of Carbon Storage and Economic Value Assessment of Wetlands in the City of Seoul (서울시 습지지역의 탄소저장 및 경제적 가치 평가에 대한 연구)

  • Choi, Jiyoung;Oh Jongmin;Lee, Sangdon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v.8 no.2
    • /
    • pp.120-132
    • /
    • 2021
  • The ecosystem and landscape conservation areas of Seoul were designated according to the Natural Environment Conservation Act and the Natural Environment Conservation Ordinance. With the adoption of the "Rapid Assessment of Wetland Ecosystem Service (RAWES)" approach and the "wetland ecosystem service" for the Ramsar Wetland City Accreditation at the 13th Meeting of the Conference of the Contracting Parties to the Ramsar Convention on Wetlands in 2018, the need for data evaluating wetland ecosystem services has become a necessity. Therefore, in this study, we selected five wetlands from the ecosystem and landscape conservation areas in Seoul, having high ecological conservation values, and evaluated their carbon sequestration and economic value assessment using the InVEST model, which is an ecosystem service evaluation technique. The evaluation results for carbon storage in each wetland are as follows: Tancheon Wetland: 3,674.62 Mg; Bamseom Island in the Hangang River: 1,511.57 Mg; Godeok-dong Wetland: 5,007.21 Mg; Amsa-dong Wetland: 7,108.47 Mg; and Yeouido Wetland: 290.27 Mg. Particularly, the Tancheon Wetland showed the lowest carbon sequestration of 1,130.37 Mg, as compared to the results acquired in 2013, of 4,804.99 Mg. When the average effective carbon rate of $16.06 (US) was applied to the decreased carbon sequestration value, a loss of $15,910.58(US) was calculated. Furthermore, if the average social cost of carbon ($204 (US)) is considered, which includes the impact of climate change on productivity and ecosystems, the total loss is equivalent to $202,101.97 (US).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natural resource value of urban wetlands by evaluating selected major wetlands in Seoul. This study can be utilized as basic data to plan for the protection and management of the ecosystem and landscape conservation areas. Additionally, because wetland value assessment is considered essential,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in future research to provide measures for evaluating ecosystem services in the Ramsar Wetland City Certification System. Moreover, this study can be utilized for selecting important wetlands as Ramsar sites, and to raise awareness about the significance of conserving urban wetlands, and for expanding international exchange among the Ramsar Wetland sites.

Change of Fish Assemblage with Altered Flow Regime in Geum River (금강에서의 유량변동과 어류상 변화)

  • Seo, Jin-Won;Hong, Young-Pyo;Kim, Jeong-Kon;Park, Sang-Young;Kim, Gee-Hyoung;Ko, Ick-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612-616
    • /
    • 2007
  • 오랫동안 홍수조절, 용수공급, 전력생산, 레저 활동을 위해 건설된 댐들은 하천이나 호소의 생태적 기능보다는 치수 및 이수기능이 중요시되면서 운영 관리되어 왔다. 하지만 최근 들어 선진국을 중심으로 환경 및 생태의 중요성이 인식되면서 하천생태계 보호를 위한 환경유량 산정이 언급되고 있는데 이는 하천이 동 식물의 서식처로서 적절한 수질뿐만 아니라 수심, 유속, 하상재료, 먹이원, 어류를 보호할 수 있는 휴식 및 은신처 등의 다양한 조건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고 제시되고 있다. 이들 조건 중 유량(Flow)은 하천에서 생물집단을 구성하는데 있어 물리적 서식조건의 주요한 결정인자로 작용하는데, 댐 하류하천의 자연유량(natural flow)을 변화시키면 생태학적 측면에서 기대치 않던 영향을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댐 건설 전 후의 자연유량과 조절유량 사이에서 생태학적 어류조사연구를 통한 차이점을 찾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의 최종목적은 수계 내 댐 건설 전 후의 어류군집과 유량 등 수리조건과의 연관성을 분석하여 하천구간별로 어류생태에 적합한 유량을 산정하는 것이다. 조사대상 구간은 금강본류를 대상으로 하되 용담댐과 대청댐을 중심으로 하여 10개 구간을 선정하였고. 과거로부터 2000년도까지와 용담댐 건설후인 $2002{\sim}2004$년도에 조사된 어류생태자료를 활용하였다. 용담댐 상류로부터 대청댐 하류에 이르기까지 전 구간을 대상으로 조사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총 20과 82종이 출현하였고, 이중 종 45종(54.9%)이 잉어과에 해당하며 미꾸리과(6종), 동자개과(4종), 망둑어과(5종)를 제외한 대다수의 분류군(Family)들은 단일 또는 2종으로만 구성되었다. 이들 중 천연기념물 제 259호로 지정되어 법적으로 보호되고 있는 어름치(금강에서 서식한 어름치를 따로 천연기념물 238호로 지정함)를 비롯하여 다묵장어를 포함한 7종의 멸종위기종이 확인되었다. 또한 각시붕어 등 총 29종(39.4%)의 높은 한국고유종 출현과 6종의 외래도입종도 확인되었다. 금강의 중 상류에 해당하는 구역을 포함하는 대청댐 상 하류 구간에서 대청댐 건설 전(1980년 이전)을 포함하는 2000년 이전 조사 자료가 가장 다양한 어류상과 특이어종(멸종위기종 및 한국고유종)을 보였고, 최근자료$(2002{\sim}2004)$를 살펴볼 때 용담댐 상 하류에서보다 대청댐 상 하류에서 멸종위기종(7종$\rightarrow$1종) 및 한국고유종(28종$\rightarrow$16종)의 출현감소와 외래도입종의 출현증가(1종$\rightarrow$6종)와 같은 주요한 어류군집 변화를 보였다. 이는 댐 건설에 따라 주로 계류성 어종을 중심으로 정수역 구간에서 인근 지류로 이동하게 되고 일부는 제한된 서식공간과 하천교란으로 인해 개체군이 극감하거나 일부 소멸된 종이 발생하였을 것으로 사료된다. 실측 유량자료 분석에 의하면 홍수기 최대유량 변화는 크지 않으나, 갈수기 최소유량은 크게 증가한 것을 알 수 있었고, 대다수 어류의 산란기인 봄철(5월, 6월) 최소유량은 증가하였으나, 최대유량은 감소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어류생태계에 긍정적인 면과 부정적인 면이 있으며, 향후 이러한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선택어종(Target species)별 생태환경 서식조건을 확인할 수 있는 조사기법 및 자료구축이 절실히 필요한 실정이다.

  • PDF

Risk Assessment Tools for Invasive Alien Species in Japan and Europe (일본과 유럽의 침입외래생물 생태계위해성평가 기법)

  • Kil, Jihyon;Mun, Saeromi;Kim, Chang-Gi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v.2 no.3
    • /
    • pp.191-197
    • /
    • 2015
  • Invasive alien species are considered to be one of the main factors that cause biodiversity loss. Establishment of management strategies through continuous monitoring and risk assessment is a key element for invasive alien species management policy. In the present study, we introduce examples of ecological risk assessment tools developed in Japan, Germany-Austria and Belgium. Invasive alien species have been designated in Japan based on the assessment of risks to ecosystems, human health and primary industry. German-Austrian Black List Information System categorized alien species into Black List, White List and Grey List according to their risks to biodiversity. In the Harmonia Information System developed in Belgium, invasiveness, adverse impacts on native species and ecosystem functions and invasion stages were assessed and alien species were categorized into Black List, Watch List and Alert List. These international risk assessment tools may be helpful to improve our national risk assessment protocol for the prioritization of invasive alien species management.

Sustainability Evaluation of Ecotourism (생태관광의 지속가능성 평가에 관한 연구)

  • Chun, Joo-Hyung;Lim, Yeon-Woo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20 no.5
    • /
    • pp.448-455
    • /
    • 2019
  • Ecotourism, which is attracting attention as a method of sustainable tourism, is a tourism that aims to preserve the environment of the tourist area, to improve the participation and welfare of residents in the tourist area, and to improve the tourism experience and education. Ecotourism is a field that is developing at a faster rate than other areas of tourism. With the pace of growth, ecotourism faces new challenges for sustainability. This study focused on institutional sustainability in addition to economic, socio - cultural and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to assess the sustainability of ecotourism destina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 that institutional sustainability should be given priority for sustainability of ecotourism. Examples include the designation of protected areas, the establishment of ecotourism management entities, the regular investigation and research of academic purposes, the management of tourist visits and tourist information, the cooperation and participation of local residents, and the activities of commentators and managers. The attractiveness of ecological resources was also influenced by the access of tourists and the influence of local residents. Therefore, careful attention should be paid to the approach of tourists and the use of land by local residents in ecotourism. In the future, the operation of the visitor center, the professional education and mission of the interpreters' ecological resources, and the training and guidance of tourists by interpreters will be very helpful for the sustainability of the ecotourism destination.

A study on the components of the Metaverse ecosystem (메타버스 생태계 구성 요소에 관한 연구)

  • Jung, Sang Hee;Jeon, In-oh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20 no.2
    • /
    • pp.163-174
    • /
    • 2022
  • Despite the great interest in the metaverse from academia and industry, research so far has been focused on a specific area, and the background of the study is in the recognition that research is necessar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entire metaverse ecosystem.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rive the metaverse research framework and each component to stud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metaverse ecosystem, and to study the development stage of the metaverse ecosystem. From an academic point of view, the ecosystem components were derived through the Metaverse IDC-Platform, a framework for applying Michael Porter's diamond model to the metaverse. From a practical point of view, the four components of the metaverse ecosystem interact with each other in terms of metaverse application and development. As the basis of this study, it can be used strategically because it is possible to identify areas for reinforcement in academia and industry and provide basic data for insight by closely examining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each component. The contribution of research is that it has created a foundation for research that has been limited to specific areas from an ecosystem perspective, unlike bef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