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생태적 평가

Search Result 2,291,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Evaluation of Park Re-planning by Feasibility Study in Korea National Parks - Focusing on Area Adjustment of Hallyeohaesang National Park - (국립공원 타당성검토에 따른 공원재계획 평가 - 한려해상국립공원 구역조정을 중심으로 -)

  • Woo Cho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38 no.1
    • /
    • pp.79-89
    • /
    • 202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area adjustment criteria and methods of the feasibility study of national park plans by applying them to Hallyeohaesang National Park. As a result of the ecological-based assessment used to identify the adjustment target areas, the ecological-based assessment Grades I and II that can be considered for inclusion were analyzed as 10.0% and 40.4%, respectively. Grade V, which can be considered for release, was 9.9%. As a result of the inclusion and release suitability assessment, the area subject to inclusion was 35.150 km2 (3.669 km2 on land and 31.481 km2 at sea), and the area subject to release was 0.071 km2 on land. When local governments and residents request the release of a park area for public interest or convenience, the release can be considered as long as the total area does not change, which is called a mutual exchange. The release area determined by mutual exchange was 10.386 km2. It was 146 times the area determined by the suitability assessment for release. Matching the areas released by the mutual exchange with the ecological-based assessment, 70.6% (7.321 km2) was in Grades I and II, which can never be released. As a result, it was determined that the area adjustment of the feasibility study of Hallyeohaesang National Park was based on a very limited application of the results of the ecological-based assessment or the release suitability assessment. Also, mutual exchange was the key to area adjustment of the feasibility studies of national parks.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an evaluation system for the implementation of National Comprehensive Nonpoint Source Pollution Management Plan (비점오염원 관리 종합대책 이행평가체계 마련 연구)

  • Lee, Hyunji;Kang, Moon Seong;Kim, Jihye;Kim, Seok Hyeon;Kwak, Jihye;Kim, Sin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506-506
    • /
    • 2022
  • 비점오염원에서 배출되는 오염부하량(BOD, T-P)은 점오염원의 2배 이상을 차지하고 있어 비점오염원 관리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이에 비점오염원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전략 및 추진과제 마련을 위해 제1차('04-'11), 제2차('12-'20) 비점오염원 관리 종합대책(이하 종합대책)이 수립 및 이행되었다. 이어 2016년 물환경보전법 개정에 따라 종합대책의 수립이 법제화되고 지난 2020년 말 제3차 비점종합대책('21~'25)이 수립되었다. 제3차 비점종합대책은 수질개선이 체감되는 비점오염원 관리라는 비전을 가지며 도시, 농·축산, 산림, 관리기반의 4개 분야에 총 71개의 세부 추진과제를 제시하고 있다. T-P 비점오염배출부하량 5% 감축, 불투수율 감축, 비점오염관리지역개소 확대, 고랭지 흙탕물 관리지역 구역 확장, 지역 거버넌스 구축을 대책의 목표와 각 분야별 관리지표로 제시하고 있다. 물환경보전법 제53조의5와 동법 시행령 제75조의3에 따라 환경부장관은 매년 이행사항을 점검 및 평가하여 그 결과를 비점오염원 관리 정책의 수립 및 집행에 반영해야 한다. 지난 제1·2차 대책의 경우 성과 점검 및 관리를 위한 체계가 부재하여 사업의 실효성 확보에 한계가 있었으며 이에 따라 소관별 이행사항 점검 및 평가체계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종합대책 이행평가 전략 및 세부 추진체계를 마련하여 효율적인 소관별 이행사항 점검 및 평가를 도모하고자 하였다. 분야별 세부 추진과제는 매년, 대책의 목표와 각 분야별 관리지표는 대책 시행 후 5차년에 점검 및 평가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종합대책의 최종 목표 달성 시뮬레이션을 통해 5차년 이후 원활한 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에서 마련한 이행평가 체계를 통해 적절한 이행평가 및 효율적인 비점오염원 관리를 도모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Evaluation of Fish Habitat Condition Considering Dam Operations (댐운영을 고려한 어류서식환경 평가)

  • Park, Sang-Young;Kim, Jeong-Kon;Seo, Se-De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2038-2042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댐건설에 따른 유황 변동이 어류서식처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금강 수계를 대상으로 하천 생태환경 평가 도구인 RAP(River Analysis Package)를 사용하여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문헌조사와 어류 모니터링자료를 기반으로 대표어종을 선정하고 산란기 서식처 특성을 분석하였다. 시계열 서식처 활용성을 분석하기 위한 유량데이터는 KModSim모델을 이용하여 생성된 1984년부터 2006년까지 23년간의 유량자료를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산란기 어류의 서식처 조건은 성어기에 비하여 민감하고, 유황변화에 따라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하류하천의 생태적인 특성을 보다 세밀하게 고려한 저수지 운영방안을 마련하는데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Improving of Planning System for Sustainable Urban Development -Focus on Introducing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Planning- (지속가능한 도시개발사업 추진을 위한 계획시스템 개선방안 -환경생태계획 도입을 중심으로 -)

  • Choi, Hee-Sun;Kwan, Young-Hwan
    • Journal of Environmental Policy
    • /
    • v.8 no.3
    • /
    • pp.27-51
    • /
    • 2009
  • This study looked for ways to carry out development projects in a sustainable manner by generating improvement plans, and focused on reviewing the status and problems associated with the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planning that is currently applied to new town and large-scale development projects. Improved methods were suggested based on differences between urban development and housing development projects. Based on principles set for the introduction of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planning, the size of the projects subject to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planning was set. With regard to the procedural improvements for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planning, nine problems were singled out from the development planning phases. Solutions were suggested by separating the problems into the site and district designation phase, development planning phase, implementation planning phase, and post-management phase based on a literature review and the opinion of experts. In consideration of improvements to the planning system, the scope of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planning was set after looking at information related to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planning, literature review, expert interviews, and the relevance of related plans. The scope of the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planning was divided into the overview of planning,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conception, conception of spatial structure and framework, and urban environment regeneration and impact reduction plans. By synthesizing the above-described results, the functions of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planning, development planning, and environmental assessment and their inter-relations were defined. The defined inter-relations seem likely to be developed into a form that would enable sustainable land development.

  • PDF

Comparative Study on th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Items and Implementation on Golf Course Development Between Korea and China (골프장 조성사업에서의 환경영향평가 항목 및 운영에 관한 한·중 비교연구)

  • Choi, Jae-Yo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 /
    • v.7 no.4
    • /
    • pp.89-97
    • /
    • 2004
  • 동북아지역에서는 최근 산업화와 도시화로 인하여 많은 개발행위가 이루어져 왔으며, 그에 따라 개발과 환경적 결과와의 관계가 주목을 받기 시작했다. 선진국에서는 이미 이러한 관계에 있어 환경적요소가 의사결정단계에서부터 고려될 수 있도록 제도적 보완이 이루어져 왔으나 동 지역에서는 그간 이에 대한 대응이 미비했던 것이 사실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동 연구는 동북아지역에서의 환경영향평가의 비교를 통한 상호 제도의 이해증진을 위해 수행되었다. 특히, 본 연구의 목적은 골프장 조성사업에 대한 환경영향평가를 수행함에 있어 중점평가항목과 운영 측면에서의 양국간 환경영향평가를 비교함으로써 향후 양국간에 월경성 환경협력 기반을 마련하는데 있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첫째, 환경영향평가항목 측면에서 한국의 경우 지형 지질, 동 식물상, 토지이용, 수질, 토양, 소음 진동, 위락 경관, 교통 등8개의 중점평가 항목을 설정하여 다소 항목수가 많고 내용적으로는 체계와 형식을 중시하고 있는 반면, 중국의 경우에서는 지하수, 지표수, 생태계 등3개의 중점평가 항목을 설정하여 항목 수는 적으나 비교적 구체적이고 현실 상황을 잘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운영상 측면에서 한국의 골프장 환경영향평가서는 수질, 생태계 훼손 등을 강조하고 있는 반면, 중국은 도로사면 훼손, 경관, 수질 등에 초점을 두고 있어 양국의 골프장 조성에 있어 환경에 미치는 주요영향 요소선정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Microcosm Studies of Nanomaterials in Water and Soil Ecosystems (수생태 및 토양생태계에서 나노물질의 마이크로코즘 연구)

  • Yoon, Sung-Ji;An, Youn-Joo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 /
    • v.34 no.4
    • /
    • pp.288-294
    • /
    • 2012
  • The current growth of nano-industries has resulted in released nanoparticles entering into water and soil ecosystems via various direct or indirect routes.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nanoparticles differ from bulk materials, and nanomaterials influence the fates of nanoparticles and the interactions of living or non-living things in the environment. Microcosm analysis is a research methodology for revealing natural phenomena by mimicking part of an ecosystem under controlled conditions. Microcosm study allows for the integrated analysis of toxic effects and fates of nanoparticles in the ecosystem. Ecotoxicity studies of nanomaterials are steadily increasing, and microcosm studies of nanomaterials are currently beginning to surface. In this study, microcosm studies of nanomaterials in water and soil ecosystems were extensively investigated based on SCI(E) papers. We found that the microcosm studies have been reported in 12 instances, and mesocosm studies have been reported in only once until now. Advanced research was mostly evaluated at the microorganism level. But integrated analysis of nanotoxicity is required to research the interactions based of various species. Thus, our studies analysed the trend of microcosm studies on nanomaterials in water and soil ecosystems and suggested future directions of microcosm research of nanomaterials.

Cultural Ecology on the Village Fengshui (마을풍수의 문화생태 - 지리산권역의 마을을 사례로 -)

  • Choi, Won-Suk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17 no.3
    • /
    • pp.259-269
    • /
    • 2011
  • The meaning of fengshui was another cultural ecological environment in the pre-modern in Korea. Village residents made interrelations with village natural environment by the medium of the geomantic landscape. The functions of cultural ecology through the village fengshui are as follows: the spatial location, the population inflow, the regulation of the community's production or construction or land-use, the adjustment of the environmental carrying capacity, the environmental management, the forming of the collective environmental perception and attitude. Village fengshui is a cultural adaptation strategy to the local environment for the village residents. Fengshui can be evaluated as a traditional cultural ecological way and knowledge system for keeping sustainable village environment in East Asia.

  • PDF

Multiple-biometric Attributes of Biomarkers and Bioindicators for Evaluations of Aquatic Environment in an Urban Stream Ecosystem and the Multimetric Eco-Model (도심하천 생태계의 수환경 평가를 위한 생지표 바이오마커 및 바이오인디케이터 메트릭 속성 및 다변수 생태 모형)

  • Kang, Han-Il;Kang, Nami;An, Kwang-Guk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
    • v.22 no.6
    • /
    • pp.591-607
    • /
    • 2013
  • The objectives of the study were to evaluate the aquatic environment of an urban stream using various ecological parameters of biological biomarkers, physical habitat quality and chemical water quality and to develop a "Multimetric Eco-Model" ($M_m$-E Model) for the ecosystem evaluations. For the applications of the $M_m$-E model, three zones including the control zone ($C_Z$) of headwaters, transition zone ($T_Z$) of mid-stream and the impacted zone ($I_Z$) of downstream were designated and analyzed the seasonal variations of the model values. The biomarkers of DNA, based on the comet assay approach of single-cell gel electrophoresis (SCGE), were analyzed using the blood samples of Zacco platypus as a target species, and the parameters were used tail moment, tail DNA(%) and tail length (${\mu}m$) in the bioassay. The damages of DNA were evident in the impacted zone, but not in the control zone. The condition factor ($C_F$) as key indicators of the population evaluation indicator was analyzed along with the weight-length relation and individual abnormality. The four metrics of Qualitative Habitat Evaluation Index (QHEI) were added for the evaluations of physical habitat. In addition, the parameters of chemical water quality were used as eutrophic indicators of nitrogen (N) and phosphorus (P), chemical oxygen demand (COD) and conductivity. Overall, our results suggested that attributes of biomarkers and bioindicators in the impacted zone ($I_Z$) had sensitive response largely to the chemical stress (eutrophic indicators) and also partially to physical habitat quality, compared to the those in the control zone.

Long-term Prediction on the environmental flow and ecosystem habitat using ecosystem functions model considering future climate change (기후변화를 고려한 생태계기능 모델 기반 환경유량 산정 및 서식처 변화 전망)

  • Park, Seo-Yeon;Lee, Joo-He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10-10
    • /
    • 2021
  • 하천은 인간뿐만 아니라 다양한 생물이 서식하는 장소로 하천생태계 보전은 수많은 생물들에게 있어 중요한 요소이다. 1970년대의 국내 하천은 대부분 자연하천의 모습을 경제 성장과 더불어 도시화, 공업화 등으로 용수 수요가 급속히 증가함에 따라 기능 위주의 하천관리가 이루어졌으며, 이로 인해 하천유황의 장기적인 변화가 나타났다. 변화가 발생한 하천은 본래의 모습인 자연 하천으로 완벽하게 복원될 수 없다는 한계점이 있으나, 자연과 인간이 서로 유익하게 도움을 주는 양방향 관계로 발전한다면 하천의 기능도 유지하고 하천수생생물 보존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즉, 하천이 갖고 있는 하천공학적 기능을 최대한 유지하면서도 다양한 수생생물의 서식처의 기능도 되살아나게 해야하는 복합적인 목적을 갖고 있다. 하천 수생생물의 서식처 복원을 위해서는 하천생태계에 필요한 환경유량의 정량적인 평가와 확보방안 및 공급방안의 검토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HEC-EFM(Ecosystem Function Model)을 활용하여 하천 수생생물의 서식조건을 고려한 환경유량을 산정하였다. 연구 대상유역은 2013년 김천부항댐이 준공된 감천유역을 연구대상유역으로 선정하였으며, 댐 건설에 따른 환경유량의 변화와 기후변화를 고려한 가까운 미래의 수문환경 변화 및 이에 따른 환경유량과 하천생태계 서식처 변화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 PD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of Agricultural Water Facilities using LCA Technique (전과정평가(LCA)기법을 이용한 농업수리시설의 환경영향 분석)

  • Kim, Young-Deuk;Choi, Yo-Han;Kim, Hae-Do;Jo, Jin-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1656-1660
    • /
    • 2010
  • 저수지와 양수장은 우리나라에서 용수공급면적기준으로 전체 공급량의 78%를 차지하는 중요한 용수 공급시설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저수지와 양수장의 환경영향을 LCA기법을 이용해 비교 분석함으로써 두 시설들의 환경영향을 정량적으로 평가하는데 있다. 연구대상 수리시설로서 경기도 안성에 위치한 이동저수지와 은산양수장을 선정하여 각각에 대하여 농업수리시설의 전과정평가를 실시하였다. 평가를 위하여 네덜란드 Pre사가 개발한 소프트웨어 Simapro 7.1를 이용하였다. 두 시설에 대한 원료물질 취득 단계부터 건설, 운영, 유지관리 및 폐기단계까지 전과정의 환경영향을 분석한 결과, 두 종류의 시설 설치에 따른 토지이용, 상 하류의 생태적 영향 등이 고려되지 않았지만 저수지에 의한 농업용수 공급이 양수장에 의한 용수 공급보다 환경친화적이라고 볼 수 있다. 저수지의 경우 건설단계의 환경영향이 크고, 양수장의 경우, 운영단계에 환경영향이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단계별로 환경영향은 저수지는 건설단계에 건설재료 예를 들어 레미콘, 시멘트 등이 환경부하를 크게 발생시키기 때문이고, 양수장은 이용 단계에서 용수공급을 위한 전력사용에서 기인하는데, 이는 전력생산시 화석연료와 같은 자원소비가 많기 때문이다. 이번 연구는 토목시설물중 농업 용수 공급시설의 전과정에서 환경영향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는데 LCA가 활용되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향후 하드웨어적인 시설뿐만 아니라 농업용수 공급에 따른 전과정평가를 수행하고, 농업용수 LCI D/B 구축에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