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생태적 평가

Search Result 2,278, Processing Time 0.052 seconds

Pilot Evaluation for the Introduction of Ecosystem Accounting for Flood Control (홍수조절 생태계 계정 도입을 위한 전국 단위 시범 평가)

  • Tae-Ho Lee;Hee-Jin Moon;Gumsung Cheon;Jung-In Kim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
    • v.32 no.6
    • /
    • pp.488-502
    • /
    • 2023
  • Ecosystem service accounting must measure ecosystem supply functions, demand, and the actual service flows that occur between them. In order to measure flows, supply and demand relationships must be defined, and a methodology that can objectify complex connections is needed. Although various studies on ecosystem services have been conducted in Korea, but researches on accounting for ecosystem services are not enoug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flood control ecosystem services by applying the EU methodology studied in the Experimental Ecosystem Account (EEA) of System of Environmental Economy Account (SEEA) and explore ways to introduce ecosystem account. To conduct the study, the ecosystem's runoff retention potential, social and economic demand for flood control, and actual service benefit flows formed from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m were modeled and quantified on a spatial basis. As a result of calculating the actual flow of flood control ecosystem services, the total domestic service amount was calculated to be 165,595 (ha), and it was confirmed that much of it was concentrated in agricultural land. In order to account for domestic flood control services in the future, key spatial data such as land cover maps must be continuously established and managed, and researches on input data and methodologies applicable to various spatial scopes such as national, regional, and unit watersheds are expected to be necessary.

Analysis of Physical Habitat Variation of Zacco platypus by Installing Small Dam in the Stream (하도내 보 설치에 의한 피라미의 물리서식처 변화 분석)

  • Oh, Kuk-Ryul;Jeong, Sang-Man;Lee, Joo-He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491-495
    • /
    • 2009
  • 최근 하천의 환경 생태적인 기능의 중요성이 부각됨에 따라 하도 내 설치되어있는 보와 같은 하천횡단구조물은 하천의 환경과 생태계를 해치는 대표적인 수공구조물로 인식되어 가고 있다. 하지만 일부의 경우에는 보상류에 특수한 정수형 생태계가 나타나 생태적 가치를 증가시키는 경우도 있고, 수변공간 조성에 따른 친수성 증대의 효과도 있다. 따라서 보가 하천 상 하류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고 분석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행정중심복합도시 예정지역내에 위치한 제천유역 하류부에 보와 같은 하천횡단구조물이 존재하지 않는 구간을 선정하였고, 가상적으로 대상구간 중간에 보 설정 후 높이에 변화를 주었으며, 그에 따른 보의 상 하류 구간에서 피라미의 물리서식처 변화를 2차원 물리서식처 모의 모형인 River2D를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보의 상 하류 구간에서 피라미의 물리서식처 변화를 모의하였으며, 피라미의 물리서식처를 고려한 최적의 보 높이를 산정할 수 있었다.

  • PDF

Vegetation Structural Restoration Model for Naturalness of Robinia pseudo-acacia Forest in the Case of Korean National Capital Region (수도권 지역 아까시나무림의 식생구조의 자연성 복원 모델)

  • 강현경;방광장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15 no.2
    • /
    • pp.159-172
    • /
    • 2001
  • 본 연구는 수도권 지역의 아까시나무림을 중심으로 식물군집의 식생구조적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도시녹지의 자연성 복원을 위한 기초 자료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조사지역은 서울도심지역으로 중구 남산과 서대문구 안산, 서울외곽지역으로 은평구 봉산과 부천시, 성주산, 비도시지역으로 경기도 천마산을 선정하였다. 주요 연구분야는 생태적 특성과 복원모델로 구분하였가. 생태적 특성평가는 천이단계, 자연성 및 다층적 식생구조와 종다양성을 실시하였으며, 복원모델은 적정수종, 개체수, 흉고단면적, 수목간 최단거리를 선정하였다. 조사결과, 복원모델은 비도시지역 중 자연성이 높으며 다층구조를 이루고 있는 자생식물군집을 선정하였으며 적정식물은 교목성장 3종, 아교목성정 7종, 관목성장 16종, 주연부 수종 4종 초본식물 27종이 적절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향후, 아끼시나무림읜 자연성 복원을 위해서 자연림인 참나무류로의 천이를 유도할 수 있도록 자생종 중심의 생태적 복원방안의 모색이 이루어져할 것이다.

  • PDF

Study on the Biophysical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Streams - A Case of the Sand Streams in Kyonggi-Do District- (하천의 물리적 생태적 특성 연구 - 경기지방 모래하천의 사례 -)

  • Kim Hyea-Ju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19 no.3
    • /
    • pp.215-230
    • /
    • 2005
  • To analyze physical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sand streams, Cheongmi, Yanghwa and Bokha streams on the similar environment were Lnvestigated and estimated. According to the estimation results of physical structures, ecological properties of the Cheogmi and Yanghwa streams were classified as 'fair to good', and the Bokha stream was classified as 'fair'; commonly, the representing streams were comparatively active on meandering and accumulation; on the other hand, erosion was less active. As a result of the study for flora on this 3 streams, $Phaiaris\;arundinacfa\rightarrowPhragmites\;japonica\rightarrowPhragmites\;communis\rightarrowSalix\;koreensis\rightarrowFraxinus\;rhynchophylla\rightarrowRobinia\;pseudo-acacia-Acer$ ginnala communities were developed in order of being closest to the water shore. In case of benthic macroinvertebrates, Ephemera striga ta Eaton and Cajopteryx atrata Selys, usually inhabited in the uncontaminated water, were investigated as common species. Besides, Limnodrilus gotoi Hatai and Family Chironomidae sp. 1 were the common dominant benthic macroinvertebrates.

Evaluation of Water Quality Management of Estuarine Reservoir Based on Resilience Analysis Framework (회복탄력성 프레임워크 기반 담수호 수질 개선 방안 평가)

  • Hwang, Soonho;Jun, Sang Min;Kim, Seok Hyeon;Lee, Hyunji;Kwak, Jihye;Kang, Moon S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348-348
    • /
    • 2020
  • 우리나라 하구에 조성된 담수호의 수자원은 다양한 용수 목적에 맞게 활용하고 있으며, 수질 기준에 부합하는 용수를 공급하고 담수호 및 간척지의 친환경적 가치를 높이기 위해서는 담수호의 상류 유역 및 유입 오염물질, 그리고 담수호 수체 특성에 대한 종합적인 이해를 기반으로 수질 오염 관리 대책을 수립하는 것이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담수호 개선을 위한 방안의 선정 방식은 연평균 수질 농도를 기준으로 목표하고자 하는 수질 기준의 만족 여부에 대한 평가와 경제적 평가를 함께 고려하여 최적의사결정 기반으로 주로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기존의 평가 방법에서는 목표 수질의 만족 여부가 중요하다는 점에서 담수호 수자원의 시기별 활용성에 대한 고려를 간과하기 쉽다. 또한 담수호 수자원 시스템의 수질 악화에 대한 회복탄력성을 높이는 일은 단순히 유역관리대책의 적용에 따른 수질 개선 문제와는 별도로 담수호 수자원 시스템의 지속 가능성과 연관된다는 점에서 기존의 평가 방식을 보완하기 위한 수단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담수호 수자원 관리 방안을 평가하는 데 있어서 회복탄력성의 개념을 활용하였으며, 각 방안에 대한 시간적 변화에 따른 담수호의 회복탄력성 특징을 고려하기 위하여 동적 회복탄력성 개념 및 평가 방법을 도입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우선 기존의 수질 평가 방법에 따라 간월호를 대상으로 수질 개선 방안별 수질 변화를 SWAT-EFDC 연계모형을 통해 모의하고, 연평균 수질 농도와 총인 삭감량에 대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간월호의 지형학적 특성에 따라 간월호 상류 구간의 수질 농도가 다른 구간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상류 구역의 경우 준설 시나리오만으로는 목표 수질을 달성하기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상류 구역의 수질 목표 달성을 위해서는 준설 시나리오만으로는 한계가 있으므로 상류 유역 출구부에 위치한 하수처리시설의 총인 배출부하량을 삭감과 추가적인 유역 수질 관리 대책이 필요하다.

  • PDF

Conservation value assessment of newly discovered seven forest wetlands in the western part of the Korean Demilitarized Zone Ecoregion (서부 비무장지대 일원 미보고 산림습원의 특성 및 보전 가치 평가)

  • Kim, Jae Hyun;Park, Shinyeong;Lee, Myung Hwa;Rhee, Jiyeol;Kim, Yeong Jin;Hong, Young Chuel;Cheon, Jiyeon;Kim, Seung Ho;An, Jong-Bin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24 no.4
    • /
    • pp.268-287
    • /
    • 2022
  • This study reports newly discovered seven forest wetlands in the western part of the Korean Demilitarized Zone-Civilian Control Zone ecoregion. The wetland assessment criteria proposed by National Arboretum were adopted to evaluate four fields: vegetation and landscape, biogeochemical cycle, hydraulics and hydrology, and social-cultural-historical landscape and disturbances. Among seven wetlands located in Gimpo and Paju, five were of the fallow field type and two were of the natural type. A total of 474 plant species were recorded, including nine rare plants, such as the Carex capricornis Meinsh. ex Maxim. Three forest wetlands were sorted into A-grade, three into B-grade, and one into C-grade. Monitoring forest wetlands scattered across the border area ruled by military regulations can be challenging; still, as forest wetlands with high conservation value turned out, further investigations through remote sensing and cooperation by the relevant agencies will be required.

Techniques for Evaluation of Ecological and Aesthetic Aspects of Landscapes through GIS Overlay Method (생태경관다양성과 시각경관민감도를 적용한 GIS중첩평가 계획기법)

  • Jang, Rai-Ik;Lee, Myung-Woo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37 no.4
    • /
    • pp.22-31
    • /
    • 2009
  • In this study a landscape evaluation was carried out for the submission of a natural landscape conservation plan with the intention to prevent damage to natural landscapes through incautious exploitation. In the case of Korean landscape evaluation, in fact, only the aesthetic value of the landscape is evaluated as related to development projects but the ecological relevance of the landscape cannot be estimated by evaluating only the aesthetic. For that reason, this study performed a landscape evaluation, including the sensitivity limit of visible scenery and the diversity of ecological scenery. For the intention of landscape evaluation in the designation of an essential conservation area and for devising a plan related to this area, a GIS applied to Ian McHarg's map overlay method was used and both the ecological landscape diversity and the aesthetic value of the landscape was surveyed using this map overlay method. A region can be analyzed in relation to the needs for concentration of management in influence analysis of landscape effect ele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