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생태적관리계획

Search Result 410,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Planning of Narrow-mouth Frog (Kaloula borealis) Habitat Restoration Using Habitat Suitability Index (HSI) (서식처 적합성 지수 (HSI)를 활용한 맹꽁이 서식처 복원 계획)

  • Cho, Dong-Gil;Shim, Yun-Jin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v.3 no.1
    • /
    • pp.62-69
    • /
    • 2016
  • Narrow-mouth frog (Kaloula borealis) is the only amphibian species of genus Kaloula living in South Korea. They are designated and managed as endangered class II wildlife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Korea. Therefore, there is a desperate need of a habitat restoration study to prevent the extinction of narrow-mouth frog. This study is primarily for the purpose of presenting the direction and practical applications to restore damaged narrow-mouth frog habitats or to suggest alternative habitat options. The habitat suitability index (HSI) of narrow-mouth frog was applied to the research area in Mokpo City of Jeollanam-do Province, in order to present a new narrow-mouth frog habitat. We analyzed the research area based on historical contexts, ecological environment, ecology, and habitat requirements. The research area was divided into the core, buffer, and transition zones according to UNESCO MAB (Man and Biosphere) to establish local land-use plans. As for the foundation of the plan, we divided the habitat composition of the core, where narrow-mouth frog live in, into wetland (spawning area), grassland (shelter and feeding grounds), and forestland (feeding ground). We had a comparative analysis of habitat suitability in pre and post planning of narrow-mouth frog habitat restoration. For the validation study of habitat restoration plans, the future research should be on the composition of test-bed, continuous monitoring, and scientific habitat maintenance.

녹지네트워크계획을 위한 녹지유형구분의 한일비교 연구

  • 강명수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2003.11b
    • /
    • pp.82-84
    • /
    • 2003
  • 도시생태환경복원을 위한 녹지기본계획에서 취급되어질 수 있는 녹지유형 구분에 관한 한일비교연구로, 한국의 환경부, 서울시, 울산시의 계획과 일본의 동경도, 오사카부, 아오모리현, 효고현, 가나가와현, 요코하마시의 녹의 기본계획을 참고로, 녹지공간의 구분기준에 대한 고찰을 행하였다. 그 결과내용은 다음과 같다. 한국에서의 녹화공간의 구분은 녹지 공간배치를 중심으로하는 시점에서의 공간 구분을 행하고 있어, 공간 위계질서 체계를 구축함에 유용한 구분으로 되어있다. 이와 달리, 일본에서의 녹화 공간구분은 관련법규와의 연계성을 고려한 행정적인 시점에서의 공간 구분을 행하고 있어, 실현성 높은 공간 구분으로 행정적인 관리체계에까지 일괄적인 연계가 가능하도록 고려되어 있다. 또한, 도시공간의 동일한 지역구분을 하고 있으나, 그 지역 내의 특성을 살릴 수 있도록 세부지역을 구분하여 지역성을 남길 수 있는 유연성을 갖고 있다. 이와 같은 점을 종합적으로 검토한 결과. 비록 법적인 체계 정립이 미비한 한국이지만, 녹화의 계획적인 면보다는 행정적으로 실질성을 가질 수 있는 녹지계획의 관련법규 및 규제 등을 고려한 공간유형구분이 보다 유용하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 PDF

The Yellow Sea Ecoregion Conservation Project : the Present Situation and its Implications (황해생태지역 보전사업 추진현황 및 시사점)

  • Kim, Gwang Tae;Choi, Young Rae;Jang, Ji Young;Kim, Woong-Se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 & Energy
    • /
    • v.15 no.4
    • /
    • pp.337-348
    • /
    • 2012
  • The Yellow Sea Ecoregion Conservation Project is a joint international project which is carried out under the purposes of conserving the habitats in the Yellow Sea Ecoregion and biodiversity from various threats that damage ecosystems, informing the importance and value of the Yellow Sea Ecoregion, and promoting the understanding and interests of Korea, China and Japan. Subsequent to the Yellow Sea Ecoregion Planning Programme which had been performed during the period from 2002 to 2006, the Yellow Sea Ecoregion Support Project has been performed over 7 years in total from 2007 to 2014. Panasonic is sponsoring the financing of the project, and the organizations in charge of the project by country are Korea Institute of Ocean Science & Technology for Korea and World Wide Fund for Nature branches for China and Japan. While the Yellow Sea Ecoregion Planning Programme was focused on the biological assessment and the selection of potential priority area by scientific review, the Yellow Sea Ecoregion Support Project is oriented toward practical activities targeting more diversified stakeholder. Especially, this project plans to support direct conservation activities in the region and participation and cooperation from local residents. The project plan is comprised of 3 phases. During the first period from 2008 to 2009, small grant projects were operated targeting 16 institutions of Korea and China, and for the second period from 2010 to 2012, one place each was selected as demonstration site for habitat conservation in Korea and China respectively and supported for three years to introduce the conservation method based on international standards such as the management of marine protected areas, ecosystem-based management and community-based management and simultaneously to develop habitat conservation activities suitable for national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During the period from 2013 to 2014 which is the last phase, the project plans to distribute the performance of small grant projects and demonstration site activities through a series of forums among stakeholder. Through the activities described above, the recognition of general public on the conservation of the Yellow Sea Ecoregion was changed positively, and community-based management began to be reflected in the policies for the marine protected areas of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Study on the River Characteristics of the Hwang-Gang and the Gamcheon (하도특성 파악에 관한 연구(황강과 감천을 중심으로))

  • Jang Chang-Lae;Kim Jeongkon;Baek Seung-Hwan;Lee Kwang Man;Kim Woo-G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5.05b
    • /
    • pp.1259-1263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 유역의 황강과 감천의 하토특성을 조사하여 보았다. 황강은 15년 전에 상류에 합천댐이 건설되어 하류하천에 많은 변동을 가져왔으나, 감천은 상류에 감천댐을 개발할 예정이므로 두 하천의 하천 특성을 비교하여 향후 하천계획 및 관리를 하는 데 중요한 정보를 공하는데 있다. 황강과 감천은 중규모 영역구분을 수행하여 본 결과 모래로 구성된 망상하천이며, 또한 하상토 및 소류력을 분석하여 본 결과 부유사가 지배적인 하천으로 판단되었다. 이는 그동안 우리나라 하천 계획 및 관리를 하는 데 간과된 것이다. 감천에서는 현재 홍수터 및 사주에 식생이 크게 번성하지 못하고 있다. 하천에서의 식생의 관리는 치수관리 측면과 생태학적 측면에 균형을 맞추어 관리를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향후 이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 PDF

Estimation of Environmental Ecological Flow for the Aquatic Ecosystem Management in Urban Rivers (도시하천 수생태계 관리를 위한 환경생태유량 산정)

  • Kim, Keewook;Baek, Kyung Hoon;Kwon, Dong Woon;Kim, Jin Hee;Kang, Ji Y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467-467
    • /
    • 2022
  • 1990년대 후반부터 시작된 자연형 하천정비 사업은 기존의 수질보전정책 외에도 하천생태계에 대한 관심이 부각되는 계기로 작용하고 있다. 이 중 환경생태유량은 기존의 하천유지유량보다 확대된 개념으로 수생태계 건강성 회복을 위한 중요한 요소이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하천 수생태계 건강성 회복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 마련을 위해 부산의 대표적인 도시하천인 온천천과 학장천을 대상으로 환경생태유량을 산정하였다. 환경생태유량은 하천의 물리적 특성 및 어류·유량을 조사하는 하천현장조사, 서식지적합도지수 산정의 과정을 통해 산정된다. 온천천과 학장천에서 각각 3개의 대표지점을 선정하고 각 지점별로 2회의 현장조사를 통해 각 지점에서의 수심, 유속, 하상재료, 어류 조성을 조사하였다.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붕어와 참갈겨니를 대표어종으로 선정하고 Instream Flow and Aquatic Systems Group(IFASG, 1986)에서 제시한 방법을 이용하여 서식지적합도지수를 산정한 후, 미국지질조사국의 물리적서식지모의시스템(PHABSIM)을 이용하여 하천별, 어종별 환경생태유량을 산정하였다. 온천천의 경우, 붕어와 참갈겨니 모두 약 0.7~0.8m3/s에서 가용서식지면적이 가장 크게 산정되어 일 60,000~70,000m3 가량의 환경생태유량 공급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장천의 경우, 붕어는 약 0.6~0.7m3/s, 참갈겨니는 약 0.3~0.4m3/s에서 가용서식지면적이 가장 크게 산정되어, 각각 일 50,000~60,000m3, 25,000~35,000m3 가량의 환경생태유량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로부터 산정된 환경생태유량을 금번 관측유량 및 현재의 하천유지용수 공급계획량과 비교해보면 온천천에서는 일 15,000m3 이상, 학장천에서는 어종에 따라 일 7,000m3 이상의 추가유량 확보가 필요한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학장천의 경우, 어종에 따른 환경생태유량의 차이가 크게 나타나 하천 구간별 유량조사를 통해 어종별 주요 서식지 구간 설정 및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Watershed water circulation assessment using PSR framework (PSR framework를 이용한 유역 물순환 평가)

  • Kim, Seokhyeon;Kim, Sinae;Kim, Kyeung;Hwang, Soonho;Kim, Hakkwan;Kang, Moon-S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462-462
    • /
    • 2021
  • 최근 도시화 및 불투수면의 증가와 지하수의 과다한 사용으로 직접유출이 증가하고, 침투량이 감소하며, 하천의 건천화가 발생하고 있다. 이에 환경부에서는 이러한 물순환의 왜곡을 막기위해 물환경보전법상의 물순환율을 정의하고 물순환 관리목표를 설정하였다. 하지만 지역 별 물순환 특성을 반영한 관리계획이 부족하고, 현재 제한된 재원의 효율적 활용을 위해서는 물순환 관리지역에 대한 우선순위 결정도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PSR framework를 통해 유역 물순환 평가방법론을 만들고 이를 활용한 지역별 관리계획 및 우선순위를 결정하고자하였다. PSR framework는 지속가능성을 위해 OECD가 개발한 개념 모형이며, Pressure, State, Response 세 가지 요소로 구분해 평가하게된다. PSR framework의 기본 개념은 인간의 활동들이 환경에 압력 (P)를 주고, 이로 인해 자연의 질과 영향 (S)을 미치며, 이에대한 회복을 위해 인식과 행동을 통해 정책과 제도 등을 통해 반응 (R)한다는 것이다. 유역 물순환을 4가지 그룹 (기후, 수문학적, 사회경제학적, 환경적)으로 구분하고 각 그룹 별 평가요소에 대하여 도출하였다. 기후그룹은 강우, 수문학적 그룹은 증발산, 토지이용, 유출특성을, 사회경제학적 그룹은 재정, 사회구조, 기반시설, 정책을, 환경적 그룹은 수질, 수생태계를 선정하였다. 이후 각 요소 별 평가를 위해 다양한 지표를 고려하여 선정하였으며, 각 지표를 PSR framework에 맞춰 재분류하였다. 각 지표를 하나의 점수로 통합하기 위해 지표 별 가중치를 산정하였으며, 이때 연구자의 주관이 반영되지않는 엔트로피 기법을 이용하여 산정하였다. 구한 식을 통해 우리나라 소유역구분을 기준으로 모든 지표를 계산하였으며, 각 지표에 가중치를 적용해 유역 종합점수를 산정하고 유역 별 취약지역 및 취약요소를 평가하였다.

  • PDF

Healing Landscape Design for Hospital Outdoor Space - A Case of the K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in Changwon - (치유경관의 개념을 적용한 병원 옥외공간 조경설계 - 창원 경상대학교 병원을 사례로 -)

  • Min, Byoung-Wook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41 no.1
    • /
    • pp.82-92
    • /
    • 2013
  • This paper presents a landscape design proposal for the K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in Changwon, Kyeongsangnam-do. The site is located at 555 Samjeongja-dong, Seongsan-gu, Changwon, Kyeongsangnam-do, and its area is approximately $79,743.1m^2$. The goal of the design was to create a landscape that helps the patients' recovery and public well-being as well as respects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three design subjects were considered: maximizing the healing functions of the landscape, promoting ecologically regenerative landscape, and increasing the aesthetic value of the landscape based on the local context. For the healing aspect, first, therapeutic plants were carefully selected and various healing programs were introduced to the open space area such as the sensory garden, meditative space, the medicinal herb garden, outdoor acupressure treatment facilities, remedial playground etc. In addition, as the importance of patient's privacy is emphasized in research, the space and circulation patterns were divid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users. For ecological consideration, the design proposed to preserve and extend the existing ridgeline with pine forest, and recover the natural water system and recycle the water for the landscape management. For the aesthetic experience of the people, in contrast to the surrounding evergreen forest, diverse deciduous and flowering plants were introduced to arouse a sense of the season, and fruit bearing trees for wildlife to create a specific mood of being in nature so that people can listen to the songs of the birds and watch squirrels play etc. In addition, all the spaces and facilities were designed and placed according to universal design principles so that there would be no barrier for the patients to use them. Also, a sustainable management scheme was suggested to maintain the landscape in ecological and economical ways.

A technical framework for multi-functional river restoration (다차원 하천복원을 위한 기술적 프레임웍)

  • Kim, Ji-Sung;Kim, Kyu Ho;Hong, Il;Jeon, Ho S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95-95
    • /
    • 2018
  • 최근 하천관리 정책은 단편적인 홍수방어뿐만 아니라 맑은 물을 안전하게 확보하고 건강한 생태계가 유지되는 하천으로 관리하는 방향에 주안점을 두고 있다. 그러나 치수 목적의 하천관리 기술에 비하여 하천환경관리를 위한 기술은 요소기술 개발 및 적용으로 산재되어 있어, 체계가 정립되지 못하고 실무 적용에서도 활용에 한계가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치수, 이수, 하천환경 목적의 다차원 하천관리를 위하여 하천복원의 기술적 체계를 기술수준의 정도를 기준으로 단계별로 정립하였다. 첫 단계는 수문특성, 수리특성, 하상변동/유사특성, 생물/화학특성의 분석이다. 이 단계에서는 각 특성의 현황과 하천복원 방법에 따른 물리특성 변화를 분석하는 것이다. 다음 단계는 하천복원에 따른 정량적인 기대효과 분석이다. 수위저감 및 안정하도 확보, 수질개선, 생물서식처 효과분석 등이 수행된다. 마지막 단계는 하천복원 등의 관리계획에 의한 기대효과 전망이다. 사회경제적 가치, 생물종 다양성 확대가치 등이 분석항목에 포함된다. 각 단계에서는 계량 가능한 지표를 설정하여 계획의 성과를 비교한다. 제안된 다차원 하천복원 기술적 프레임웍을 통해 하천사업에 따른 물리, 생물, 사회, 경제 등 다양한 분야의 구조를 통합한 방법론을 제시함으로써 하도개선 위주의 획일적인 하천복원사업에 변화를 주고, 더 나아가 하천공간 복원 등 적극적인 하천복원사업이 활성화되길 기대한다.

  • PDF

Experimental Study on Stability of Eco-Stream High Water revetment (생태하천 고수호안의 안정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 Han, Eun-Jin;Hwang, Soo-Deok;Kim, Young-Do;Park, Jae-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1892-1896
    • /
    • 2010
  • 최근 들어 치수 기능만을 위한 공학적 효율 위주의 하천관리 정책에서 벗어나 하천의 환경적 기능의 개선을 위한 생태하천으로의 복원사업이 이루어지고 있다. 치수적 안정성 확보를 위해 기 설치된 콘크리트 호안을 철거하는 대신에 복토후 식생매트리스 공법을 통한 자연친화적인 하천공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홍수로 부터 제방을 보호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제방 사면에 호안을 설치한다. 설계 홍수량의 규모가 작거나, 상대적으로 규모가 작은 하천에는 호안이 설치되어 있지 않는 경우도 있지만, 국내는 하천계획의 수립시 호안을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자연친화적인 하천공법의 적절한 수리학적 기준이 제시되지 않아 홍수기 유실로 인한 경제적 손실이 자주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직선수로에 친환경적인 호안을 설치하여 실험을 통하여 하천의 안정성을 살펴보았다.

  • PDF

Landscape Evaluation Based on Ecological and Visual Characteristics of Moodeungsan Natural Park (생태 및 시각특성을 기초로 한 무등산도립공원의 경관평가)

  • 황국웅;이규완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12 no.1
    • /
    • pp.14-21
    • /
    • 1998
  • Landscape has two side, ecological structure and visual characteristics. And Landscape evaluation should be implemented from this viewpoint. In this study, landscape of the Moodeungsan natural park was evaluated based on ecological and visual characteristics, and the results was compared with the existing zoning. And it was recognized that the areas having high preserbability are located in the nature environmental zone. For the purpose of natural park management planning, in this study, rezoning method of natural park based on landscape evaluation is propos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