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생태계 교란

Search Result 370,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Analysis of Physical Disturbance according to Optimizing of Low-Flow Channel Width for Stable Channel Design and Physical Habitat Improvement (안정하도 설계와 어류서식처 개선을 위한 저수로 폭의 최적화에 따른 물리적 교란 분석)

  • Choi, Seung Je;Lee, Woong Hee;Choi, Heung 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290-290
    • /
    • 2017
  • 본 연구는 안정하도 설계를 위해 대상구간으로 원주천 16 km, 20개 횡단면에 대하여 SCAD(Stable Channel Analysis Design)를 이용한 안정하폭 평가를 실시하였다. 안정하폭은 하폭이 증가와 감소로 20%의 허용범위를 적용하였다. 안정하폭의 설계와 물리서식처의 개선을 위해 저수로 폭의 최적 설계를 제시하기 위해 유전자알고리즘을 이용하였다. 물리서식처 개선은 원주천의 하천환경조사와 어류의 군집특성을 이용하여 수중생태계를 대표 할 수 있는 복원 목표어종으로 참갈겨니를 선택하였다. 참갈겨니의 서식적합지수 (HSI, Habitat Suitability Index)를 사용한 서식 적합도 분석은 River2D 모형을 이용하였다. 그에 따라 안정하도 설계와 물리서식처의 개선을 위한 각 단면의 최적 저수로 폭을 제시하였다. 개선된 하천구조에 대한 물리적 교란개선 평가를 실시하였다. 대산구간을 40개 구간으로 분할하여 각 구간의 물리적 교란개선 평가를 수행하여 안정하도 설계와 물리서식처 개선을 위한 하천구조의 개선에 따른 물리적 교란 양상을 평가 분석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distribution of organic compounds, nitrogen, phosphorus and heavy metal in Ballast Water (밸러스트수내 유기물, 영양염류 및 중금속 농도 분포에 관한 연구)

  • Cheong, Kwang-Hyun;Ahn, Jong-Gil
    • Proceedings of KOSOMES biannual meeting
    • /
    • 2006.05a
    • /
    • pp.71-77
    • /
    • 2006
  • There is a growing concern about the damage to aquatic ecosystem caused by immigration of non-indigenous species. It is estimated that more than 10,000 million tons of ballast water is transported by shipping activities annually, and ballast water has been recognised as a major vector for the transplant of aquatic species across bio-geographical boundaries. The problem of harmful aquatic organism in ballast water for the control and management of ships' ballast water and sediments was adopted and diplomatic conference of IMO at February 2004. At once ballast water is transported by shipping activities for organic compounds, nitrogen, phosphorus and heavy metal etc. but, It's fixing a focus only for the transported of pathogenic bacteria and non-indigenous species. Hence, this studies on the distribution of organic compounds, nitrogen, phosphorus and heavy metal in ballast water during the shipping activity with the basic data which is necessary to the systemic manage of ballast water.

  • PDF

Habitat characteristics of exotic fish in Korean reservoirs (농업용 저수지 내 외래어종의 분포특성)

  • Son, Minwoo;Byun, Jis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512-512
    • /
    • 2016
  • 우리나라의 다양한 수계에서는 배스로 대표되는 외래어종의 유입에 따른 심각한 생태계 교란이 발생하고 있다. 외래어종은 활발한 먹이활동 및 영역다툼을 통해 우리나라 고유종의 섭취 및 경쟁 우위에 위치하고 있다는 것이 많은 보도를 통해 발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외래어종 중 배스(Large mouth bass)에 초점을 두고 동계 및 춘계의 서식처 특성을 살펴본다. 다양한 수계 중 갇혀있는 시스템으로 간주할 수 있는 농업용 저수지에 초점을 맞추고 현장조사를 실시한다. 하지만 현장조사 중 일부는 강과 같이 열린 서식처 공간도 포함하고 있다. 본 연구는 배스가 동면을 하지 않는 대신 수온에 큰 영향을 받으며 저수온기의 서식활동을 지속한다는 가정 하에 수온과 배스가 활동하는 영역의 상관성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조사는 국내 4개 지점 이상에서 이루어졌으며 수심 20 m 정도의 깊은 저수지에서부터 하수종말처리장에서 처리수가 유입되는 도시형 하천까지 포함한다. 이 중 수심 20 m 정도의 농업용 저수지에서는 7회 이상의 정밀 조사를 수행하여 수심별, 수온별 배스의 서식특성을 이해할 수 있도록 집중조사를 실시하였다. 현장조사 결과 배스는 $1-2^{\circ}C$의 수온차에도 민감하게 반응하며 서식처를 형성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수온의 평면적 분포는 서식처의 형성에 많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판단되며 수온 안정기인 동계의 경우는 수온 종분포에 따라 군락을 형성하며 서식층을 결정한다는 점도 유추된다. 4월 중순 이후의 춘계는 배스의 산란기로 종확산에 큰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시기이다. 이 시기 이후 하계에는 다시 부화한 개체가 독립적으로 서식처를 이동하는 또다른 종확산의 시기이다. 따라서 계절별에 따른 보다 면밀하고 지속적인 조사를 통해 4계절 순환에 따른 배스의 서식 특성 변화를 조사하는 과정이 필수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 PDF

Analysis of Temporal River Change Using Aerial Photographs and a GIS (항공사진과 GIS기반의 하천 시계열 분석)

  • Park, Eun-Ji;Kim, Kye-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8.10a
    • /
    • pp.7-12
    • /
    • 2008
  • 근래에 들어 급속한 산업화에 따라 하천 고유의 특성을 간과한 채 개발 위주의 하천 정비사업이 시행되고 있으며 이는 하천의 인공화 및 생태계의 교란 등 많은 문제점을 낳고 있다. 이에 따라 하천 및 하도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심각할 뿐만 아니라 홍수 피해 또한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지금까지의 치수 위주의 하천 정비를 벗어나 친환경적인 하천으로의 복원 사업이 필요한 실정이며, 이는 새로운 하천 관리 기술의 도입이 필요함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항공사진과 GIS기반의 하천 시계열 분석을 수행하여 새로운 하천 관리 기술 도입에 응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분석을 위하여 댐 하류의 하천교란 및 적응현장 시범지역을 선정한 후 대상 지역의 항공사진을 GIS화하여 하천 교란 실태를 분석하는 데에 필요한 저수로와 제방 및 기타 자료를 shape 파일 형태로 생성하였다. 생성된 자료를 바탕으로 하천의 사행도 및 유로 변동 현황 분석을 실시함에 따라 하천의 변화 양상을 확인하였으며 대상 하천의 사행도 및 저수의 구체적인 제반 수치를 제시할 수 있었다. 또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하천의 정비 및 복원 사업이 하천의 흐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 예측을 가능하게 하였다. 본 연구에서 규명된 경년별 하천 형태의 변화 추세와 하천 부지의 물리적 특성 변화 양상을 기본 자료로 한다면 하천 관리에 있어 수리 수문학적 분석이 용이하리라 사료된다. 향후 연구에서는 GIS기반의 하천 관리 방안 수립에 대한 심층 연구가 뒤따라야 할 것이다.

  • PDF

Detection of Forest Ecosystem Disturbance Using Satellite Images and ISODATA (위성영상과 자기조직화 분류기법을 이용한 산림생태계교란 탐지: 우박 피해지와 매미나방 피해지의 사례연구)

  • Kim, Daesun;Kim, Eun-Sook;Lim, Jong-Hwan;Lee, Yangwon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 /
    • v.36 no.5_1
    • /
    • pp.835-846
    • /
    • 2020
  • Recent severe climate changes and extreme weather events have caused the uncommon types of forest ecosystem disturbances such as hails and gypsy moths. This paper describes the analysis of the forest ecosystem disturbances using ISODATA (Iterative Self-organizing Data Analysis Technique Algorithm) with the RapidEye and Sentinel-2 images, regarding the cases of the hail damages in Hwasun in 2017 and the gypsy moth damages in the Chiak Mountain in 2020. In the case of hail damages, the comparison of the June image of this study and the July field survey of the previous study showed that the damage severity increased from June to July as the drought overlapped after the trees were injured by the hails. In the case of gypsy moths, significant leaf damages were found from the image of June, and the damages were mainly distributed at the low-altitude slope near Wonju City. We made sure that satellite remote sensing is a very effective method to detect various and unusual forest ecosystem disturbances caused by climate change. Also, it is expected that the Korean Medium Satellite for Agriculture and Forestry scheduled to launch in 2024 can be actively utilized to monitor such forest ecosystem disturbances.

A Study on the Flora and its Introduced Disturbing Plants in Damyang Area of Mudeungsan National Park, Korea (무등산국립공원 담양 지구의 식물상과 생태계교란 식물에 관한 연구)

  • Lee, Jong-Won;Lee, Suhong;Kang, Shin-Ho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 /
    • v.34 no.1
    • /
    • pp.103-113
    • /
    • 2021
  •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o find out the distribution of flora and remarkable plants and factors and management measures for influx of wild disturbed plants in the Damyang area of Mudeungsan National Park. The field survey was carried out 8 times from May 2019 to October 2020. First of all, in the Damyang area of Mudeungsan National Park, a total of 603 taxa in 107 families, 349 genera, 531 species, 57 varieties, 5 subspecies and 10 forms. This result was found to be about 12.33% of the total 4,881 taxa of vascular plants in Korea. In addition, Rare plants were classified as 15 taxa. Floristic special and Korean endemic plants were identified as 85 taxa and 13 taxa, respectively. Lastly, the naturalized plants that appeared in the Damyang area of Mudeungsan National Park were observed in 45 taxa with 45 species of 16 families and 36 genera. Moreover the naturalization rate was 7.46% and the urbanization index was calculated to be 14.01%. The wild disturbed plants were found in a total of 4 taxa. Especially, a sheep sorrel(Rumex acetosella) was focused on managing for physica and biological control at Sinseondae Eoksaepyungjeon.

Assessing the Impact of 'Marine Invasive and Harmful Species': A Semi-Quantitative Tool and Protocol for Environmental and Socio-Economic Evaluation ('해양교란유해종'의 영향 평가: 환경 및 사회경제적 평가를 위한 준정량 도구 및 프로토콜)

  • KWANG YOUNG KIM
    • The Sea: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 /
    • v.29 no.2
    • /
    • pp.116-138
    • /
    • 2024
  • This study presents a new tool and protocol to assess the impact of 'Marine Invasive and Harmful Species' (MIHS) on marine environments and socio-economic aspects. It addresses shortcomings in the Marine Ecosystems Conservation and Management Act in South Korea by proposing an impact assessment framework divided into marine environmental and socio-economic groups. Six distinct evaluation categories are included in each group, and a semi-quantitative five-step scale is utilized to provide a flexible approach, addressing a variety of issues from ecological disturbances to effects on health and property. The assessment tool is applied through a systematic five-stage process based on the Delphi method. This approach posters collaboration among a diverse sets of experts and stakeholders, enabling a comprehensive evaluation that incorporates various perspectives. The study also examines strategies to effectively manage uncertainties and improve the consistency of the outcomes. The application of this assessment protocol is expected to be crucial in quantifying the ecological damage caused by MIHS and in identifying management and prevention priorities. The ultimate aim of this evaluation process is to aid decision-makers in developing strategies to preserve the marine ecosystem and mitigate socio-economic impacts.

Ecosystem Diagnosis and Evaluations Using Various Stream Ecosystem Models (다양한 하천생태모델을 이용한 생태계 진단 및 평가)

  • Kim, Ja-Hyun;Lee, Eui-Haeng;An, Kwang-Guk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v.40 no.3
    • /
    • pp.370-378
    • /
    • 2007
  •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was to diagnose integrative ecological health in Bansuk Stream, one of the tributaries of Gap Stream, using the fish assemblage during July 2006${\sim}$April 2006. For this research, we selected six sampling sites and applied some approaches such as the Index of Biological Integrity (IBI), Qualitative Habitat Evaluation Index (QHEI), and necropsy-based Health Assessment Index (HAI). The stream health condition, based on the IBI values, averaged 24 (n= 18, range: $10{\sim}46$), indicating "poor${\sim}$fair" condition according to the criteria of US EPA (1993). Physical habitat condition, based on the QHEI, averaged 116 (n=6, range: $77{\sim}139$), indicating "fair${\sim}$good" condition. Values of IBI were more correlated with 3 metrics of instream cover ($M_1$, r=0.553, p=0.017, n=18), flow/velocity ($M_3$, r=0.627, p=0.005, n=18), and riffes/bends ($M_7$, r=0.631, p=0.005, n=18) than other metrics. Value of HAI in the control was zero (i.e., excellent condition), while the values in the T1 and T2 treatments were 5 (range: 0${\sim}$30) and 50 (range: 40${\sim}$80), respectively. The maximum values of IBI (46) were coincided with zero of HAI. Thus, these approaches seem to be a good tool for a diagnosis and evaluations of stream ecosystem health.

Assessing the impact of human activities on nitrogen and phosphorus emissions and stream water quality in Nakdong River basin (인간활동이 낙동강 유역의 질소, 인의 부하량과 하천 수질에 미치는 영향 평가)

  • Woo, Soyoung;Kim, Wonjin;Kim, Yongwon;Lee, Yonggwan;Kim, Seongj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49-49
    • /
    • 2022
  • 인구 증가, 도시화, 산업 발달, 교통량 증가 등의 다양한 인간활동은 기후변화와 더불어 자연의 고유한 환경을 변화시킴으로써, 기존에 평형을 유지하던 생태계를 교란시킨다. 인간활동으로 인해 물 이용량과 배출되는 오염물질이 증가하여 물 스트레스 수준은 높아지고, 수질오염은 더욱 심각해지고 있다. 우리나라는 1980년대부터 산업화, 도시화가 빠르게 진행되어 유역 환경을 변화시키며 하천 생태계가 악화되고 있다. 특히 낙동강 유역은 조류 발생과 그로 인한 심각한 부영양화 문제가 대두되는 유역으로, 유역에서 발생하고 하천으로 유입되는 질소와 인의 부하량의 관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하천 생태계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인간활동 중 농업, 축산과 같은 비점오염원, 하수종말처리장 등의 점오염원 그리고 대기 질소 침착으로 인한 낙동강 유역에서 발생하는 질소, 인의 부하량을 산정하였다. 그리고 하천 수질관측망 자료를 이용하여, 유역의 질소, 인 부하량 중 하천으로 유입되는 질소와 인의 부하량의 비율을 산정하여 각 오염원이 하천 수질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낙동강 유역의 7개의 주요 수계 내성천, 위천, 감천, 금호강, 남강, 황강, 밀양강을 대상으로 인구수, 토지이용 변화 등의 유역특성을 고려하여, 수계별 과거 1980년에서 현재까지의 부하량 트렌드를 분석하고, 주요 오염원을 추적하고자 한다.

  • PDF

Securing the Ecological Flow of Gam River through Basin Water Budget Analysis and Optimum Dam Operation (유역 물수지 분석과 댐 운영을 통한 감천의 생태유량 확보방안 연구)

  • Young-Jun Kim;Sang-Hyeok Park;Seo-Yeon Park;Joo-Heon Le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237-237
    • /
    • 2023
  • 하천에 흐르는 유량을 활용하기 위한 인간의 요구는 끊임없이 증대되고 있으며, 댐 건설과 같은 대형 구조물의 건설은 인간의 수자원 이용에 대한 편의성을 증가시켜주었으나 본래 자연하천이 갖는 생태적 기능을 상실하게 만들고 다양한 생태 및 환경적 문제점을 초래하였다. 특히 유황의 변화는 수생태계의 구조와 기능에 커다란 변화를 야기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하천의 이·치수적 기능을 유지하면서 인간과 자연이 더불어 살 수 있는 친환경적인 하천 조성을 위해 적정량의 생태유량 산정 방안에 대해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유역은 댐 건설로 인해 유황변화가 발생하며, 하천유지유량이 고시된 낙동강 지류하천인 감천유역을 대상으로 하였다. 감천의 생태계에 필요한 생태유량 확보 방안 마련을 위해서 1) 생태계 필요유량의 산정, 2) 유역 물수지모형 구축, 3) 적정 생태유량의 공급 및 확보방안 시나리오 마련의 순서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 번째, 생태유량 산정을 위해 수문학적 방법과 서식처 모의 방법을 활용하였다. 수문학적 방법은 Tennant, Aquatic Base Flow (ABF) 및 Smakthin 방법으로 생태유량을 산정하였고, 서식처 모의 방법으로는 서식처 모의 모델 중 2차원 수리해석이 가능한 River 2D를 활용하여 대상어종의 생태유량을 산정하였다. 두 번째, 유역 물수지 분석을 위해 K-WEAP 모델을 활용하여 감천유역의 물수지 모형을 구축하였으며, 김천부항댐의 방류량과 감천유역 하류에 위치한 구미시(선주교)의 유량과 비교를 통해 물수지 모델 결과를 검증하였다. 마지막으로 여덟 가지 생태유량 공급 시나리오를 감천유역의 물수지 모형에 적용하여 생태유량의 확보 방안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하천 생태계의 건강성 유지를 위해서 필요한 생태유량을 다양한 학술적 방법으로 산정하여 연구 대상하천에 적용 가능성을 평가하였으며, 향후 생태유량을 보다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산정된 생태유량을 확보하기 위한 물수지모델의 적용방안을 제시함으로써 하천 및 유역의 수자원관리에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