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생쥐 난소

Search Result 100,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Expression of Membrane-Type Matrix Metalloproteinase 1 and 2 in Mouse Oocytes, Embryos, Ovary and Oviduct (생쥐 난자와 배아 및 난소와 수란관의 Membrane-Type Matrix Metalloproteinase 1 및 2의 유전자 발현)

  • 김지영;이희진;김소라;김해권;강성구;이승재;조동제
    • Development and Reproduction
    • /
    • v.4 no.1
    • /
    • pp.45-52
    • /
    • 2000
  • Membrane type matrix metalloproteinases(MT-MMPs) have been suggested to play an important role during structural remodeling of various tissue. Expression patterns of MT1-MMP and MT2-MMP mRNAs were investigated in oocytes, embryos, ovary and oviduct of mouse during their differentiation or periovulatory period using RT-PCR technique. Both cDNA products of MT1- and MT2-MMP of immature oocytes were barely discernable with a minimum amount but the expressions were distinct in mature oocytes regardless that they were matured in vivo or in vitro. MT2-MMP was not expressed by 2-cell embryos but was expressed by 4-cell stage embryos. From the morula stage untill hatched blastocyst stage, embyos showed intesnse expression of MT2-MMP with a sudden increase at blastocyst stage. While mouse ovarian tissues showed both expression of MT1- and MT2-MMP, there was no stage-specific difference throughout the estrous cycle. Mouse oviducts also exhibit constant amount of both MT1- and MT2-MMP expressions throughout periovulatory period, i.e., before or after ovulation. These observations lead to suggest that the differential expressions of maternal MT1- and MT2-MMP during meiotic resumption of mouse oocytes and embryonic expression of MT2-MMP particularly at blastocyst stage might play a role in the differentiation of mouse oocytes and/or embryos. The precise function of MT1- and MT2-MMP with regards to their participation in the remodeling of ovarian and oviductal tissues remains in a question.

  • PDF

${\gamma}-ray$ Effects on Steroid Hormone Concentration of Mouse Ovarian Follicles (생쥐의 난소내 스테로이드호르몬 농도에 미치는 ${\gamma}$-선의 영향)

  • Lee, Young-Keun;Kim, Jin-Kyu;Yoon, Yong-Dal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v.19 no.3
    • /
    • pp.179-188
    • /
    • 1994
  • Mice were whole body irradiated with dose of 2.88Gy and 7.2Gy(Co-60) in order to observe the morphological and functional changes in radio sensitive mouse ovary. Microtechnical sectionates of $7{\mu}m$ thickness from ovary were made for light microscopy and concentrations of progesterone, testosterone and estradiol in ovarian homogenates were analyzed by radioimmunoassay. Gamma radiation resulted in the increase of atretic ratio of preantral and antral follicles, the increase of progesterone concentration in ovarian homogenates, and the low level of testosterone and estradiol. It is suggested that radiation protect the activity of $3{\beta}-HSD$(hydroxysteroid dehydrogenase) and isomerase in the follicular theca cell followed by low level of testosterone and estradiol and thereafter follicular atresia proceed.

  • PDF

Immunohistochemical Identification of $\beta$-Endorphin in the Mouse Ovary (생쥐의 난소의 $\beta$-Endorphin에 대한 면역조직화학적 동정)

  • 조사선;이영기;김경진;윤용달;이정주;조완규
    • The Korean Journal of Zoology
    • /
    • v.33 no.2
    • /
    • pp.152-157
    • /
    • 1990
  • The present study, using immunohistochemical procedure,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localization of immunostainable $\beta$-endorphin cells in the mouse ovarian tissues. Mature female mice were perfused with 4% neutral buffered paraformaldehyde under anesthesia and then frozen-sections were immunostained with anti $\beta$-endorphin antiserum according to ABC technique. Immunoreactive $\beta$-endorphin was found in the luteal cells of corpus lutea, but not in the thecal cells. More strong immunostaining signak were observed in large corpus luteum, in particular, the regressing luteal cells. Primary and secondary follicles did not show any immunoreactivity of $\beta$-endorphin, but granulosa cells lining the antral cavity of large antral follicles contained immunoreactive $\beta$-endorphin.

  • PDF

방사선 조사된 생쥐 난포의 면역조직화학적 연구

  • 김진규;이창주;이영근;송강원;윤용달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8.05b
    • /
    • pp.697-702
    • /
    • 1998
  • 방사선에 의해 유발되는 난소내 난포의 폐쇄가 apoptosis를 매개로 하여 일어나는지 조사하고자 면역조직화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미성숙 생쥐 (3주, ICR)에 감마선을 조사하였으며, 조직절편을 제작한 후 TUNEL 방법에 의한 in situ 3'end labelling 면역조직화학 염색을 실시하였다. 전반적인 난소의 상태를 파악하고자, 일반적인 hematoxylin-eosin(HE) 염색을 실시하여 대조하였다. 면역조직화학 염색은 apoptosis가 일어난 난포를 시각적으로 구분해낼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임이 실험적으로 확인되었다. ApopTeg/HE 비율을 볼 때, R군은 6h에서 12h 에 높은 값을 보였고, 8d군에서 다시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으며 이같은 결과는 실험동물의 난소내 과립세포의 apoptosis가 방사선 조사후 6시간부터 일어나기 시작하여 점차 증가된다는 사실을 나타낸 것이다. 결론적으로 방사선에 의한 난포의 폐쇄는 과립세포의 apoptosis를 매개로 하여 일어남을 알았다.

  • PDF

생쥐 난포의 radiation apoptosis에 미치는 FSH의 영향

  • 김진규;이창주;이영근;장화형;김원록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8.05b
    • /
    • pp.730-734
    • /
    • 1998
  • 난포성숙호르몬(FSH)은 난소내 난포의 성장인자로 작용한다. 본 실험은 방사선 조사된 미성숙 생쥐의 난포 폐쇄가 ESH에 의해 억제되는지를 확인하는 한편 방사선어제 개발을 위한 실험모델로서의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PCNA 에 의한 염색의 정도는 FSH군의 경우, 1이에 최저, 12시간과 8일에 가장 많이 염색되었으며, 방사선을 조사한 후 ESH를 주사한 경우, PCNA에 의한 염색용은 6시간 경과시어 제일 낮게 나타나고 이후 증가하는 경향성을 보였다. 즉, FSH는 방사선에 피폭된 난소내 난포외 apoptosis를 지연시키는 효과를 갖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 특정물질의 방사선방어효능 평가를 위한 실험모델로서 난소내 난포를 활용할 수 있으며 특히 FSH가 나타내는 난포폐쇄 억제효과도 방사선방어제 개발을 위한 실험연구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Studies on Mammalian Homolog and Flanking Sequence of Mouse MT Transposon-like Element, Clone MTi7(MTi7) (생쥐의 MT Transposon-like Element, Clone MTi7(MTi7) 유전자의 포유류 Homolog 및 Flanking Sequence에 대한 연구)

  • Kim Young-Hoon;Ko Minsu;Woo Dae-Gyun;Choi Donchan;Lee Kyung-Ah
    • Development and Reproduction
    • /
    • v.7 no.2
    • /
    • pp.119-126
    • /
    • 2003
  • In the previous study, we obtained list of differentially expressed genes between postnatal day 1 and day 5 mouse ovaries using suppression subtractive hybridization(SSH) and found that MT Oansposon-like element, clone MTi7(MTi7) was one of the highly expressed genes in the day 5 mouse ovary(Park et at., 2002). Results of in situ hybridization and RNA interference revealed that the expression of MTi7 is oocyte-specific in the ovary and may be involved in the regulation of oocyte maturation(Park et at., 2003). At present, MTi7 sequence has been known only in the mouse. Therefore, the present study was accomplished 1) to identify MTi7 sequence in the other mammalian species, such as bovine, porcine, rat, and human, and 2) to evaluate the flanking sequence of the mouse MTi7 since it has transposon characteristics. Using ovarian cDNAs derived from low different species, we cloned and identified new MTi7 sequence showing a high degree of sequence homology with the mouse MTi7(87∼98%). By using inverse PCR, we found that the mouse MTi7 may intercalated the beta-carotene 15, 15'-monooxygenase(Bcdo) gene and/or serine protease inhibitor, Kunitz Dpe I(Spint 1) gene. By finding the MTi7 sequences in the other mammalian species and the flanking gene of the MTi7 in mouse, it is expected to reveal the role(s) of MTi7 in the oogenesis as well as folliculogenesis in the near future.

  • PDF

Bisphenol A의 투여가 생쥐의 번식효율에 미치는 영향

  • 박동헌;최영진;정희태;박춘근;김정익;양부근
    • Proceedings of the KSAR Conference
    • /
    • 2001.03a
    • /
    • pp.9-9
    • /
    • 2001
  • 내분비계 장애물질 중 관찰물질로 지정된 bisphenol A(BPA)의 투여가 생쥐의 번식 효율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웅성 ICR 생쥐에 무처리구, corn oil, 0.05, 0.5 및 5.0mg BPA/kg b.w의 BPA을 3일 간격으로 5회 투여했으며, 자성 ICR 생쥐도 웅성생쥐와 동일하게 3일 간격으로 5회 투여한 후, 웅성은 투여후 2일, 자성은 7일후에 모든검사를 실시하였다. BPA의 투여가 웅성 생쥐의 번식기관무게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는 체중, 정소상체, 정낭선 및 응고선의 무게는 투여구간에 커다란 차이가 없었으며(P>0.05), 정소의 무게는 5.0mg 투여구가 여타구보다 다소 낮은 무게를 나타냈다. BPA의 투여가 웅성 생쥐의 정액성상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생존율과 유효 정자수는 각 투여구간에 커다란 차이가 없었으나 총정자수는 각각 35.50, 35.73, 36.33, 33.13 및 29.28$\times$$10^{7}$ 정자/$m\ell$로서 5.0mg 투여구가 여타구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은 결과을 나타냈다(P<0.05). 기형율은 5.0mg 투여구가 23.15%로서 무처리구(18.13%), 대조구(18.58%) 및 0.05mg 투여구(19.68%)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기형율을 나타냈다(P<0.05). 웅성 생쥐에 BPA의 투여가 혈액의 일반성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RBC, Hb, HT, MCV, MCH 및 MCHC는 각 투여구간에 차이가 없었으며, WBC는 BPA 투여구가 무처리구 및 대조구보다 다소 낮은 수치를 나타냈으며, PLT는 BPA 투여구가 무처리구 및 대조구보다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 BPA의 투여가 자성 생쥐의 번식기관무게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체중은 투여구간에 커다란 차이가 없었으며 자궁의 무게는 BPA 투여구가 대조구에 비해 다소 논은 무게를 나타냈다. 오른쪽 난소의 무게는 0.5mg 투여구와 5.0mg 투여구가 각각 0.0059 및 0.0061g으로 대조구(0.0081g)와 0.05mg 투여구(0.0071g)보다 낮은 무게를 나타냈으며, 왼쪽 난소의 무게는 각각 0.0076, 0.0076, 0.0058 및 0.0061g으로 0.5mg 투여구가 대조구와 0.05mg 투여구보다 낮은 무게를 나타냈다(P<0.05). BPA의 투여가 자성 생쥐의 혈구화학치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RBC, Hb, HT, MCV, MCH 및 MCHC는 각 투여구간에 차이가 없었으며, WBC는 BPA 투여구가 대조구보다 다소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 PLT는 0.5mg 투여구와 5.0mg 투여구가 대조구보다 다소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 정소, 난소 및 자궁의 조직, 병리학적인 검사에서는 모든 투여구간에 커다란 차이가 없었다.

  • PDF

난소를 제거한 생쥐 자궁조직에서 ADAM-8, -9, -10, -12, -15, -17, -TS1의 발현

  • 김지영;배인희;이승재;최영민;김해권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evelopmental Biology Conference
    • /
    • 2003.10a
    • /
    • pp.59-59
    • /
    • 2003
  • ADAM은 metalloprotease/disintegrin domain을 가진 transmembrane glycoprotein으로서 지금까지 30종류 이상의 ADAM 및 10종류 이상의 ADAM-TS 단백질이 알려져 있다. 이들의 기능은 포유동물의 수정 시 sperm-egg binding과 fusion, myoblast fusion, integrin과의 결합 등에 직접 관여하거나, TNF-alpha 등의 생체신호전달물질이 세포로부터 분비될 때에 이들의 구조를 변화시켜 활성화시키는 효소로서의 작용, 그리고 dendritic cell differentiation 등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난소가 제거된 생쥐를 이용하여 자궁조직의 ADAM-8, -9, -10, -12, -15, -17 그리고 -TS1의 gene의 발현이 $17 \beta $-estradiol에 의하여 조절되는 지를 알아보았다. 생후 6 - 8주 된 암컷 생쥐의 난소를 제거하고, 2 주 후에 $17 \beta $-estradiol ($E_2$), progesterone ($P_4$) 혹은 이 둘 혼합액 ($E_2 + P_4$)을 sesame oil에 녹여 근육주사하였다. 2, 6, 12 시간 후 각각 자궁 조직을 얻고 유전자의 발현 양상을 알아보기 위하여 시료로부터 total RNA을 추출하여 역전사 중합효소반응 (RT-PCR)을 실시하였다. Densitometry를 이용, rpL7에 대한 ADAMS의 mRNA 발현 양을 상대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ADAM-8과 -15는 6시간째에서, ADAM-10과 -TS1은 2시간째에서 sesame oil을 주사하거나 $P_4$만을 주사한 군보다 E$_2$를 주사한 군에서 mRNA의 양이 현저하게 증가하였고 ADAM-12는 2시간째에서 ADAM-17은 12시간째에서 sesame oil을 주사하거나 $P_$만을 주사한 군보다 E$_2$를 주사한 군에서 mRNA의 양이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로 미루어 ADAM-8, -10, -15 그리고 TS1은 progesterone에 의하여, ADAM-12와 17은 $17 \beta $-estradiol에 의하여 유전자의 발현이 upregulation 되는 것으로 생각되어진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