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생장 환경 예측

Search Result 86,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Design Case on Data Collection System for the GreenHouse Horticultural Crops Growth Forecasting Model (시설 원예작물 생장예측모델을 위한 데이터 수집 시스템 설계사례)

  • Ahn, Sung-Chul;Kim, Hee-Sung;Kwon, Hye-Eu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2.11a
    • /
    • pp.1212-1214
    • /
    • 2012
  • 생장예측모델이란 작물의 생장 시스템 내에서 일어나는 기작이나 생산과정을 수식으로 묘사하는 것이다. 신뢰성 있는 생장예측모델을 만들기 위해서는 생장과 관련된 대량의 데이터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IT와 농업을 융합한 시설 원예작물 생장예측모델을 위한 생장 및 생장환경 데이터 수집 시스템 설계사례를 소개하고자 한다.

Development of Photosynthesis Efficiency Model in the Closed Plant Production System (폐쇄형 식물 생산시스템내의 광합성효율 모델 개발)

  • 김기성;김문기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Bio-Environment Control Conference
    • /
    • 2002.11a
    • /
    • pp.293-297
    • /
    • 2002
  • 폐쇄형 식물 생산 시스템에서 생산되는 식물은 생장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생장속도를 제어하거나 예측할 수 없어 수확적기를 놓치면 품질이 현저히 떨어져 상품성이 저하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식물생장기간 동안 식물에 따라 적절한 생장환경을 조성하여 생장정도를 균일하게 할 수 있는 최적 환경제어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폐쇄형 식물 생산시스템의 최적 환경제어를 위하여 엽록소형광분석법을 이용하여 상추를 중심으로 광합성효율 모델(photosynthesis efficiency model ; PEM)을 개발하였다. (중략)

  • PDF

Forecasting System Design for Tomato growth (토마토 중심의 생장 예측 시스템 설계)

  • Kwon, Hye-Eun;Kim, Hee-Sung;Kim, Jong-G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1.04a
    • /
    • pp.1054-1056
    • /
    • 2011
  • 플라스틱 시설원예는 자본과 시설이 요구되지만 제철이 아닐 때도 생산을 통해 생산자의 소득 증대에 기여하고 이는 생산자가 보다 높은 품질의 작물을 생산하는 유인이 된다. 이를 위해서는 재배되는 작물에 최적화된 생육환경을 제공해줄 필요가 있으며 현재까지의 생장데이터를 이용하여 미래의 생장상태를 예측하고, 부족한 부분을 보완해줄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토마토를 대상으로 플라스틱 시설원예 환경에서의 예측시스템을 설계한다. 동일한 토마토이지만 품종에 따라 생육환경이나 예측모델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다양한 예측모델이 필요에 따라 로딩되어 사용될 수 있도록 한다.

Predicting Plant Biological Environment Using Intelligent IoT (지능형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식물 생장 환경 예측)

  • Ko, Sujeong
    •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 /
    • v.19 no.7
    • /
    • pp.1423-1431
    • /
    • 2018
  • IoT(Internet of Things) is applied to technologies such as agriculture and dairy farming, making it possible to cultivate crops easily and easily in cities.In particular, IoT technology that intelligently judge and control the growth environment of cultivated crops in the agricultural field is being developed.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of predicting the growth environment of plants by learning the moisture supply cycle of plants using the intelligent object internet. The proposed system finds the moisture level of the soil moisture by mapping learning and finds the rules that require moisture supply based on the measured moisture level. Based on these rules, we predicted the moisture supply cycle and output it using media, so that it is convenient for users to use. In addition, in order to reduce the error of the value measured by the sensor, the information of each plant is exchanged with each other, so that the accuracy of the prediction is improved while compensating the value when there is an error. In order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growth environment prediction system,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in summer and winter and it was verified that the accuracy was high.

Effects of Photosynthetic rate of Hydroponically Grown Cucumber Plants as Affected by Light Intensity, Temperature, Carbon Dioxide and Leaf Nitrogen Content (일사량, 온도, 탄산가스 농도 및 엽중 질소농도가 양액재배 오이엽의 광합성율에 미치는 영향)

  • 임준택;김학진;정순주;이범선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Bio-Environment Control Conference
    • /
    • 1999.11a
    • /
    • pp.187-191
    • /
    • 1999
  • 식물의 호흡에 영향하는 환경요인은 총 광합성율에 영향하는 모든 요인을 들 수 있으며 뿌리의 호흡에는 근권환경요인 및 질소 흡수량과 같은 영양요인도 들 수 있다. 환경요인의 변화에 따른 식물의 생장 및 수량을 예측하는 식물생장모형의 개발은 식물의 생장이 광합성과 호흡에 의해 좌우되므로 환경요화의 변이에 따른 생육모형개발이 우선적이라 할 수 있다. (중략)

  • PDF

Optimal Planting Spacing on the Basis of the Growth Condition of Landscape Trees (조경수목의 생육환경을 고려한 적정 식재간격의 연구)

  • 이옥하;이경재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13 no.1
    • /
    • pp.34-48
    • /
    • 1999
  • 본 연구는 주요 조경수목에 대한 생장예측모델을 추정하여 적정 식재간격을 산정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조경식재에서 많이 사용되는 9개 수종을 대상으로 수종별 30주 이상씩의 개체를 선정한 후, 상관성이 높은 측정변수 간에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생장예측모델을 추정하였다. 그리고 서울 시내 2개 아파트단지 녹지를 사례연구지로 선정하여 생육상태를 파악하고 모델과 비교하였다. 전체적으로 교목층 위주의 식재로 인해 식재밀도가 과밀하여 수관이 왜곡되고 기형적으로 생장하는 현상이 발생하고 있는 바, 수관중복률과 수관왜곡률을 분석한 결과에 의하면 현재의 식재간격이 매우 조밀한 것으로 밝혀졌다. 결론적으로 시간경과에 따른 주요 조경수종의 규격별 생장예측을 통해 목표년도별 적정 식재간격을 제안하였는데, 목표년도를 식재 후 5년으로 본다면 상록교목은 2.0m, 낙엽교목은 3.0~4.0m, 낙엽아교목은 2.0~2.5m의 식재간격이 적당하고, 식재 후 10년을 목표년도로 한다면 상록교목의 경우 3.0m, 낙엽교목은 4.0~6.0m, 낙엽교목은 2.5~3.0m의 간격을 유지하여야 한다. 한편, 본 연구의 결과와 서울시 조례기준 식재밀도를 비교하였는데, 식재후 5년이 경과한 시점에서는 0.23본/m2, 10년 경과시점에서는 0.12본/m2이 적정 식재밀도로 밝혀져 현재 0.2본/m2으로 정하고 있는 서울시 교목식재 관련 기준은 5년 정도를 목표시점으로 한다면 적절한 수준임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식재 후 10년이 경과하면 수관중복률이 25%를 초과하게 되므로 쾌적한 녹지환경을 유지하기 위해 반드시 적절한 관리를 실시해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An Implementation of the management support service for agricultural environment using Smart Devices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의 농업환경관리 지원 서비스)

  • Kang, H.J.;Lee, J.W.;Kang, S.S.
    • Smart Media Journal
    • /
    • v.1 no.1
    • /
    • pp.42-47
    • /
    • 2012
  • With the development of RFID and USN technology, kinds of services are appeared and industrialized to maximize management, maintenance and efficiency of production. In the agricultural field, it is important to increase productivity and quality of food by managing growth environment of plants. In this paper, to apply IT technology to agriculture, we present a mobile service application called WiSEMobile which support growers to monitor and manage the information in the field from remote sites. By using the service with mobile devices, farmers can monitor the change of environment with data from sensor nodes, manage and exchange kinds of data gathered by farmers in the field.

  • PDF

Estimating Radial Growth Response of Major Tree Species using Climatic and Topographic Condition in South Korea (기후와 지형 조건을 반영한 우리나라 주요 수종의 반경 생장 반응 예측)

  • Choi, Komi;Kim, Moonil;Lee, Woo-Kyun;Gang, Hyeon-u;Chung, Dong-Jun;Ko, Eun-jin;Yun, Byung-Hyun;Kim, Chan-Hoe
    • Journal of Climate Change Research
    • /
    • v.5 no.2
    • /
    • pp.127-137
    • /
    • 2014
  •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tradial growth response and to predict the potential spatial distribution of major tree species(Pinus densiflora, Quercus mongolica, Quercus spp., Castanea crenata and Larix kaempferi) in South Korea, considering climate and topographic factors. To estimate radial growth response, $5^{th}$ National Forest Inventory data, Topographic Wetness Index (TWI) and climatic data such as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were used. Also, to predict the potential spatial distribution of major tree species, RCP 8.5 Scenario was applied. By our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rising temperature would have negative impacts on radial growth of Pinus densiflora, Castanea crenata and Larix kaempferi, and positive impacts on that of Quercus mongolica, Quercus spp.. Incremental precipitation would have positive effects on radial growth of Pinus densiflora and Quercus mongolica. When radial growth response considered by RCP 8.5 scenario, it was found that the radial growth of Pinus densiflora, Castanea crenata and Larix kaempferi would be more vulnerable than that of Quercus mongolica and Quercus spp. to temperature. According to the climate change scenario, Quercus spp. including Quercus mongolica would be expected to have greater abundance than its present status in South Korea. The result of this study would be helpful for understanding the impact of climatic factors on tree growth and for predicting the distribution of major tree species by climate change in South Korea.

Long-Term Monitoring of Climatic and Soil Factors, and Tree Growths in Worak Mountain Using Phytogram System (파이토그램을 이용한 월악산 기후요소, 토양환경 및 수목생장 장기간 모니터링)

  • 박원규;서정욱
    • The Korean Journal of Quaternary Research
    • /
    • v.14 no.2
    • /
    • pp.101-107
    • /
    • 2000
  • Using the phytogram system, this study monitored hourly environmental factors(climate and soil), and radial growths and cambium activities of conifers in Worak mountain for 28 months from May 1996 to October 1998 to examine the influences of climatic factors on tree growths/carnbium activities of conifers in Worak Mountain, Korea. The phytogram system first puts a fine electrode into cambial zone. This device can automatically record environmental factors and cambium electrochemistry(hydration and proton levels). Dendrometers are attached to the phytogram for monitoring seasonal dynamics of cambial growth. We compared the results of radial growth by species and by diameter class. The growth decreased in order of Larix leptolepis, Pinus densiflora and Pinus rigida. Pre-monsoon growths were fast and May-June moisture regime was the most critical for all species. In the middle of September, radial growths were finished. The proton level and stem diameter reached the minimum at 4 p.m. On the other hand, the hydration level reached the maximum at 4 p.m. This diurnal change resulted from transpiration and the release of water from phloem storage to sapwood through xylem stream.

  • PDF

A Study on water quality change by the water depth in Namgang Dam Algal Growth Area (남강댐 조류 생장 구간의 수심에 따른 수질 변화에 관한 연구)

  • Lee, Ho Soo;Lee, Jae Gwang;Kim, Young D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130-130
    • /
    • 2019
  • 최근 호내 조류문제가 심각해지고 있는 상황이다. 2017년도에는 남강댐의 조류경보 발령이 동절기인 12월까지 지속됨에 따라 지역 사회의 수질관리 불안이 커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호내 조류생장과 수심에 따라 수질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남강댐을 포함하고있는 남강댐 중권역은 경호강으로부터 남강댐까지 해당하며, 낙동강 전체 면적에 7.2%에 달하는 $2.293km^2$의 유역면적을 가지는 중권역이다. 남강댐 중권역에서 광역 및 지방을 포함하는 취수장이 총 10개 이며, 남강댐 중권역 내취수량의 95% 이상을 차지하는 남강 취수원과 진주 취수원이 남강댐 호소수에 의존하고 있으므로 남강댐 상수원의 수질 관리는 매우 중요하다. 그러므로 남강댐의 효과적인 수질관리를 위해 호내 조류 생장 구간의 특성을 파악하여 수질변화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남강댐 내의 조류 생장 구간인 오미천 유입부와 신풍리 지류 합류부 두 구간의 수심별 pH, DO, EC, 세포수, 클로로필을 측정하여 비교하였으며, 두 구간의 특성을 비교 분석 하였다. 본 연구는 조류 생장 구간인 두 지점의 특성을 파악에 비교 분석하며, 수심별 수질 변화를 예측하여 상수원으로 이용되고 있는 남강댐 호내의 수질관리에 필요한 선행 자료가 되고자 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