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생장 조절제

검색결과 336건 처리시간 0.032초

두채(豆菜)의 생육특성(生育特性)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Growing Characteristics of Soybean Sprout)

  • 김길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247-252
    • /
    • 1981
  • 두채(豆彩)의 기호도(嗜好度)와 생산수율(生産收率)을 향상(向上)시킬 수 있는 재배(栽培)기술(技術)의 확립(確立)을 위한 기초연구(基礎硏究)로 각(各) 품종별(品種別) 원두(原豆)를 침적(沈積) 및 재배시(栽培時) 생육특성(生育特性)을 조사(調査)하였다. 원두(原豆)를 $18^{\circ}C$에서 4시간(時間) 침전후(沈澱後) 수분흡수율(水分吸收率)은 $167.0{\sim}194.5%$ 범위(範圍)였는데 발원율(發源率)과는 큰 관계(關係)가 없었다. 7일(日) 재배(栽培) 후(後) 구예태(求禮太)가 생산수율(生産收率)이 가장 높고 생장조절제(生長調節劑) 처리시(處理時) giberellin 1 ppm 처리구(處理區)가 가장 높은 수율(收率)을 얻었다. 또한 대량생산시(大量生産時)에는 $25^{\circ}C$ 이상의 물로 수주(水柱)할 때 발생(發生)되는 두채(豆彩)의 변질(變質)을 막기 위해 지하수(地下水)로 직접수주(直接水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PDF

백작약 조다당분획에 의한 대식세포 활성화를 통한 암세포 증식 억제 (Inhibition of Tumor Growth through Macrophage Activation by Polysaccharide Fraction from Peonia japonica (PJ-P))

  • 박혜란;정우희;정일윤;이성태;조성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49-154
    • /
    • 2003
  • 백작약은 한의학에서 보기ㆍ보혈을 위한 탕제에 이용되는 구성 생약재 중의 하나로서 본 연구에서는 백작약이 면역세포를 활성화시켜 암세포의 생장을 억제할 수 있는 능력이 있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백작약 조다당분획(PJ-P)는 대식 세포를 활성화시켜 그 고유기능인 탐식 기능을 항진시켰다. 또한 암세포를 저해하는데 중요한 작용을 하는 NO와 TNF-$\alpha$, IL-1 그리고 IL-6의 분비를 향상시켰다. 이렇게 PJ-P에 의해 활성화된 대식 세포는 cytokine들과 NO를 생산함으로써 시험관 내에서 암세포를 살해하였으며, 또한 PJ-P는 암세포를 이식한 마우스의 생존기간을 연장시켰다 이같은 실험결과는 백작약의 조다당분획이 항암보조제 및 면역반응조절제로 활용될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녹두의 발아과정 중 $GA_3$ 및 ABA의 처리가 Peroxidase, Catalase 활성변화와 Isoperoxidase Pattern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A_3$ and ABA on Peroxidase and Catalase Activities and Isoperoxidase Patterns in Mung Bean Seedling)

  • 이상갑;박우철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1권2호
    • /
    • pp.205-210
    • /
    • 1988
  • 식물은 생장조절제에 의한 녹두의 부위별 peroxidase, catalase활성과 전기영동상 peroxidase 동위효소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녹두의 생육이 진행됨에 따라 하배축을 제외하고는 peroxidase 활성도는 증가하였으나 catalase 활성도는 감소하여 서로 상반된 결과를 나타내었다. 암발아시킨 녹두에 $GA_3$와 ABA를 각각 처리하면 peroxidase 활성도의 증가에 대하여 자엽에서만 $GA_3$가 ABA 보다 더 큰 영향 을 끼쳤으나 catalase 활성도 변화는 ABA가 $GA_3$ 보다 더 큰 영향을 끼쳐 모든 부위에서 활성도를 증가시켰다. $GA_3$와 ABA를 혼합하여 처리하면 효소활성도의 변화 경향은 $GA_3$보다 ABA에 더 큰 영향을 받았다. Peroxidase 동위효소의 수는 발아, 생육이 진행됨에 따라 모든 부위에서 계속 증가하여 활성도와는 무관하게 발아 후 6일째에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호르몬의 처리에 따른 동위효소의 변화는 동위효소의 수에 대해서 보다는 intensity에 대하여 더 큰 영향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옥잠화(Hosta)속 식물의 액아 발생에 미치는 BA 및 물리적 처리의 효과 (Effect of BA and Physical Treatment on Axillary Bud Emergence of Hosta spp.)

  • 안민실;이공준;최규환;이진재;박윤점
    • 화훼연구
    • /
    • 제16권2호
    • /
    • pp.143-148
    • /
    • 2008
  • 옥잠화속 식물 중 잎의 무늬가 다양하고 절엽 수명도 길어 절엽용 품종으로 적합한 'Ellerbroek', 'Francee', 'Halcyon'의 3품종을 대상으로 번식 효율을 높이기 위한 생장조절제인 BA 및 물리적 처리방법간의 액아발생 촉진 효과를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BA의 처리시기 및 농도별 액아 발생정도는 무처리에 비해 월등한 효과가 입증되지 않았다. 물리적 처리방법별 액아 발생 정도는 지상부 절단방법보다는 기부 상처가 더 효과적이었다. 'Ellerbroek'에서는 처리 방법 간에 액아 발생 증가 효과가 그다지 크지 않았으나 'Halcyon'에서는 무처리에 비해 기부 상처가 주당 4개의 액아수가 증가되었다. 또한 'Francee'에서는 액아 발생수가 BA처리나 지상부 절단 방법이 각각 주당 2개와 1.8개인데 반해 기부 상처시 주당 6.1개로 액아 발생 촉진 효과가 가장 뛰어났다.

생장조절제 처리에 따른 과수화상벙 저항성 사과대목의 기내 식물체 유도 (Induction on in vitro Plant Regeneration the Apple Rootstocks of Fire Blight Resistance by Plant Growth Regulators)

  • 권영희;최원일;김희규;김경옥;김주형;송용섭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21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3-23
    • /
    • 2021
  • Apple (Malus×domestica Borkh.; Rosaceae) is an important fruit crop grown mainly in temperate regions of the world. Tissue culture in vitro is a biotechnological technique that has been used to genetically improve cultivars (scions) and rootstocks. This could be important in the production of genetically uniform scions and rootstocks for commercial apple production. In nurseries, apple plants are produced by grafting scions onto rootstocks. The Cornell-Geneva (Geneva® series) breeding program has bred several dwarf rootstocks that are resistant to diseases and pests and are also cold hardy.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optimal medium strength to improve sprouting shoot rate of apical meristem of the apple rootstocks of fire blight resistance. The apple rootstocks apical meristem at size (0.2 mm to 0.3 mm) with axillary buds were cultured on the MS(Murashige & Skoog) medium supplemented with plant growth regulators. The sprouting ratio and growth characteristics was evaluated after eight weeks in vitro culture. The highest rate of bud differentiation and shoot formation were 23.8% and 55.6%, respectively. After 6 weeks, shoots were regenerated from apical meristem, and their growth characteristics was significantly varied on the respective basal medium with different plant growth regulators. Our studies showed that the apple rootstocks the apple rootstocks of fire blight resistance plantlets could be successfully produced from apical meristem differentiated out of young twigs via organogenic regeneration.

  • PDF

제초제(除草劑) 약해경감물질(藥害輕減物質) 탐색(探索)과 작용기구(作用機構) 규명(糾明);Ⅱ. Glutathione 함량(含量)과 Glutathione S-transferase 활성(活性) 변화(變化)에 대한 N-(4-chlorophenyl) maleimide, 식물생장조절물질(植物生長調節物質) 및 Alkylating Agents 의 효과(效果) (Investigation of Herbicide Safeners and their Mode of Safening Action;II. Effect of N-(4-chlorophenyl) maleimide, Plant Growth Regulators, and Alkylating Agents on Glutathione Content and Glutathione S-transferase Activity)

  • 전재철;마상용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329-337
    • /
    • 1995
  • 암(暗) 조건(條件)에서 3일간(日間) 생육(生育)시킨 수수에 있어서 CPMI, 식물(植物) 생장조절물질(生長調節物質) 및 akylating agent 의한 GSH 함량(含量) 및 GST 활성(活性)의 변화(變化)를 조사(調査)하였다. 무처리(無處理) 수수의 지상부(地上部) 추출물(抽出物)에서 GST의 활성(活性)과 GSH의 함량(含量)이 근부(根部)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다. CPMI로 처리(處理)한 수수에서 나타난 GSH의 분포(分布) 양상(樣相)은 전반적으로 무처리(無處理)와 차이(差異)를 보이지 않았으나, 초엽부(葉部)에서 GST[metolachlor]의 활성(活性)이 무처리(無處理)에 비하여 약 2.3배 증대되었다. 이러한 GST 활성(活性)의 증대(增大)는 metolachlor에 특이적(特異的)으로 작용하는 GST isozyme의 발현(發現)에 기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서 metolachlor 부활성화(不活性化) 효소(酵素)인 GST의 활성(活性) 변화(變化)를 가져오는 관연기작(關聯機作), 즉 plant hormone regulation 및 substrate induction에 근거(根據)한 일련의 실험(實驗)을 실시(實施)하였다. GST [metolachlor]의 활성(活性)은 2,4-D 처리시(處理時)에 약 2.1배 증가(增加) 하였으나, ethylene과 ABA에 의한 변화(變化)는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metolachlor는 이 제초제(除草劑)에 특이성(特異性)을 갖는 GST isozymes의 발현(發現)을 통하여 3.4배의 GST 활성(活性) 증가(增加)를 가져온 반면에, 기타 alkylating agent로 사용(使用)된 2-iodoacetamide와 2-bromo-N-phenylacetamide에 있어서는 GST의 활성(活性)을 억제(抑制) 또는 영향(影響)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結果)로 부터 수수에 있어서 CPMI에 의한 GST[metolachlor] 활성(活性)의 증대(增大)가 auxin regulation 또는 substrate induction에 부분적(部分的)으로 관련(關聯)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절화국화 '진바'의 정식시기와 적심방법이 생육과 절화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lanting Time and Pinching Method on the Growth and Quality of Cut Flowers in Chrysanthemum 'Jinba')

  • 조명환;강남준;이한철;권준국;최경이;김태윤;홍정희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31-35
    • /
    • 2010
  • 본 실험에서는 국화의 재배방법에 따라 즉, 적심재배방법과 정식시기에 따른 국화 '진바'의 생육과 절화의 상품성과 재배기간의 차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험 결과 무적심 재배의 경우 화아 분화 돌입에 필요한 충분한 영양생장기간을 확보하는데 비해, 적심재배의 경우는 충분한 영양 생장기간을 확보하지 못하였다. 화아분화 유기 12주 후의 무적심 재배 개화율은 95%를 상회하였으나 적심재배는 95% 이하로 나타났다. 무적심재배구는 정식시기에 관계없이 3등급상품 이상의 절화가 100% 생산되었으나 적심재배는 첫째주 정식구에서 84.7%로 아주 낮았고 둘째주 정식구는 64.3%, 셋째주 정식구는 18.8%, 넷째주 정식구는 2.6%로 적심재배구의 절화 상품성이 아주 좋지 못하였다. 무적심재배구의 절화품질이 제일 좋지 못한 넷째주 정식구와 적심재배구의 절화품질이 제일 좋은 첫째주 정식구를 비교하면 절화의 품질은 무적심재 배 넷째주 정식구가 좋았고 재배기간도 38일을 단축시킬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절화국화 무적심재배는 적심 재배에 비하여 재배기간 단축과 품질향상이 가능하므로 경영비 절감과 소득향상이 가능한 재배법으로 판단되었다.

IBA 처리방법과 농도에 따른 딸기 '매향'의 측아 발생 억제와 자묘 생육 (Lateral Bud Suppression and Runner Plants Growth of 'Maehyang' Strawberry as Affected by Application Method and Concentration of IBA)

  • 황희성;정현우;이혜리;황승재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80-88
    • /
    • 2020
  • 본 연구는 시설 딸기(Fragaria × ananassa Duch. cv. Maehyang)의 생육과 런너 생산을 위한 옥신계 식물 생장조절제인, IBA의 처리방법 및 농도에 따른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딸기 묘는 2019년 4월 12일에 코이어 배지가 충진된 화분(150×135 ×90nm)에 정식 하였다. IBA는 0, 50, 100, 150, 200 mg·L-1농도로 각각 엽면살포 및 배지관주 처리로 식물체당 50mL씩 처리하였다. IBA 처리는 2019년 4월 29일에 시작하였다. IBA의 엽면살포 및 배지관주 처리는 처리 시작일로부터 2주 간격으로 9주간 처리하였다. 처리 9주 후, 모주의 엽병장은 대조구에서 가장 짧았다. 자묘의 수는 엽면살포처리에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측아의 수는 IBA 처리에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엽면살포 100 mg·L-1처리에서 가장 적었다. 1차 묘와 2차 묘의 생체중과 건물중은 처리 간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하지만, 3차 묘에서 생체중과 건물중은 배지관주 100 mg·L-1처리에서 가장 무거웠다. 그러므로, 3차 묘의 생육과 측아 발생 억제를 고려하였을 때, 배지관주 100 mg·L-1처리가 IBA를 딸기에 처리함에 있어, 3차 묘의 생육과 자묘 생산에 적절한 처리방법 및 농도인 것으로 보이며 위 결과는 딸기 육묘기에 노동력 절감 및 묘소질 향상을 위한 식물생장조절제 활용의 기초자료로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水稻(수도)에 대한 질소(窒素) 및 인산효율증진(燐酸效率增進)에 관한 연구(硏究) -(수도(水稻)에 대한 Amo-1618 처리(處理)가 수량(收量), 무기영양요소(無機營養要素)의 동태(動態) 및 $P^{32}$ 표식중과석(標識重過石)의 이용율(利用率)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Amo-1618 on the Yield, Behavior of Mineral Nutritions and Uptake Ratio Employing P-32 Labelled Double Calcium Super-phosphate in Rice Plants)

  • 안학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11권
    • /
    • pp.173-184
    • /
    • 1969
  • 수도(水稻) 증산(增産)의 관건(關鍵)을 이룰 질소효율(窒素酵率)의 증진(增進)을 위하여 생장억제물질(生長抑制物質)로 알려진 Amo-1618(4-hydroxyl-5-isopropyl-2-methyl-phenyl-trimetyl-Ammonium Chloride 1-piperidine Carboxylate)를 수도(水稻)에 처리(處理) 할 때 수량(收量) 및 수량구성요소(收量構成要素)와 질소효과(窒素效果)및 인산(燐酸) 기타 몇가지 무기영양요소(無機營養要素)의 동태(動態)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검토(調査檢討)하고자 본실험(本實驗)을 시도(試圖)하였다. 공시품종(供試品種)으로써 수원(水原) 82호(號)를 사용하고 Pot시험(試驗)에 의(依)하였으며 Amo-1618은 10000ppm 농도(濃度)로 분얼초기(分蘖初期) 1 회엽면공급(回葉面供給)하였다. $P^{32}$$Ca(H_2P^{32}O_4)_2.\;2H_2O)$ 형태(形態)로 $80\;{\mu}c/pot$ 식 pot 내(內) 토양(土壤)에 공급(供給)하였다. 얻어진 실험결과(實驗結果)는 다음과 같다. 1) Amo-1918은 수도초장(水稻草丈)에 대하여 순이(巡異)를 가져오지 않았으나 분얼수(分蘖數)는 증가(增加)하였고 질소(窒素)와의 상보적(相補的) 효과(效果)(Synergistic effect)를 나타내고 있다. 2) 입중(粒重)과 임실율(稔實率)도 Amo-1618 처리가 이를 증가(增加)시키고 특히 질소다시구(窒素多施區)(3 배량구(倍量區))에서 그 증대효과(增大效果)가 현저(現著)하였다. 3) 수량(收量)도 질소관행구(窒素慣行區)및 다시구(多施區)에 비(比)하여 Amo-1618 처리(處理)한 다시구(多施區)에서 유의성(有意性) 높게 증가(增加)되었고 이 증수효과(增收結果)는 Amo-1618의 각종(各種) 수량(收量) 구성요소(構成要素)에 대한 효과(效果)과 질소효율(窒素效率) 증대효과(增大效果)에 의존(依存)하는 것으로 보인다. 4) Amo-1618에서는 수확기(收穫期)의 이삭의 질소함량(窒素含量)이 증가(增加)되고 특히 Amo-1918 처리(處理)한 질소다시구(窒素多施區)에서 유의성(有意性)있게 증가(增加)하였었으며, 잎과 줄기의 함량(含量)은 많은 차이(差異)가 있었다. 5) 인산(燐酸) 함량(含量)도 이삭에서 Amo-1618 처리(處理)로 현저(現著)히 증가(增加)되었고 이삭으로의 전류(轉流)를 촉진(促進)하고 있다. 6) 가리(加里), 칼슘, 마그네슘, 함량(含量)은 일반적(一般的)으로 Amo-1618 처리(處理)에 의하여 뚜렷한 변화(變化)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생육초기(生育初期)의 가리(加里) 함량(含量)은 증가(增加)되었다. 7) $P^{32}$를 사용(使用)한 인산(燐酸) 이용률(利用率)은 Amo-1618 처리(處理)한 질소다시구(窒素多施區)에서 유의성(有意性) 높게 증가(增加) 되었다. 8) 생장조절제(生長調節劑) 또는 생장억제제(生長抑制劑)의 일종(一種)으로 알려진 Amo-1618은 수도수량(水稻收量), 기타, 수량(收量) 구성요소(構成要素)에 대하여 질소다비(窒素多肥)와의 현저한 상보적(相補的) 효과(效果)로 증수(增收)를 가져온다는 것이 밝혀졌으나 그 원인(原因)으로써 Amo-1618이 대사과정(代謝過程)에서 질소다시(窒素多施)와 관계하는 내비성(耐肥性)의 증대(增大), 내병성(耐病性) 증가(增加)들에 영향을 미칠뿐아니라 흡수능(吸收能)과 이삭에 대한 전류(轉流)를 증대(增大)하는 효과(效果)에 의한다는 점(點)등 그 근거(根據)를 제문헌(諸文獻)에 입각(立脚) 고찰(考察)하였다.

  • PDF

느타리버섯과 여름느타리버섯의 원형질체(原形質體) 나출(裸出)과 재생(再生) (Protoplast Formation, Regeneration and Reversion in Pleurotus ostreatus and P. sajor-caju)

  • 고승주;신관철;유영복
    • 한국균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169-177
    • /
    • 1985
  • 느타리버섯Pleurotus ostreatus 및 여름느타리버섯Pleurotus sajor-caju의 원형질체(原形質體)는 감자배지(培地)(PSA) 및 버섯 완전배지(完全培地) (MCM)에 cellophan 반투석막(半透析膜)을 피복(被覆)하여 배양(培養)한 균사체(菌絲體)에서 $2.4{\time}l0^6{\sim}3.5{\time}10^7$ 으로 많이 나출(裸出)되었다. 버섯 완전배지(完全培地)에 4일간(日間) 배양(培養)한 균사체(菌絲體)를 pH가 6.0인 인산(燐酸) 완충용액(緩衝溶液)에 세포벽(細胞壁) 분해효소(分解酵素)인 Novozym 234를 5 mg/ml 농도(濃度)로 용해(溶解)한 효소용액(酵素溶液)에 4시간(時間) 처리(處理)하였을 때 원형질체(原形質體)의 나출수(裸出數)가 가장 많았다. 이들 균주(菌株)의 원형질체(原形質體) 나출(裸出) 시(時) 삼투압 조절제(調節劑)로는 0.6 M sucrose와 0.6 M $MgSO_4$가 가장 적합(適合)하였다. 한편 원형질체(原形質體)의 재생(再生) 시(時)에는 삼투압 조절제(調節劑)로 0.6 M sucrose와 0.6M KCl를 사용(使用)하였을 때 높은 재생율(再生率)을 보였다. 원형질체(原形質體)는 재생용(再生用) 배지(培地)에 접종(接種)한 후 0.75% agar 배지(培地)를 피복(被覆)하였을 때 재생율(再生率)이 향상(向上)되었으며, 이때 300 ppm ampicillin 을 0.75% agar 배지(培地)에 혼합(混合)하여 처리(處理)한 결과(結果) 세균(細菌)의 오염(汚染)을 방지(防止)할 수 있었다. 이들 균주(菌株)의 원형질체(原形質體)는 정상적(正常的)인 균사체(菌絲體)로 환원(還元)되었으며 균사체(菌絲體)는 정상적(正常的)으로 생장(生長)하여 자실체(子實體)와 담자포자(擔子胞子)를 형성(形成)하였다.$1.6{\times}10^{-6}M$로 1 mM ouabain에 영향을 받는 K-pNPPase 활성 및 산소 소모량을 50% 억제하는 농도보다 ouabain은 약 5배 vanadate는 약 15배 정도 낮았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가토 신피질 절편에서 측정한 K-pNPPase활성은 $Na^+-K^+$교환 점프의 활성을 나타내는 좋은 지표가 될 수 있으며 특히 세포막을 통한 물질 이동이나 세포의 기능에 대한 영향과 Na-K-ATPase활성에 대한 영향을 동시에 보고자 할 때는 microsome에서 측정한 Na-K-ATPase활성보다 더 이상적이라고 사료된다.>의 dimer 상태로 존재하거나 혹은 $(\alpha\beta)_2$의 monomer에 glycolytic enzymes과 같은 다른 enzymes이 붙어 functional한 구조를 이루고 있는 것이 아닌가 사료된다. 또한 실헐성적은 이러한 dimeric association 혹은 heterocomplex association은 ghost를 만드는 과정에서나 strophanthidin의 처치로 부서질 수 있음을 암시하고 있다.ctor의 길이는 각선수군(各選手群)이 비선수(非選手)보다 낮은 경향(傾向) 나타냈으며, 특(特)히 horizontal plane에서 투척(投擲), 도약(跳躍), 단거리(短距離) 및 야구선수(野球選手)들이 비선수군(非選手群)보다 유의(有意)하게 낮았다. QRS와 T vector의 길이는 선수군(選手群)과 비선수군간(非選手群間)에 차이(差異)가 없었고, 야구선수(野球選手)만이 frontal plane에서 QRS vector의 길이가 비선수군(非選手群)보다 높았다. 이상(以上)의 결과(結果)를 종합(綜合)해 보면 각종목(各種目) 운동선수군(運動選手群) 전반(全般)은 비선수(非選手)보다 유의(有意)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