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생식건강행위

검색결과 27건 처리시간 0.026초

간호대학생의 성지식, 성태도, 생식건강증진행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exual Knowledge, Sexual Attitude and Reproductive Health Promoting Behaviors in Nursing Students)

  • 구윤정;홍선연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2년도 제66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30권2호
    • /
    • pp.667-670
    • /
    • 2022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성지식, 성태도, 생식건강증진행위를 확인하고 이들의 상관관계 확인을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간호대학생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하고 229부로 분석하였다. 연구도구는 Jeon(2004)의 성지식, Ho(2009)의 성태도, Jo(2014)의 생식건강증진행위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일반적 특성은 실수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성지식, 성태도, 생식건강증진행위는 평균과 표준편차를 이용하였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성지식, 성태도, 건강증진행위 차이는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사후검정으로 Scheffe's test를 이용하였다. 상관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로 분석하였다. 여학생의 성지식이 높았으며, 생식건강증진행위 교육은 저학년이 적절한 시기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성지식이 높을수록 생식건강증진행위가 높아 생식건강증진행위 향상을 위한 성교육의 필요성이 여전히 요구됨을 시사한다. 이에,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생식건강을 위한 상담과 교육에 활용할 생식건강증진행위의 교육자료 개발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간호대학생의 성지식, 성태도, 생식건강증진행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exual Knowledge, Sexual Attitude and Reproductive Health Promoting Behaviors in Nursing Students)

  • 구윤정;홍선연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2호
    • /
    • pp.439-446
    • /
    • 2024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성지식, 성태도, 생식건강증진행위를 확인하고 이들의 상관관계 확인을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간호대학생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하고 229부로 분석하였다. 연구도구는 Jeon(2004)의 성지식, Ho(2009)의 성태도, Jo(2014)의 생식건강증진행위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일반적 특성은 실수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성지식, 성태도, 생식건강증진행위는 평균과 표준편차를 이용하였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성지식, 성태도, 건강증진행위 차이는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사후검정으로 Scheffe's test를 이용하였다. 상관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로 분석하였다. 여학생의 성지식이 높았으며, 생식건강증진행위 교육은 저학년이 적절한 시기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성지식이 높을수록 생식건강증진행위가 높아 생식건강증진행위 향상을 위한 성교육의 필요성이 여전히 요구됨을 시사한다. 이에,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생식건강을 위한 상담과 교육에 활용할 생식건강증진행위의 교육자료 개발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대학생의 성지식 및 성태도와 생식건강 증진 행위 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s between sexual knowledge or sexual attitudes and reproductive health promotion behavior of undergraduate students)

  • 구상미;김형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12호
    • /
    • pp.1-11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성지식 및 성태도와 생식건강 증진 행위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성지식가 생식건강 증진 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었다. 연구방법은 서술적 조사연구로서 연구대상은 4년제 대학생 357명이었으며, 연구도구는 성 지식, 성 태도 및 생식건강 증진 행위를 측정하는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대학생의 성지식은 생식건강 증진 행위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성태도와 생식건강 증진 행위 간에는 어떠한 관계도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의 성지식은 생식건강 증진 행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12.0%를 설명하였다. 결론적으로 대학생의 건전한 생식건강 증진 행위의 실천을 높이기 위해 대학교육과정을 통한 체계적이고 실제적인 교육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하다는 것을 제안한다. 본 연구결과는 대학생의 생식건강 증진 행위의 중재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대학생을 위한 융복합 생식건강증진 프로그램이 성 지식, 성 태도 및 생식건강행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onvergent Reproductive Health Promotion Program for Korean University Students on Sexual Knowledge, Sexual Attitude, and Reproductive Health Promoting Behavior)

  • 최원재;박준혁;이승원;임종은;정현철;임영숙;한숙정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3호
    • /
    • pp.145-152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생식건강증진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성 지식, 성 태도, 생식건강증진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융복합적으로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108명의 대학생이(평균연령 20.84세) 생식건강증진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였다. 생식건강증진 프로그램은 2016년 11월 9일부터 12월 7일까지 4주간 주 2회, 110분 동안 진행되었고 설문지를 통해 성 지식, 성 태도, 생식건강증진행위를 조사하였다. 결과적으로, 성 태도는 생식건강증진 프로그램을 진행한 뒤 유의하게 더 향상되었고 성 지식과 생식건강증진행위 사이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나(p<0.05) 성 지식과 생식건강증진행위는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본 연구를 통해 생식건강증진 프로그램은 대학생의 성 태도를 유의하게 향상시키고 성 지식과 생식건강증진행위 사이에 상관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추후 대학생들의 생식건강증진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활용하고자 한다.

북한이탈여성의 성지식, 성태도, 생식건강 증진행위: 소외된 여성의 성 (Sexual Knowledge, Sexual Attitude and Reproductive Health Promotion Behavior among North Korean Women Defectors: alienated women's sex)

  • 한정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11호
    • /
    • pp.385-397
    • /
    • 2020
  • 본 연구는 북한이탈여성의 재북당시 생식건강 관련 경험을 탐색하고 성지식, 성태도, 생식건강 증진행위 수준을 확인하기 위해 수행된 수렴병렬 혼합설계 연구이다. 2020년 4월에서 7월까지 수도권에 거주하는 8명의 북한이탈여성을 눈덩이 방식으로 표집 후 심층면담하여 질적자료를 수집하였고 수도권, 충청권, 경상권에 거주하는 175명의 북한이탈여성을 편의표집하여 성지식, 성태도, 생식건강 증진행위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심층면담 결과는 내용분석을 실시하였고, 설문 결과는 SPS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independent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로 분석하였다. 질적자료 분석결과 북한이탈여성의 북한에서 경험한 생식건강 관련 경험은 '잘 알지 못하여 두려운 성', '의무만 강요하는 부끄럽고 귀찮은 성', '모든 것이 제한된 속에서 내가 스스로 알아서 관리해야하는 성'으로 나타났다. 양적자료 분석결과 대상자의 성지식은 연령이 높은 군과 기혼 군에서 높았고 성태도는 연령이 낮은 군에서 더 개방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생식건강 증진행위는 경제수준이 높은 군에서 더 활발하였고 성지식과 성태도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국내에 정착한 대상자들이 재북기간에 가졌던 성에 대한 소극적인 태도를 극복하고 생식건강 증진행위를 수행할 수 있도록 지역사회의 지지체계 및 자원의 제공이 필요하며, 북한여성의 생식건강에 대하여 인도주의적 지원의 우선순위가 요구된다.

결혼이주여성의 생식건강행위 영향요인 : 계획된 행위이론의 적용 (Influencing Factors of Reproductive Health Behavior in Married Immigrant Women : Application of Theory of Planned Behavior)

  • 안나원;한영란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468-481
    • /
    • 2018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the reproductive health behavior of married immigrant women (MIW). Methods: A cross-sectional based survey was conducted.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a self-reporting questionnaire of MIW who lived in cities and province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A total of 141 subjects participated in the study (mean age, $34.23{\pm}6.53$). Of the participants, 45.4% were Vietnamese. The reproductive health behavior score of the subjects was $4.09{\pm}0.51$. The reproductive health behavior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with attitude (r=.37, p<.001),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r=.35, p<.001) and intent (r=.33, p<.001). The factors influencing the reproductive health behavior were attitude toward the reproductive health behavior (${\beta}=.24$, p=.005),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beta}=.18$ p=.046), experience of breast feeding (${\beta}=.20$, p=.014), and the self-evaluated Korean listening ability (${\beta}=.18$, p=.019). These variables explained 29% of the variance in the reproductive health behavior. Conclusion: According to the above results, a specific educational program for MIW is needed to increase their reproductive health behavior.

계획된 행위이론을 기반으로 한 미혼여성의 생식건강증진행위 구조모형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on Reproductive Health Promoting Behavior of Unmarried Women: Based on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 지은미;최소영;제남주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210-220
    • /
    • 201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struct and test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on the reproductive health behavior of single women with sexual experiences. This study employed Ajzen's Theory of Planned Behavior (TPB). Methods: The data were collected after receipt of consent from 250 single women with sexual experiences, and analyzed using SPSS 18.0 and AMOS 18.0. Results: Model fit indices for the hypothetical model were suitable for the recommended level: $x^2=362.407$, RMR=0.065, RMSEA=0.070, GFI=0.867. TLI=0.927, CFI=0.938, IFI=0.939, and $x^2/dF=2.237$. Intention showed direct effect with the biggest effect being on reproductive health behavior. Attitude, subjective norm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were found to have a direct effect on intention. Among them,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revealed the largest influence.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TPB is a suitable model in explaining the reproductive health behavior of single women with sexual experience. Strategic plans for educational and intervention programs should be aimed to encourage single women to engage in reproductive health behavior.

여대생의 인터넷 생식건강정보 탐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Factors Affecting Female College Students' Reproductive Health Information Seeking Behaviors on the Internet)

  • 윤현수;오상희;이영미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389-409
    • /
    • 2024
  • 본 연구의 목적은 여대생들의 생식건강정보 탐색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고 그 관계성을 살펴보는 것이다. 건강신념모델(HBM)과 계획된행동이론(TPB)을 기반으로 지각된 민감성, 지각된 심각성, 지각된 이익, 지각된 장애,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통제, 감정적 평가를 주요 요인으로 정의하고 연구를 설계하였다. 대학생 온라인 커뮤니티인 '에브리타임'을 통해 서울 소재 4년제 대학교의 여대생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여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여대생들은 지각된 민감성, 지각된 이익, 주관적 규범이 높을수록, 반면에 지각된 장애는 낮을수록, 인터넷을 통해 생식건강정보를 탐색할 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여대생들의 인터넷 생식건강 탐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여대생들의 성경험 유무, 생식기계 질환 경험 유무, 건강관심도 등에 따른 그룹 간의 차이를 보이기도 했다. 본 연구결과는 여대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대학도서관이나 보건기관 등이 온라인 건강정보 문해교육이나 관련 서비스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있어 여대생들의 생식건강 인식 정도를 파악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예비 신혼부부의 수태 전 건강관리 인식수준과 생식 건강증진 행위에 관한 연구 (Study on Awareness of Preconception Care and Reproductive Health Behaviors in Pre-honeymooners)

  • 제남주;최소영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71-82
    • /
    • 2015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1) to examine levels of awareness on preconception care and pregnancy, and reproductive health promoting behavior among pre-honeymooners; and 2)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awareness levels of preconception care and pregnancy, and reproductive health promoting behavior. Methods: This study was a correlation design with a total of 134 participants (67 couples of pre-honeymooners). Data were collected with questionnaire Results: Mean score of self-perception of awareness of preconception care and pregnancy was 2.82 out of 4. Content awareness level was 6.83 out of 13, and reproductive health promoting behavior score was 3.02 out of 4, indicating low to mid-level. Women reported higher scores in all variables than those in men. Self-perception awareness and content awareness of care and pregnancy had a weak positive correlation (r=.18, p=.038). Reproductive health promoting behavior was positively related to self-perception awareness of care and pregnancy (r=.33, p<.001) and content awareness of care and pregnancy (r=.23, p=.008). Conclusion: Based on this results, a variety of nursing intervention strategies may need to promote reproductive health behavior such as raising awareness of the preconception care and pregnancy.

난임 및 정상 여성의 생식건강증진행위 (Reproductive Health Promotion Behavior of Infertility Women and Normal Women)

  • 이채남;이내영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207-218
    • /
    • 2019
  • Purpose: To compare reproductive health promoting behaviors (RHPBs) of infertile women with those of normal women and identify effects of RHPB on infertility. Methods: A total of 148 females (73 infertile women and 75 normal women) were enrolled in this study. Measurements included their general characteristics and RHPB using self-report questionnaires.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chi}^2$ test, ANCOVA, and hierarchical logistic regression using SPSS.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in incomes, number of family, number of term deliveries, and number of abortions according to infertility diagnosis. Mean duration of infertility was 32.16 months. Only 12.32% women had known cause of infertility. The most common cause of infertility was unknown. Mean RHPB score was 3.98 for infertile women and 4.41 for normal women. In logistic regression, total RHPB (odds ratio [OR], 0.21) and safe sex of RHPB (OR, 0.66) were significant factors influencing infertility. Infertile women's total RHPB and subcategories of RHPB (safe sex behavior and sexual transmitted disease [STD] prevention) were lower than those of normal women. Conclusion: For infertility women, RHPB-related intervention programs are needed, especially information about safe sex behavior and STD preven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