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생수

검색결과 136건 처리시간 0.026초

국내 보존음료수(생수)의 성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Water Quality of Domestic Mineral Water (Saeng Su))

  • 류의형;이중근;김성조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41-45
    • /
    • 1990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nalyze for the mineral water (Saeng Su) from 12 pure beverage Co. products, which was obtained during March to May in 1988.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analytical results of contaminant materials in all the samples were suitable for drinking water standard. The mean value of NH$_{3}$-N, NO$_{3}$-N, Cl-and KMnO$_{4}$ consumption were ND, 49mg/l, 1.08mg/l and 8.14mg/l, respectively. 2. Total bacterial counts were 3/cc in average and Coliforms was negative in all samples. 3. The analytical results of Heavy metals were not detected or detected in a small amount, and the contents were different from each company. The CN, Hg, P were not detected in all the samples and the mean value of Cu, Fe, Mn were 0.0087mg/l, 0.0303mg/l, 0.018mg/l, respectively and it's contents were low. 4. The mean value of Pb, Zn, Cr$^{+6}$, As and Cd were 0.016mg/l, 0.015mg/l, 0.0025mg/l. 0.0059mg/l and 0.0011mg/l respectively.

  • PDF

혼합모형을 이용한 생수소비 분포의 근사화에 대한 소고(小考) (A Note on Approximation of Bottled Water Consumption Distribution: A Mixture Model)

  • 유승훈
    • 자원ㆍ환경경제연구
    • /
    • 제11권2호
    • /
    • pp.321-333
    • /
    • 2002
  • Approximating bottled water consumption distribution is complicated by zero observations in the sample. To deal with the zero observations, a mixture model of bottled water consumption distributions is proposed and applied to allow a point mass at zero. The bottled water consumption distribution is specified as a mixture of two distributions, one with a point mass at zero and the other with full support on the positive half of the real line. The model is empirically verified for household bottled water consumption survey data. The mixture model can easily capture the common bimodality feature of the bottled water consumption distribution. In addition, when covariates were added to the model, it was found that the probability that a household has non-consumption significantly varies with some variables.

  • PDF

음용 차의 항우식 효과 (Anticariogenic Effects of Different Types of Tea)

  • 정일용;이주영;김미아;이대우;양연미;김재곤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437-445
    • /
    • 2017
  •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인들이 일상적으로 마시는 서로 다른 네 종류의 차 티백을 이용하여 차가운 생수나 뜨거운 생수로 5분 또는 10분 동안 우려내는 일상적인 방법으로 차를 추출하였을 때 각각의 추출물이 Streptococcus mutans 세균막 성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균주는 S. mutans UA 159를 이용하였고 1%의 sucrose와 각각의 차 추출물을 웰 플레이트에 넣고 배양하였다. 추출 온도에 따른 세균막 형성을 비교 했을 때 녹차와 홍차에서 추출 온도가 높을 때 세균막 형성이 적었고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 < 0.05). 추출 시간을 달리 하고 $72^{\circ}C$ 온수로 많은 양을 추출 했을 경우 세균막 형성을 비교 했을 때는 네 종류 차 모두 추출 시간에 대해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한편 추출량에 따른 비교에서는 녹차와 홍차의 경우 같은 시간, 같은 온도로 추출하였을 때 추출량이 적다면 오히려 세균막 성장이 증가하였다.

다양한 형상을 갖는 액화가스용 기화기의 기화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Gasification Characteristic by Using Liquefied Gas Vaporizer with Various Shape)

  • 이용훈;엘드윈 자디위나타;정한식;정효민
    • 동력기계공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5-11
    • /
    • 2007
  • 액화천연가스(LNG : Liquified Natural Gas)는 연료로 사용하기 위하여 기화하는 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기화하는 방식에는 해수에 의한 기화와 공기에 의한 기화의 두 가지 방식으로 나뉘게 된다. 해수에 의한 기화는 LNG 인수기지에서 대량의 LNG를 NG로 기화하기 위하여 사용하며, 공기에 의한 기화는 LNG 위성기지에서 사용처에 적합한 온도를 얻기 위해서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하고 있는 공기식 기화기를 이용하여 기화를 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LNG가 NG로 기화하는 과정에서 1kg당 200kcal의 냉열을 외부로 방출하고 있으며, 이러한 냉열의 방출로 인하여 공기식 기화기의 표면에 결빙현상을 발생시킨다. 또한 현재 사용하고 있는 기화기는 $2{\sim}3$개의 기화기를 연결하여 사용하고 있어 그 비용의 손실이 크다고 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연구는 최근 사용빈도가 증가하고 있는 공기식 기화기에 관한 것으로 작동유체는 실제 LNG와 특성이 비슷한 초저온 액화가스인 $LN_2$를 사용하였다. 이번 연구에 사용된 변수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각각의 기화기의 길이를 4000mm, 6000mm, 8000mm으로 하였고 핀의 type을 finless, 4fin, 8fin으로 하여 적용하였다. 두 번째는 봄, 여름, 가을, 겨울철에 따른 기화기의 성능을 알고자 각각의 계절별 온도와 습도를 적용하였다. 마지막으로 계절별 풍속과 실험을 하는 시간 동안의 유량을 알고자 압력을 1 bar로 적용하였다. 그리하여 이번 연구의 목적으로는 각각의 변수를 통하여 실험을 진행 한 후 vaporizer type과 길이에 대한 최적의 성능을 가지는 기화기에 대한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기성분은 균주에 따른 약간의 차이가 있었으나 경향은 비슷하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 알코올 발효 균주에 따른 참다래 와인의 이화학적 품질특성에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고급알코올함량을 비교하였을 때 Sacch. cerevisiae Wine 3이 와인제조에 가장 적합한 것으로 평가되었다.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홍국의 함유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b값은 CSB가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홍국의 함유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물성측정 결과 경도와 응집성은 각 시료들 간의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탄력성과 부서짐성은 CSB가 가장 낮았으며, 홍국의 함유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점착성은 SDB1이 가장 낮았으며, 홍국의 함유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관능검사 결과 기공의 균일성은 SDB1이 가장 균일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색은 홍국의 함유량이 증가할수록 높게 나타났다. 경도, 탄력성, 단맛 및 신맛 등은 홍국 함유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취는 SDB1이 가장 적게 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반적인 기호도는 SDB1이 가장 높았다. 따라서 홍국을 10% 첨가한 sourdough starter를 3일 동안 발효한 후 반죽에 첨가하여 sourdough bread를 제조할 때 품질이 가장 우수한 제품을 얻을 수 있었다.생수와 여러 물질의 혼합용액의 온도가 장에 끼치는 자극에 차이가 있지 않나 추측되며 이에 관한 추후 연구가 요망된다. 총대장통과시간의 단축은 결장 분절 모두에서 줄어들어 나타났으나 좌측결장 통과시간의 감소 및 이로 인한 이 부위의 통과시간 비율의 저하가 가장 주요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차가운 생수 섭취가 주로 결장 근위부를 자극하는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 아닌가

  • PDF

HS-SPME-GC/MS를 이용한 먹는 샘물 중 벤젠, 톨루엔, 에칠벤젠, 자일렌의 정량 (Determination of benzene, toluene, ethylbenzene and o-xylene in bottled waters by headspace solid-phase microextraction and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 김종훈
    • 분석과학
    • /
    • 제24권2호
    • /
    • pp.119-126
    • /
    • 2011
  • 국내 시중에 유통되어 음용되고 있는 먹는 샘물(생수) 30 종과 가정으로 공급되는 수돗물 9종 중의 벤젠, 톨루엔, 에틸벤젠, 자일렌을 고체상미량추출법을 사용하여 정량하였다. 정지상은 $100\;{\mu}m$ PDMS fiber를 이용하였고, 실험조건은 실온에서, 교반시간 1200 RPM G, 흡착시간 4 분, 탈착시간 1 분 이었다. 정량은 표준검량선법을 사용하였다. 평균검출한계는 벤젠 0.39 (${\pm}0.04$) ng/mL, 톨루엔 0.08 (${\pm}0.04$) ng/mL, 에틸벤젠 0.04 (${\pm}0.01$) ng/mL, o-자일렌 0.05 (${\pm}0.02$) ng/mL 이었다. 30 종의 먹는 샘물(생수)조사 결과 벤젠과 o-자일렌은 모든 시료에서 검출되지 않았으며, 톨루엔의 경우는 11 개의 시료, 에틸벤젠은 3 개의 시료에서 검출되었다. 검출된 물질의 각각의 농도범위는 $0.24({\pm}0.09)\sim2.95\;({\pm}0.08)\;ng/mL$, $0.08({\pm}0.06)\sim0.93({\pm}0.10)\;ng/mL$였다.

근류균(根瘤菌)(Rhizobium meliloti)의 접종(接種)이 Alfalfa의 근류형성(根瘤形成) 및 초기생육(初期生育)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Inoculation of Nodule Bacteria (Rhizobium meliloti) on the Nodule Formation and Plant Growth of Alfalfa (Medicago sativa L.))

  • 김충수
    • 농업과학연구
    • /
    • 제6권2호
    • /
    • pp.105-111
    • /
    • 1979
  • 몇가지 Alfalfa 품종(品種)의 근류균(根瘤菌)에 대(對)한 친화성(親和性) 및 접종효과(接種效果)를 구명(究明)코자 시험(試驗)하였던 바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접종균주간(接種菌株間)에는 근류형성성(根瘤形成性)에 현저(顯著)한 차이(差異)를 보였으며 Rhizobium meliloti SU47균주(菌株)는 Luna, Von arnims altd bost 등(等) 두 품종(品種)에만 근류(根瘤)를 형성(形成)하였으며 M1균주(菌株)는 전품종(全品種)에서 근류(根瘤)를 형성(形成)치 않았고 M14균주(菌株)는 전품종(全品種)에서 근류(根瘤)를 형성(形成)하였다. 2. 근류착생수(根瘤着生數)는 Franks hangmeiler 품종(品種)이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이 Galilee 품종(品種)이었으며 Elga 품종(品種)이 가장 적었다. 3. 초장(草長) 및 지상부건물중(地上部乾物重)은 공시품종(供試品種) 모두 M14균주접종구(菌株接種區)가 가장 컸고 그 다음이 질소대조구(窒素對照區)였으며 M1접종구(接種區)와 대조구(對照區)에서 가장 작았고 근장(根長) 및 지하부건물중(地下部乾物重)은 품종간(種間)및 처리간(處理間)에 유의성(有意性)을 인정(認定)할 수 없었다. 4. 근류착생수(根瘤着生數)와 초장(草長) 및 근장(根長) 그리고 지상부건물중(地上部乾物重)과 근건물중(根乾物重)과는 상관관계(相關關係)를 인정(認定)할 수 없었다.

  • PDF

액상소화제가 법랑질 부식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Digestive Medicine on Enamel Erosion)

  • 이혜진;오한나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352-357
    • /
    • 2017
  • 액상소화제의 법랑질 부식능을 알아보기 위하여 마트에서 쉽게 구입할 수 있는 2종의 액상소화제와 약국에서 판매하는 1종의 액상소화제 그리고 대조군으로 생수를 선정하였다. 음료의 pH와 적정산도를 측정하고, 시편을 제작하여 음료에 1, 3, 5, 10, 15, 30분을 침지한 후 나타나는 양상을 표면 미세 경도계로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대조군인 생수를 제외한 모든 액상소화제의 pH가 4.0 이하로 나타났으며 위청수에서 $2.93{\pm}0.00$으로 가장 낮았다. pH 5.5로 변환하는 데 필요한 적정산도 또한 위청수에서 1.27 ml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모든 액상소화제에서 침지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표면경도가 감소하였으며 음료 30분 처리 후 표면 경도값은 위청수에서 $207.80{\pm}15.52$ VHN으로 가장 낮았고, 까스활명수 $216.86{\pm}4.01$, 생록천 $223.28{\pm}9.56$ 순이었다. 실험에 사용된 모든 액상소화제는 치아 법랑질에 부식을 유발하였으며, 음료처리 후에 pH가 가장 낮고 적정산도가 가장 높은 위청수에서 가장 낮은 표면 경도 값을 보여 실험에 사용된 액상소화제 중 가장 많은 법랑질 부식을 유발하였다. 따라서 액상소화제의 섭취는 법랑질표면경도를 감소시켜 치아 부식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대처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부산지역 생선횟집을 중심으로 생선 매운탕 소비실태 및 최적 조리법 확립 (A Study on Preference to Korean Spicy Fish Soups by Questionnaire Methods in Busan and Development of a Standardized Recipe)

  • 김정선;조영제;이남걸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18권2호
    • /
    • pp.150-163
    • /
    • 2006
  • 1. 생선매운탕 소비실태조사에서는 응답자의 93%가 생선회 먹은 후 식사로 먹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주로 횟집에서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선 매운탕의 맛은 집집마다 다르다고 응답하였으며, 얼큰한 맛을 응답자의 56%가 원하고 있었으며, 감칠맛과 시원한 맛을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생선 매운탕의 표준 조리법의 개발의 필요성을 응답자의 89%가 인식하고 있었다. 2. 맛의 평가를 100점으로 가정할 때, 생선 매운탕 C는 $80.9{\pm}15.9$점으로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으며, D, B의 생선 매운탕은 각각 $75.7{\pm}17.1$, $75.7{\pm}17.2$로 나타났으며, 생수를 이용한 생선 매운탕 A가 $61.8{\pm}22.8$로 가장 낮은 점수를 받았다. 시원한 맛의 정도는 야채(콩나물, 양배추, 양파) 육수를 이용한 생선 매운탕 D 가 가장 시원한 맛이 좋다고 응답하였으며, 다음으로는 생수를 이용한 생선 매운탕 A, 멸치+다시마 육수를 이용한 생선 매운탕 B, 생선뼈+머리 육수를 이용한 생선 매운탕 C 순서로 시원한 맛이 가장 좋다고 응답한 수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39명, 13.73%). 감칠맛을 느끼는 순서는 연령과 성별에 상관없이 모두 CBDA 순(134명, 47.2%)이 가장 많은 응답을 나타났다. 보편적으로 맛이 좋다고 느끼는 순서도 감칠맛 과 마찬가지로 CBDA순(109명, 37.2%)으로 나타났다. 3. 영양성분분석결과는 각 조리법에 따른 차이는 미미하게 나타났으며, 기호적인 측면에서 가장 좋은 점수를 받은 생선 매운탕 C 즉, 머리뼈 등의 잡뼈를 이용하여 육수를 만들고 매운탕으로 조리하는 조리법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담금수의 수질이 열무 물김치의 비타민 C 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Water Quality on the Variation of Ascorbic Acid Content during Yulmoo Mul-kimchi Fermentation)

  • 김유진;오지영;이태녕;한영숙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75-183
    • /
    • 1998
  • 비타민 C 고함량의 물김치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의 하나로 담금수의 종류를 달리하여 지하수, 1차증류수, 3차 증류수, 생수 및 수돗물의 금속이온(Ca, Mg, Fe, K, Na, Cu) 함량을 분석하였으며, 각각의 물로 열무 물김치를 제조하여 $15^{\circ}C$에서 발효 숙성시키면서 그 담금수가 김치의 숙성지표인 pH와 산도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 총 비타민 C함량, 텍스쳐 및 미생물 균수의 변화를 살펴봄과 동시에 관능검사를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각 담금수의 금속이온 함량을 측정한 결과, 전반적으로 3차 증류수가 금속이온 함량이 가장 낮은 반면 수돗물은 금속이온 함량이 가장 높았고, 특히 Cu 이온이 검출되었으며, 지하수의 Ca함량은 다른 담금수에 비해 월등히 높았다. 각 담금수로 제조한 김치국물의 pH와 산도 및 미생물의 변화는 김치시료간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열무 줄기로 측정한 텍스쳐는 시료간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담금 3일까지 증가하였다가 그 이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한편, 총 비타민 C 함량은 3차 증류수로 제조한 김치국물의 숙성 적기 총 비타민 C함량이 7.20 mg%로 최고 함량을 나타내었고, 그 다음이 지하수로 제조한 김치로 5.72 mg%를 나타내었으며, 수돗물로 제조한 김치의 총 비타민 C 함량은 3.37 mg%로 가장 낮아 3차 증류수로 제조한 김치의 50%에 불과했다. 또한, 기호도를 조사한 결과, 3차 증류수로 제조한 김치의 기호도가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이 생수로 제조한 김치였으며, 지하수로 제조한 김치의 기호도가 가장 낮았다.

  • PDF

일부 무기질의 생수 중 함량 분석과 생수를 통한 섭취량 평가 (Mineral Contents in Bottled Natural Water and Estimation of Their Intake by Korean Adults)

  • 김무경;심진아;엄희정;김명희;최미경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16권2호
    • /
    • pp.116-121
    • /
    • 2010
  • Minerals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body as essential nutrients. However, it is not easy to meet DRIs because food sources of minerals are limited. Recently, consumption of bottled natural water has been increasing in Korea due to water pollution and distrust of tap water.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mineral contents in bottled natural water and their intakes among Korean adults. We analyzed eight minerals in seven kinds of bottled natural water by ICP-spectrometry and conducted a survey on the intake status of water and bottled natural water with 400 Korean young adults. The mean contents of Ca, Mg, Fe, Zn, Cu, Mn, Se, and Mo in bottled natural water were 22.45${\pm}$22.48 mg/L, 10.59${\pm}$9.97 mg/L, 0.27${\pm}$0.18 ${\mu}g/L$, 2.06${\pm}$1.48 ${\mu}g/L$, 5.47${\pm}$0.70 ${\mu}g/L$, 1.43${\pm}$0.37 ${\mu}g/L$, 1.90${\pm}$0.96 ${\mu}g/L$, and 3.34${\pm}$0.79 ${\mu}g/L$, respectively. The mean age, height, weight, and BMI were 22.76 years, 174.94 cm, 68.64 kg, and 22.41 $kg/m^2$ for males (n=150) and 21.25 years, 162.04 cm, 51.05 kg, and 19.46 $kg/m^2$ for females (n=250), respectively. The respective daily intakes of total water and bottled natural water as water itself were 670.30 ml and 212.20 ml for males and 488.04 ml and 132.72 ml for females. The daily intakes of Ca, Mg, Fe, Zn, Cu, Mn, Se, and Mo from bottled natural water were 4.76 mg, 2.25 mg, 0.06 ${\mu}g$, 0.44 ${\mu}g$, 1.16 ${\mu}g$, 0.30 ${\mu}g$, 0.40 ${\mu}g$, and 0.71 ${\mu}g$ for males and 2.98 ${\mu}g$, 1.41 mg, 0.04 ${\mu}g$, 0.27 ${\mu}g$,0.73 ${\mu}g$, 0.19 ${\mu}g$,0.25 ${\mu}g$, and 0.44 ${\mu}g$ for females, respectively. Overall, the contents of Ca, Mg, and Se in bottled natural water were relatively high and the daily intakes of these minerals were 0.4~1.0% of the DR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