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생산성관리

Search Result 3,568, Processing Time 0.042 seconds

The Study on Correlation Between Factors Decreasing Construction Productivity and Waste Factors with Relation to Lean Construction (린 건설과 연계한 생산성 저하 요인과 Waste 요인과의 상호 관련성 연구)

  • Park Joo-Hyun;Kim Dae-Young;Lee Hak-Ki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4 no.4 s.16
    • /
    • pp.164-172
    • /
    • 2003
  • 생산성은 프로젝트를 관리하는데 있어서 효율성을 측정하는 중요한 지표이다 또한 건설 생산성은 비용 및 일정과 연관성이 있을 뿐만 아니라 프로젝트의 성공 여부와도 관련이 크다. 프로젝트에서 생산성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국내에서의 생산성 관련 연구는 생산성에 대한 기본 개념 및 원칙에 관한 기초적인 연구 없이 정량적인 연구에 집중되어 있으며, 관련 데이터 수도 적은 실정이다. 국내 건설 공사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생산성 관리의 정량적친 요인뿐만 아니라, 정성적인 요인까지 관리해야 하며, 저하요인에 따른 체계적이고 세부적인 프로세스 및 기법이 제시되어야 한다 이에 국내 건설 공사의 생산성 관리에 린 건설을 도입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생산성 저하요인과 린 건설에서의 Waste 요인과의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 국내 건설 공사 현장에서의 Waste 주요 의미를 살펴보고 두 요인간의 상호 관련성을 파악하여, 린 건설의 프로세스 및 기법을 국내 건설 공사 현장에 적용하기 위한 이론적인 근거를 제공하고자 한다.

Efficient Productivity Evaluation System in Construction Site (건설현장 생산성 측정의 효율적 방안 제시)

  • Jang, Hyo-Won;Kim, Soo-Yong;Kim, Dae-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2007.11a
    • /
    • pp.666-669
    • /
    • 2007
  • 건설 공사에 있어서 생산성은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하지만 국내 건설현장에서의 샌산성에 대한 인식은 상당히 낮은 것으로 보이며, 건설현장에서의 생산성에 대한 인식변화 및 활성화를 위한 토대를 마련하는 연구는 드물었다고 판단된다. 기존의 생산성 측정에는 많은 방법들이 사용되어지고 있으며, 이러한 측정 기법들은 생산성 측정에 있어서 결과만을 모니터링하고 보다 나은 결과물을 획득하는데 그 목적이 있어왔다. 하지만, 해외의 경우 건설 생산성의 초기투입단계에서의 관리와 노력을 통해 생산성을 향상시키고자 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린 건설에 관련하여 기존의 생산성 측정보다 쉽게 생산성을 측정할수 있고 빠른 피드백을 얻을 수 있는 percent plan complete(PPC)의 기법을 적용한 새로운 생산성 관리가 어떠한 프로세스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분석하고 국내 건설 현장의 새로운 생산성 관리 시스템 구축의 기반을 마련코자 한다. PPC는 계획되어진 작업계획의 신뢰성과 생산성을 측정 가능토록 해주며, 린 시스템의 적용이 필주적으로 수반되어야 한다. PPC 측정 후 작업이 실패되었을 경우 그 이유를 파악하고 원인 분석이 이루어져야 한다. 그렇게 된다면 어떤 공정에 대한 결과를 평가할 수 있고 그 과정에서 미래에 발생할수 있는 작업 실패를 예방할 수 있다.

  • PDF

WBS Development for Acquisition and Analysis of public Housing Productivity Data (공동주택 생산성 데이터 수집/분석을 위한 WBS 개발)

  • Kim, Jae-Woo;Kim, Yea-Sang;Kim, Young-Suk;Kim, Sang-Bum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9 no.5
    • /
    • pp.86-94
    • /
    • 2008
  • Productivity is one of key management indexes for evaluating soundness of a manufacturing organization and its efficiency. In many aspects of productivity management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however, intuition of an experienced field manager still plays a greater role while productivity data is not utilized efficiently for the construction management purposes, because the collection and analysis of the productivity-related information are not systematic. Lack of systematic method in collecting and analyzing the productivity data results in such problems. The existing WBS should therefore be improved to solve them. The authors developed a new WBS for productivity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by following the research direction that was determined by literature reviews, overseas cases, and interviews with field engineers. The new breakdown structure was then evaluated for its feasibility as a productivity analysis framework. It is expected that the productivity data collected by the WBS will be used for OLAP and mining for future productivity forecast.

Analysis on the Factors Influencing Construction Productivity for Management of Construction Productivity Information (건설 생산성 정보 관리를 위한 생산성 영향요인 분석)

  • Moon, Woo-Kyoung;Han, Sung-Hun;Kim, Yea-Sang;Kim, Young-Suk;Kim, Sang-Bum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2006.11a
    • /
    • pp.422-426
    • /
    • 2006
  • Productivity is one of the very important index that measures efficiency of production activities in industry, enterprises and the building industry as well. None the less, the concept of construction productivity is not so clear that productivity management in the building industry have been performed by experience or intuition, productivity related data have not been analyzed through effective productivity management, because structured definition and classification of factors influencing construction productivity did not exist so that it has not been known what information explain each of them.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t first construction productivity and factors influencing construction productivity are defined and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1)Project factors influencing construction productivity (2)Management factors influencing construction productivity (3)Activity factors influencing construction productivity. To find out relation between construction productivity and factors influencing construction productivity, a questionnaire survey for construction managers in the building industry has been conducted.

  • PDF

Collection and Utilization of the Construction Productivity Data and the Influence Factors Using Information Technology (IT 기술 기반의 건설 생산성 정보 및 영향요인의 수집 및 활용)

  • Lee, Hyun-Jung;Oh, Se-Wook;Kim, Young-Suk;Kim, Yae-Sang;Kim, Sang-B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2006.11a
    • /
    • pp.548-553
    • /
    • 2006
  • Activity-based productivity data can be used as an significant reference in many areas of project management such as performance evaluation and project planning. However, the existence of various factors influencing construction productivity makes it difficult to collect and analyze the productivity data. In the most of the domestic construction sites, there is no systematic method to collect and analyze the productivity data along with information on influencing factors; it is common to heavily rely on experience and intuition of field managers when dealing with construction productivity data.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management system for collecting and utilizing the productivity data as well as the factors influencing construction productivity. The main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define the construction productivity and its influencing factors at the activity level. In addition, methodologies on how to analyze the productivity data and to estimate productivity of future projects are proposed.

  • PDF

현장질병가이드 : 잘되는 농장은 잘되는 이유가 있다(9)

  • Son, Yeong-Ho
    • KOREAN POULTRY JOURNAL
    • /
    • v.42 no.8
    • /
    • pp.146-149
    • /
    • 2010
  • 여느 기업들과 마찬가지로 농장을 운영하는 목적은 이윤창출이다. 높은 이윤을 창출하기 위하여 농장은 우선 생산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인다. 지난 8개월 동안 '잘되는 농장은 잘되는 이유가 있다.'라는 제목으로 생산성 향상을 이루기 위한 요인들로 습도관리, 환기관리, 물 관리, 차단방역관리, 사료관리, 계군 모니터링, 기록관리, 그리고 혹서기 관리에 대하여 연재하였다. 생각하는 각도에 따라서는 생산성 향상을 위해 제시된 요인들이 '너무나 당연한 사항들 아닌가?' 라고 쉽게 말 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필자의 경험상 그것은 그리 간단한 문제들이 아니다. 농장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이들 요인들 가운데 각 농장별로 적합한 요인들을 분석하여 농장별 맞춤형 사양관리를 적용하여 농장의 생산성이 향상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지만 이러한 요인들을 농장에 적용하는 과정이 모두 원활하게 이루어진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때로는 짧은 시간 내에 필자에 의해 제시된 방법들이 받아들여지기도 했지만, 생산성을 올릴 수 있는 좋은 방법들이 농장에 정착되기까지 수년이 걸리기도 했다. 양계전문병원 개원 첫해부터 현재까지 13년간을 되돌아볼 때 농장에 수의서비스를 제공하는 사람의 입장에서는 제시된 요인들이 농장에 적용되면서 생산성이 향상될 때 보람을 느끼게 된다. 보다 긍정적인 마인드를 가지고 잘 되는 농장의 잘 되는 이유를 다시 한 번 생각해보고 농장에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적용해 보길 바란다. 이번 호를 끝으로 잘되는 농장 시리즈를 마감하면서 농장의 생산성에 영향을 미치는 기타 요인들에 대해서 점검해 보기로 하자.

생산관리시스템의 충고방식과 문제점

  • 대한전기협회
    • JOURNAL OF ELECTRICAL WORLD
    • /
    • no.9 s.105
    • /
    • pp.83-91
    • /
    • 1985
  • ''생산관리''라고 하면 보통 공장에서 생산에 종사하는 기술자로서 무엇인가 이질적인 것 같은 느낌이 없었는지, 생산기술에 대하여 이것은 사무계산에 불과하다든지 매일 변화하는 생산현장에 대하여 이것은 정형화된 사무처리에 불과하다든지 하는 극단적인 생각은 아닐지라도 ''생산관리가 공장의 생산성 향상에 기여하고 있는가''에 대해서는 별로 인식가치가 되고 있지 않는 것 같다. 생산관리란 ''생산이 과학적인 계획과 통제''이므로 그 목적은 생산성의 향상에 있는데 지금까지는 생산설비나 생산기술자, 워커 등과의 연결이 비교적 적었다. 컴퓨터가 대대량적인 수의를 아우트푸트하는데 이들과의 직접적인 연결은 별로 없다. 공장의 생산 시스템을 피라밋형으로 시행하면 생산관리는 상위에 있고 생산설비나 사람은 하위에 있으며 그 사이에는 왠지 갭이 있었다. 화학, 시멘트, 은, 지 등으로 대표되는 프로세스에서는 설비의 자동화가 ''프로세스오토메이션''으로서 일찍이 개발되어 이 갭이 서서히 메꾸어져 왔다. 한편 전기, 기계 등의 프로세스에서도 근년에 ''펙트리오트메이션''의 이름 아래 설비의 자동화, 라인화, 생산의 시스템화의 혁신이 이루어지고있으며 피라밋의 중앙에 가로 놓인 갭을 apRN는 요구가 강해지고 있다(그림1 참조) 여기서는 생산관리의 본체로서의 MRP는 간단하게 설명하고 이 갭을 메꾸는 시스템(여기서는 이것을 ‘생산관리’라고 한다.)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 PDF

The Application of Data Warehouse for Developing Construction Productivity Management System (건설생산성 관리 시스템 구축을 위한 데이터웨어하우스의 적용)

  • Oh, Se-Wook;Kim, Myoung-Ho;Kim, Young-Suk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7 no.2 s.30
    • /
    • pp.127-137
    • /
    • 2006
  • Productivity is important to evaluate an efficiency of performed work and organization in construction industry. The productivity should be defined as activity level rather than macro level in order to effectively use productivity data and manage a project. The primary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construction productivity management system using data warehouse, OLAP and data mining technologies which enables to easily accumulate the construction productivity data and perform multi layer analysis. Finally, it is anticipated that the effective use of the developed system would be able to measure the result of project and make a plan of the similar project with reliability.

A Study on Service Center Oriented Service Process Quality (서비스센터 중심의 서비스과정 품질에 관한 고찰)

  • Shin, Soo-Jeong;Ree, Sang-B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Quality Management Conference
    • /
    • 2009.10a
    • /
    • pp.341-346
    • /
    • 2009
  • 서비스는 이질성, 생산과 소비의 비분리성, 개별성, 즉흥성, 소멸성 등의 속성 때문에 품질관리가 어렵고, 정량적인 관리가 쉽지 않던 연구 분야였지만, 최근 들어 서비스품질에 관한 연구는 과학적인 접근방법들을 통해 서비스사이언스로 거듭나고 있다. 서비스 분야 연구에 생산운영의 개념이 적용되면서 서비스전달시스템 분석과 같이 서비스 과정을 도식화하여 전체 흐름을 파악하여 실수 가능 위치를 발견하여 관리하는 서비스과정에 대한 품질관리가 체계적으로 진행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들이 발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서비스 생산운영에 대한 개념들 특히 서비스 생산시스템(공정관리)을 설명하고, 소비재를 생산하는 제조기업들의 서비스 센터를 중심으로 서비스 생산프로세스를 분석한 연구 사례를 소개함으로써 서비스 분야에서도 공정관리가 가능함을 서비스 실무자들에게 소개하고자 한다.

  • PDF

중소기업용 제조관리 시스템 개발

  • 이현용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Precision Engineering
    • /
    • v.11 no.1
    • /
    • pp.11-19
    • /
    • 1994
  • 오늘날 노사분규로 인한 인건비 상승, 무역마찰등의 경제환경이 변화하고 시장환경의 특성이 다품종소량생산, 시장다변화에 따른 생산계획의 빈번한 변화, Life Cycle의 단축, 단납기화, 품질의 고신뢰성 등의 추세를 따르고 있어 이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생산기술과 관리기술면에서 일대 혁신이 필요합니다. 자재, 공정, 설비, 재고, 원가, 납기등을 유기적으로 연결하고 이를 하나의 체계로 관리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생산성의 향상은 생산기술의 진보에 의하여 얻어지는 것에 비해 결코 적지않을 것입니다. 또한 생산자동화를 위한 선행조건 으로 제조관리 업무의 개선이 필요하므로 제조관리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하여도 지나침이 없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