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생분해성 고분자

검색결과 270건 처리시간 0.023초

다중 전극 어레이 기반 전기수력학 인쇄 기술을 이용한 생분해성 고분자의 2차원 마이크로 패터닝 연구 (A Study of 2D Micro-patterning of Biodegradable Polymers by MEA (Multi Electrode Array)-based Electrohydrodynamic (EHD) printing)

  • 황태헌;류원형
    • 한국입자에어로졸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111-118
    • /
    • 2017
  • 전기수력학 (Electrohydrodynamic, EHD) 프린팅 기술은 전기장을 이용하여 일반 프린팅 기술보다 더 작은 크기의 액적을 분사하고 패터닝할 수 있는 장점을 갖고 있다. EHD 프린팅은 일반적으로 인쇄 노즐이나 기판을 X-Y 방향으로 움직여 패턴을 제작하는 방식으로 사용되어 왔으나 본 연구에서는 다중전극 어레이 (Multielectrode array, MEA)를 이용하여 원하는 기판위에 2차원의 패터닝이 가능함을 연구하였다. 특히, 약물전달장치 등의 바이오메디칼 디바이스로의 응용이 가능한 생분해성 고분자와 염료를 혼합한 잉크의 EHD 프린팅을 시도하였으며 노즐이나 기판의 움직임 없이 안정적으로 분사할 수 있는 2차원 범위에 대한 연구를 통해 최소 약 $6{\mu}m$ 크기를 갖는 패턴을 노즐 위치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약 1 mm 범위까지 안정적 패터닝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MEA 전극 간의 거리에 의한 패턴 조밀도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MEA와 인쇄가 이루어지는 기판과의 상대적 이동을 통해 더 조밀한 패터닝이 가능함을 보여주었다.

PLA/LDPE 블렌드의 상용화 (Compatibilization of PLA/LDPE blends)

  • 이무성;김영필;이기영;김영대;최창남
    • 한국섬유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섬유공학회 2003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323-324
    • /
    • 2003
  • 생분해성 고분자 중에서 폴리락타이드 (poly(1-lactide), PLA)는 대량생산이 가능하기 때문에 많은 관심을 끌고 있다.[l,2] 그러나 상온에서 딱딱하고, 쉽게 가수분해가 일어나기 때문에 일반적인 용도로 다양하게 사용되기 위해서는 이런 단점이 개선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생분해성 포장재료로 사용할 목적으로 PLA에 저밀도폴리에틸렌 (LDPE)를 혼합하여 PLA/LDPE 블렌드를 제조하였다. PLA/LDPE 블렌드는 비상용성이므로 이를 제어하기 위한 반응형 상용화제 첨가효과를 연구하였다. (중략)

  • PDF

셀룰로오스 섬유의 생분해성 평가 (Evaluation of Cellulosic Fiber해s Biodegradation)

  • 강연경;박정희
    • 한국섬유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섬유공학회 2002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23-126
    • /
    • 2002
  • 섬유와 같은 고분자 물질의 생분해성은 그 분자의 화학적, 물리적 특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므로 같은 셀룰로오스로 이루어진 섬유라고 해도 각각의 화학적 구조나 물리적 특성에 따라 분해 거동이 다를 수 있다. 면, 마, 레이온, 아세테이트 등은 모두 셀룰로오스계 섬유라는 공통점이 있으나 구조적 차이, 제조 공정의 차이, 그리고 분자의 화학 조성 등이 다르며, 함유되어있는 비셀룰로오스분의 종류 및 구성비가 다르다. (중략)

  • PDF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생분해성 고분자의 합성 (Synthesis of Biodegradable Polymers with Carbon Dioixde)

  • 신상철;신재식;이윤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5권6호
    • /
    • pp.521-525
    • /
    • 2004
  • Poly(ethylene carbonate)(PEC)와 유사한 카보네이트 삼원공중합체의 생분해성이 시험관(in vitro)에서 연구 되었다. PEC는 온실가스 가운데 하나인 이산화 탄소와 ethylene oxide(EO)를 zinc glutarate 촉매로 이용하여 합성되었고, 삼원공중합체는 EO, cyclohexene oxide(CHO)와 이산화 탄소로 만들었다. PEC와 EO를 포함하는 삼원공중합체는 생분해성을 보였으나 poly(propylene carbonate)(PPC)와 poly(cyclohexene carbonate)(PCHC)는 거의 분해되지 않았다. 생분해성은 무게 감소, FT-IR, SEM 등으로 확인하였다.

  • PDF

자외선 조사에 의한 PLA 직물의 광가교 (Photo-crosslinking of PLA Fabrics by UV Irradiation)

  • 윤득원;장진호
    • 한국염색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염색가공학회 2011년도 제44차 학술발표회
    • /
    • pp.51-51
    • /
    • 2011
  • PLA(Poly(lactic acid))는 옥수수, 사탕수수와 같은 천연재료에서 얻어진 젖산(lactic acid or lactide)을 원료로 하여 합성한 생분해성 고분자로서 석유자원의 고갈과 환경오염에 대한 관심이 고조됨에 따라 합성고분자를 대체할 재료로 각광받고 있다. 일반적인 PLA의 장점으로 투명성, 굽힘강성, 방수성, 가열밀봉성 등이 있으며, 단점으로는 열안정성, 내구성, 충격 강도 등이 있다. PLA를 섬유로 사용될 경우 농림 토목용 생분해성 소재 뿐 아니라 실크의 광택과 뛰어난 드레이프성, 감촉을 갖는 장점이 있다. 또한 수분을 신속하게 흡수하여 발산시키는 특성을 가지고 있고, 낮은 연소열과 가스량, 자기 소화성 등의 방염 특성 등을 지녀 의류 인테리어 소재로 매력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다. PLA는 바이오고분자 중 비교적 높은 용융온도를 가지고 있지만 특히 염색 및 가공조건 등 고온 처리에 의해 기계적 강도가 저하되는 단점이 있어 내열성 및 기계적 강도의 향상이 필수적이다. 내열성 및 기계적 강도 향상을 위한 가장 손쉬운 방법은 고분자 사슬을 가교시키는 것으로서 열처리 또는 감마선, 전자선, 자외선 조사를 이용할 수 있는데 열에 의한 가교는 균일한 열전달과 고온이 필요하며 감마선 및 전자선 조사는 설비의 고비용과 방사성 노출 위험으로 인해 비친환경적이다. 따라서 다루기 쉽고 비용이 적게 들고 친환경적인 장점을 가진 자외선 조사법을 이용한 PLA의 광가교의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PLA 직물의 열안정성과 기계적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광개시제와 자외선 조사를 이용하여 PLA 직물의 광가교를 수행하였다.

  • PDF

쾌속조형기법을 이용한 생분해성 스텐트용 메쉬필름의 약물방출거동 효과 (Effect of Drug Eluting Uniformity for Biodegradable Stent by Solid Freeform Fabrication)

  • 정신영;김양은;고영주;신왕수;이준희;김완두;유영은;박수아
    • 폴리머
    • /
    • 제38권1호
    • /
    • pp.93-97
    • /
    • 2014
  • 약물방출 고분자 코팅 스텐트는 수술후 재협착을 획기적으로 줄였지만, 약물방출이 균일한 구조체를 제작하는 것이 어렵고 체내에 구조체를 영구적으로 남겨야 하는 부담을 여전히 가지고 있다. 이를 해결하는 방안으로 생분해성 고분자로 스텐트를 제작하는 방법들이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조형가공기술(solid freeform fabrication, SFF)의 하나인 쾌속조형기법(rapid prototyping technique)의 3차원 플로팅(3D plotting) 기술을 이용하여 파크리탁셀(PTX) 약물을 함유한 폴리카프로락톤(PCL) 3차원 구조체를 제작하였고, 생분해성 PCL 고분자로부터 PTX의 방출거동과 스텐트 제작 가능성을 고찰하였다. 약물을 포함한 구조체의 표면특성을 SEM으로 확인한 결과 굴곡이 자연스럽고 매끄러운 표면을 가지고 있었다. FTIR을 통해서 약물이 성공적으로 구조체에 포함되었음을 확인하였고, NMR과 HPLC를 통해서 PCL 구조체 중의 PCL함량과 PTX의 서서히 방출됨을 확인되었다. 또한 세포실험을 통해 구조체에서 방출된 약물이 생물학적으로 활성을 유지하고 있으며, 반복제작된 구조체에서도 균일한 활성의 약물이 방출됨을 확인하였다. 이와같은 쾌속조형기법을 이용하여 약물을 포함하는 구조체를 제작하고 분석함으로써, 생분해성 고분자 스텐트로서의 적용가능성을 제시하였다.

Biopolymer 생산공정의 개발

  • 유영제
    • 미생물과산업
    • /
    • 제18권1호
    • /
    • pp.23-27
    • /
    • 1992
  • 전분이 함유된 플ㄹ스틱 및 광분해성 플라스틱은 제외하고 순수하게 생분해되는 생분해성 고분자의 시장은 세계적으로 년간 140만톤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 중에서 생물공학과 직접적으로 관계가 있는 것은 polylactide계 polymer의 원료가 되는 lactic acid, pullulan과 같은 polysaccharide 그리고 PHA와 같은 polyester등으로서 본고에서는 PHA(polyhydroxyalkanoate)를 중심으로 생산공정이 어떻게 개발되어 오고 있는가 간단히 고찰하고자 한다. 이러한 생산공정의 원리는 pullulan 및 xanthan gum과 같은 타 생물고분자의 경우에도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 PDF

생분해성 고분자의 전기분사를 이용한 약물방출 스텐트용 금속표면 코팅 및 ALA방출 거동 (Metal Surface Coating Using Electrospray of Biodegradable Polymers and $\alpha$-Lipoic Acid Release Behavior for Drug-Eluting Stents)

  • 김동민;이봉수;박철호;박귀덕;손태일;정명호;한동근
    • 폴리머
    • /
    • 제34권2호
    • /
    • pp.178-183
    • /
    • 2010
  • 의료용 금속스텐트는 관상동맥계 심장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에 시술되어 상대적으로 생존율을 높여 준다. 그러나, 재협착 및 후기 혈전증으로 인하여 새로운 스텐트의 개발이 시급하게 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신생내막 과대증식을 막을 수 있는 것으로 알려진 alpha lipoic acid(ALA)를 생분해성 고분자인 poly(lactide-coglycolide)(PLGA), poly(L-lactide)(PLLA) 및 poly($\varepsilon$-caprolactone)(PCL)과 혼합하여 전기분사 방식으로 스테인레스 스틸 표면 위에 코팅하였다. 코팅된 고분자로부터 약물방출 거동은 고분자의 종류와 농도, 용출속도 및 용매의 종류에 따라서 조사하였다. 약물방출 속도는 유리전이온도($T_g$)가 낮은 PCL에서 가장 빨랐으며 PLGA, PLLA 순서를 보였다. 고분자 표면의 거친정도는 용출속도가 증가함에 따라서 증가하였고, 용매의 비등점의 차이에 의해서 약물방출속도가 변화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약물방출 거동을 조절함으로써 ALA가 담지된 생분해성 고분자로 코팅된 약물방출 스텐트를 실제 임상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HMDI 가교 폴리아스팔트아미드 수화젤의 제조 및 특성 (Preparation and Properties of Biodegradable Hydrogels from Poly(2-hydroxyethyl aspartamide) and HMDI)

  • 김정훈;심상준;이동현;김덕준;이영관;김지홍
    • 폴리머
    • /
    • 제29권5호
    • /
    • pp.518-521
    • /
    • 2005
  • 생분해성 고분자와 수화젤의 약물 전달 시스템과 조직 공학을 포함하는 다양한 생의학적인 응용이 점차 확대되고 있다. 하이드록실 pendant group을 갖고 있는 폴리아미노산의 하나인 PHEA는 뛰어난 생분해성과 우수한 생체적합성을 갖는 고분자로 알려져 있다 PHEA 및 그 유도고분자를 제조하고 이를 다양한 생의학적인 응용에 적용하는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유기용매에서 가교제인 HMDI를 사용하여 PHEA 수화젤을 제조하였다. PHEA는 아스팔트산의 열 축중합에 의해 합성한 polysuccinimide와 ethanolamine과의 고분자 반응으로부터 제조하였다. 제조한 수화젤에 대한 서로 다른 수용액과 pH용액에서의 팽윤 거동을 조사하였고, SEM을 통한 수화젤의 모폴로지와 가수분해 거동을 관찰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