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생물 오염

Search Result 1,489,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토양오염 유발시설의 오염현황 조사 및 오염토양 복원 방안 연구

  • 노성혁;백형환;신정남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3.04a
    • /
    • pp.344-347
    • /
    • 2003
  • 본 조사를 통해 토양오염유발시설 중 유류 유출사고가 잦은 주유소에서의 오염현황 조사방법과 오염토양에 대한 적정한 정화기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오염현황 조사결과, 지층구조 는 전반적으로 Clay로 구성되어 있으나 오염토양 주변은 비교적 투수도와 통기성이 우수한 Silty Sand층을 나타내고 있었다. 본 주유소의 경우 주유기 주변(상층부)과 지하유류저장탱크 주변(수직분포)에 오염이 분포되어 있고, 오염원인은 주유기의 배관 파손 및 결함에 의해 발생한 것으로 예상된다. 본 조사지역에 대한 정화기법으로는 토양증기추출기술(SVE)과 불포화대를 생물학적으로 복원할 수 있는 바이오벤팅기술을 결합시킨 Bioslurping이 효과적일 것으로 평가된다. 또한 Bioslurry injection treatment를 병행하여 효과적으로 고농도의 오염토양을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 Proposal of Standard Method for the Analysis of Total Petroleum Hydrocarbons (TPHs) in Marine Sediments and Biota (해양환경시료(해저퇴적물과 해양생물)에 축적된 석유계총탄화수소(TPHs) 분석에 대한 공정시험기준 제안)

  • Kim, Chang-Joon;Hong, Gi-Hoon;Jeon, Ji-Yeun;Kim, Suk-Hyu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 & Energy
    • /
    • v.13 no.4
    • /
    • pp.249-262
    • /
    • 2010
  • Regulatory test method for Total Petroleum Hydrocarbons (TPHs) in the marine sediment and biota has not still been established even though TPHs are one of the major pollutants in marine environment. Based on the Korean Soil Standard Method (SSM) for TPHs, we considered a new treatment method for determining TPHs in marine environmental samples by using a Gas chromatography coupled with Mass spectrometric detector. We suggested an improved recovery test for quality control procedures and introduced analytical procedures of removing sulfur, polar organic materials, water and saponification for removing neutral lipids in marine bottom sediments and biota.

A Biological Complex Soil Treatment Process Using Selected Soil Bacterial Strains (현장 미생물을 이용한 생물학적 복합토양정화공정에 관한 연구)

  • Cha, Minwhan;Lee, Hanuk;Park, Jaewoo
    •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 /
    • v.11 no.5
    • /
    • pp.5-13
    • /
    • 2010
  • The research is intended to develop and verify a biological complex soil treatment process to treat and restore soil and groundwater which is contaminated with oil, heavy metals, and nutrients through experiments with the series of treatment process such as bioreactor, rolled pipe type of contact oxidation system(RPS), and chemical processing system. 5 microbial strains were separated and selected through experiment, whose soil purification efficiency was excellent, and it was noted that anion- and nonion-series of complex agent was most excellent as a surfactant for effectively separating oils from soils. Method to mix and apply selected microbes after treating the surfactant in the contaminated soil was most effective. The removal efficiencies of total petroleum hydrocarbon (TPH)-contaminated soil about 5,000mg/L and above 10,000mg/L were approximatly 90.0% for 28 days and 90.7% for 81 days by soil remediation system and the average removal efficiencies of BOD, $COD_{Mn}$, SS, T-N, and T-P in leachate were 90.6, 73.0, 91.9, 73.8, 65.7% by the bioreactor and RPS. The removal efficiency was above 99.0% by chemical processing system into cohesive agents.

Deduction of Best Design Factor of Riparian Buffer Zone for Reduction of Non-Point Pollutants (비점오염 부하 저감을 위한 수변완충지대의 최적 인자 도출을 위한 연구)

  • Kim, Sung-Won;Choi, I-Song;Jung, Sang-Jun;Woo, Hyo-Seop;Oh, Jong-M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788-1792
    • /
    • 2007
  • 한강 "수변구역"에서 비점오염물질의 공공수역 유입을 억제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 중에서 보편적이고 자연친화적인 방법은 다양한 생물의 서식공간이며, 동시에 본류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수질을 정화시키는 수질개선 공간인 수변완충구역, 또는 지대를 설정하여 관리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수변완충지대 효과 분석 및 설정에 관한 연구는 국내에서 아직 수행되지 않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수변구역의 자정능력을 높이는 것은 물론 그 밖의 하천 연안에서 비점오염물질의 차단과 처리능력을 증진시키고 수변 생태계의 서식처 보전 및 복원을 위해서 수변완충지대의 수질정화 기술개발과 생물다양성을 창출하는 수변완충지대 조성 기법을 개발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수변완충지의 추가적인 조성과 보완, 시험완충지 생태구조 및 기능 기초조사, 시험완충지 오염부하 저감효과의 실험 및 분석, 수변완충지대 설치 구상 등의 연구를 수행하여 수변완충지대 조성 시 설정 폭을 산정할 수 있게 하였다. 수행 지역은 한강수계 지역으로 남한강 수변인 경기도 양평군 병산리에서 실시하였으며, 잔디와 갈대, 갯버들, 혼합지역, 자연그대로의 상태(대조지역)의 5 구역으로 구분하였고, 거리별, 깊이별 샘플을 채취하여 유입수에 대한 오염물질 제거효율을 도출하고, 이를 이용하여 수변완충지대의 설계 시 필요한 유역의 폭, 면적, 길이 등과 같은 설계인자를 도출할 수 있도록 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nti-Fouling System Using a High Frequency?High Voltage Pulse Power (태양광을 활용한 선체방오시스템 개발)

  • Kim, Shin-Hyo;Kim, Hee-Je;Kim, Hyun-Min
    • Journal of Korea Ship Safrty Technology Authority
    • /
    • s.34
    • /
    • pp.18-32
    • /
    • 2013
  • 최근 선저 부착 생물에 관한 문제가 환경오염으로 확대되고 그에 따른 여러 가지의 선체 방오 방법 중 특히 주석(Sn)의 화합물질의 화학반응으로 따개비 등의 오염 요소를 방지하는 기존 방법이 수은, 구리 등의 유독성 화합물에 의해 임포섹스 유발과 그에 따른 2차 오염 확산의 요인이 되어 2012년 7월부터는 유기주석화합물(TBT) 도료를 사용한 신규 선박은 규제되는 등 그 심각성이 대두하고 있다. TBT는 매우 미량의 농도에서도 다양한 생물학적 저해영향을 일으키는 것이 알려져 이를 대체하기 위한 여러 화학물질이 개발됐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추세에 따라서, 유독성 화합물의 독성을 벗어나 저 전류의 고주파 고전압 펄스 에너지를 이용한 새로운 환경조성을 통해서 부착성 패류의 선저 부착에 대한 특성을 연구하였으며, 특히 환경오염 및 해양오염에 영향이 적은 방오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 적용된 고전압 펄스 시스템을 이용하여 선체의 부식정도를 저감 가능한 시스템을 구현을 위한 기초 실험과 현재 이슈화 되고 있는 선박평형수의 살균장치에 적용하는 파생연구들을 통하여 해양오염방지 요소들을 겨냥하여 후속연구를 위한 토대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 PDF

하천 오염현황과 대책

  • 이은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pplied Microbiology Conference
    • /
    • 1979.10a
    • /
    • pp.234-236
    • /
    • 1979
  • 인구의 도시집중과 고도산업사회 건설에 필연적으로 수반되는 도시하수 및 산업폐수등은 하천을 심각하게 오염시켜 하천수가 지니고 있는 자정능력 한계를 초과하고 있어 재생될수 없는 상태이므로 수자원의 보호가 요청된다. 이런 상황의 하천오염 증가 추세와 주요 오염원 및 오염물에 대하여 고찰하고 대책에 방향을 제시한다. 먼저 전국의 급수 현황과 장래를 보면 다음과 같다. 한편 수도권 한강수계를 오염시키는 주요 오염원인 폐수를 보면 주거지의 생활하수, 상업행위로 발생되는 폐수와 공장의 산업폐수로 대별할 수 있으며 수도권 한강에 유입 되는 지천 수질을 보면 다음과 같다. 위와 같은 상태의 총폐수량은 280만톤인데 비하여 청계, 중량하수처리장과 서부 북부 동부분뇨처리장의 일일 처리능력은 16.4%에 불과하다. 한편 서울지역 오염원구성비를 보면 다음과 같다. 이런 계속적인 오염물은 1977년 경우 갈수기에 80~100t/sec의 하천유량으로 희석되고 있어 자정능력 한계를 벗어나서 하류의 물은 혼탁하고 용존산소의 고갈현상을 초래하고 있다. 그러므로 도시 하천에서는 수류침체로 인한 하상퇴적을 방지하여 국소적 오염의 심화를 방지하며 유량을 증가 시켜야 한다. 수도권 한강 수계의 수질의 일부는 다음과 같다. 한편 생활수준의 향상과 더불어 수요가 급증되며 처리장의 효율과 하천수의 수질을 악화시키는 합성세제의 총생산량은 1971년에 21000톤이던 것이 1978년에는 약 50,000톤에 이르고 있으며 이중 55~60%가 서울지역에서 소모되는 것으로 추산되어 진다' 결과 한강수에서 검출되는 합성세제의 오염 현황을 보면 다음과 같이 이미 몇개 지점에서는 세계 보건기구의 허용량인 0.5ppm을 초과 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오염의 연쇄현상을 나타내는 중금속의 일종인 csduium의 검출 정도를 보면 다음과 같다. 이상의 하천오염에 따른 수중생태계의 변화는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 환경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세부적 기계에 대하여는 규명되지 않은 문제가 아직도 많으며 지표생물의 표현형은 중요한 가치를 부여하고 있다. 식물성 plankton의 우점종의 출현 빈도에 따른 수질계급을 보면 뚝섬지역 BOD 3.3~5.3 빈부수성 $~\alpha$ 중부수성, 보광동 BOD 6.0~10.3중부수성, 제 2한강교 BOD10~28 $\alpha$ 강부수성, 난지도 BOD29 $\beta$ 강부수성 등이며 이와 상이한 결과도 보여주고 있다. 이상으로 볼 때 1) 가정하수의 질을 높이기 위하여 분뇨정화조 의 효율증대 2) 산업폐수의 공정별 폐수량의 조절 및 폐수성 상에 따른 총량규제에 대비한 효율증대 3) 하천의 오염부하와 자정능력 최대한 부여 4) 폐수처리를 위한 미생물제개발 및 오염지표 종 연구와 오염내성 생물의 연구등이 종합적 으로 수행되어야 한다. 5) 이상의 모든 조사와 연구결과를 객관적으로 표기할 수 있도록 하천의 이정표가 정해져야 하겠다.

  • PDF

Bioremediation of Oil-Contaminated Soil Using Rhizobacteria and Plants (근권세균과 식물을 이용한 유류 오염 토양의 생물복원)

  • Kim Ji-Young;Cho Kyung-Suk
    •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Letters
    • /
    • v.34 no.3
    • /
    • pp.185-195
    • /
    • 2006
  • Phytoremediation is an economical and environmentally friendly bioremediation technique using plants which can increase the microbial population in soil. Unlike other pollutants such as heavy metals, poly-chlorinated biphenyl, trichloroethylene, perchloroethylene and so on, petroleum hydrocarbons are relatively easily degradable by soil microbes. For successful phytoremediation of soil contaminated with petroleum hydrocarbons, it is important to select plants with high removal efficiency through microbial degradation. In this study, we clarified the roles of plants and rhizobacteria and identified their species effective on phytore-mediation by reviewing the papers previously reported. Plants and rhizobacteria can degrade and remove the petroleum hydrocarbons directly and indirectly by stimulating each other's degradation activity. The preferred plant species are alfalfa, ryegrass, tall fescue, poplar, corn, etc. The microorganisms with a potential to degrade hydrocarbons mostly belong to Pseudomonas spp., Bacillus spp., and Alcaligenes spp. It has been reported that the elimination efficiency of hydrocarbons by soil microorganisms can be improved when plants were simultaneously applied. For more efficient restoration, it'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plant-rhizobacteria interaction and to select the suitable plant and microorganism species.

The Extended Site Assessment Procedure Based on Knowledge of Biodegradability to Evaluate the Applicability of Intrinsic Remediation (자연내재복원기술(Intrinsic Remediation)적용을 위한 오염지역 평가과정 개발)

  • ;Robert M. Cowan
    • Journal of Korea Soil Environment Society
    • /
    • v.2 no.3
    • /
    • pp.3-21
    • /
    • 1997
  • The remediation of contamiated sites using currently available remediation technologies requires long term treatment and huge costs, and it is uncertain to achieve the remediation goal to drop contamination level to either back-ground or health-based standards by using such technologies. Intrinsic remediation technology is the remediation technology that relies on the mechanisms of natural attenuation for the containment and elimination of contaminants in subsurface environments. Initial costs for the intrinsic remediation may be higher than conventional treatment technologies because the most comprehensive site assessment for intrinsic remediation is required. Total remediation cost, however may be the lowest among the presently employed technologies. The applicability of intrinsic remediation in the contaminated sites should be theroughly investigated to achieve the remedial goal of the technology. This paper provides the frame of the extended site assessment procedure based on knowledge of biodegradability to evaluate the applicability of intrinsic remediation. This site assessment procedure is composed of 5 steps such as preliminary site screening, assessment of the current knowledge of biodegradability, selecting the appropriate approach, analyzing the contaminant fate and transport and planning the monitoring schedule. In the step 1, followings are to be decided 1) whether to go on the the detailed assessment or not based on the rules of thumb concerning the biodegradability of organic compounds, 2) which protocol document is selected to follow for detailed site assessment according to the site characteristics, contaminants and the relative distance between the contamination and potential receptors. In the step 2, the database for biodegradability are searched and evaluated. In the step 3, the appropriate biodegradability pathways for the contaminated site is selected. In the step 4, the fate and transport of the contaminants at the site are analyzed through modeling. In the step 5, the monitoring schedule is planned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modeling. Through this procedure, users may able to have the rational and systematic informations for the application of intrinsic remediation. Also the collected data and informations can be used as the basic to re-select the other remediation technology if it reaches a conclusion not to applicate intrinsic remediation technology at the site from the site assessment procedure.

  • PDF

Evaluation of the pre treatment tank filter media layer in LID technologies (LID 기법 전처리 시설 내 여재층 특성 평가)

  • Choi, Hye Seon;Jeon, Min Su;Geronimo, Franz Kevin;Reyes, Nash Jett;Kim, Lee Hy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367-367
    • /
    • 2022
  • 토지이용의 고도화에 따라 비점오염원 부하는 증가하는 추세이며 기후변화에 따른 강우강도 증가 등으로 지표면에 축적된 고농도의 비점오염물질이 하천으로 유출, 수질오염을 가중시키고 있어 비점오염원 관리가 필요하다. LID 기법은 자연적 기작(mechanisms)과 공정(process)을 이용하여 생태계의 물질순환(물순환 포함)과 에너지 흐름이 원활하도록 조성하는 기법으로, 불투수층면에서 발생되는 강우유출수를 관리 가능하다. LID 시설에는 전처리 시설을 두어 초기 고농도의 입자상 물질을 저감시키고, 강우유출수 저류공간을 통한 유출저감, 첨두유량 등을 저감시킨다. 이러한 전처리 시설에는 유기물질 및 영양소의 생물학적 제거를 위한 미생물 서식공간의 제공 등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양한 여재를 적용하고 있다. 본 연구는 비점오염물질 유입이 LID 기법 전처리 시설 내 여재층의 물리·화학적 및 생물학적 환경을 평가하였다. 3개 시설 모두 100%의 불투수층에서 발생되는 강우유출수를 처리하는 LID 시설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각각의 전처리 시설에는 자갈, 우드칩, 쇄석 등이 적용되어 있다. 퇴적물의 경우 가장 상부에 존재하는 층으로 퇴적물의 오염물질 농도는 2~10.7배 이상 매우 높게 나타났다. 우드칩의 경우 다른 여재에 비해 높은 함수량과 유기물 함량을 보였으며 이는 우드칩의 수분을 보유하는 능력과 거친 표면공극에 오염물질이 부착되기 때문으로 나타났다. 또한, 같은 무기성 여재인 쇄석과 자갈의 경우 여재 크기의 차이를 보임에도 불구하고 미생물의 군집구성과 함수량의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유기물의 함량이 낮은 강우유출수의 생물학적 처리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유기성 여재가 필요하며, 다공성 무기 멀칭재를 적용하고 하부의 토양은 적정 유기물을 배합하여 질산화 및 탈질화 유도가 가능하도록 설계가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Contents of Sulfur, Fluorine, Wax and Chlorophyll in Needle Tissue and Needle Growth of Pinus thunbergii as Bioindicators of Air Pollution (대기오염(大氣汚染) 지역의 해송엽내(海松葉內) 수용성(水溶性) 황(黃), 불소(弗素), WAX, 엽록소(葉綠素) 함량(含量) 및 엽(葉) 생장(生長)의 변화와 생물지표성(生物指標性))

  • Kim, Joon Sun;Kim, Yong Hwan;Lee, Han Yol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v.82 no.4
    • /
    • pp.347-353
    • /
    • 1993
  • Accumulation of air pollutants such as $SO_2$ and HF, chlorophyll contents, wax concentrations in needle tissue and needle growth of Pinus thunbergii were studied to verify possibilities of bioindicators of air pollution in Yochon Industrial Complex from July to October, 1991. The concentrations of water-soluble sulfur and fluorine increased nearer to the pollution sources regardless of sampling time, but water-soluble sulfur varied little during investigation and fluorine accumulated more with the passage of time. Total chlorophyll contents decreased a little in the slightly polluted site but sharply in the heavily polluted site. The higher the pollution level was, the more decreased chloroform-extractable wax. Air pollution exposure inhibited needle growth of Pinus tbunbergii during the latter part of growth period. Water soluble sulfur, fluorine and wax concentrations in needle of Pinus thunbergii were rather wood sensitive indicators of susceptibility to ambient air pollution from early July to early October. Chlorophyll contents seemed to be able to be used as a bioindicator of air pollution in early stage of needle development and in the severely polluted area. In the meanwhile needle length must be used as a bioindicator in latter part of growing seas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