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생물 부착

Search Result 548,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잘피(Zostera marina L.)에 부착하는 생물 군집의 생태학적 연구 - II. 잘피와 부착생물의 성장에 미치는 물리ㆍ화학적 요인

  • 정미희;최청일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2.10a
    • /
    • pp.211-212
    • /
    • 2002
  • 해초에 서식하는 부착생물의 생태학적인 이해를 위해 수주의 물리 화학적 요인 (수온, 염분, 영양염의 농도)이 잘피와 부착생물 및 부착조류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영양염의 농도 중 특히 질산염은 해양 수주 내에 부족할 경우 식물 플랑크톤을 비롯한 광합성 식물의 성장을 방해하는 요인으로 잘 알려져 있으며 (예, Bougis, 1976), 질산염이 부착생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많은 연구가 수행되었다(Williams and Ruckelshaus, 1993, Coleman and Burkholde.,1994, 1995). (중략)

  • PDF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Epiphytes on Seagrass - II. Effects of Physico-chemical Factors on Eelgrass (Zostera marina L.) and Epiphytes (해초에 부착하는 부착생물 군집의 생태학적 특성 - II. 물리화학적 요인이 잘피 및 부착생물에 미치는 영향)

  • Chung, Mi Hee;Youn, Seok-Hyun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 /
    • v.30 no.3
    • /
    • pp.272-279
    • /
    • 2012
  • This was the second study on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epiphytes on seagrass leaf.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variation of epiphytes on seagrass leaf depending on the change of physico-chemical factors such as salinity, nutrients, and etc. This study showed the four results. 1) The eelgrass growth was influenced by water temperature, suggesting the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eelgrass growth and water temperature. 2) The epiphytes growth on seagrass leaves did not show the correlation with water temperature, but negatively correlated with salinity. 3) The eelgrass growth decreased when the concentraion of nitrogen increased. 4) However, loads of epiphytes increased when the concentration of total nitogen (TN), nitrate ($NO_3^-$), and nitrite ($NO_2^-$) were high. This increase of epiphytes growth could be suggested in the cause-effect pathway of nutrient enrichment leading to seagrasses loss.

Biological Effect with Remove the Attached Organisms of Haliotis discus hannai (북방전복 Haliotis discus hannai의 부착생물 제거에 따른 생물학적 영향)

  • So Ryung, Shin;Hyeon Jin, Kim;Doo-Jin, Hwang;Hyun Chool, Shin;Jung Sick, Lee
    • Journal of Marine Life Science
    • /
    • v.7 no.2
    • /
    • pp.154-162
    • /
    • 2022
  • In this study, data on the types and density of abalone attached organisms were provided in marine net cage of the southern coast. In addition, the effect of the removal of attached organisms was evaluated. In marine net cage, oysters, bryozoa, and barnacles were dominated among the attached organisms, and their average area ratio was about 57.5%. The growth rate and hepatopancreas condition were better in removal group of attached organisms than control group. Therefore, it is judged that the removal of attached organisms from abalone is necessary for the growth of individuals and improvement of value.

Study on the Biofouling Management of International Ships Entering South Korea (국내입항 국제운항선의 선체부착생물 관리에 대한 연구)

  • Park, JeongKyeong;Hoe, ChulHoi;Kim, HanPil;Cho, YuKyeo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28 no.1
    • /
    • pp.10-18
    • /
    • 2022
  • With the increase in world trade through ships, the destruction of the marine ecosystem and socioeconomic damage due to invasive alien species (IAS) are continuously increasing. In particular, marine organisms attached on the hull surface and niche area increase the friction resistance of ships as well as the invasion of non-indigenous species, and causes a decrease in operational efficiency and an increase in GHG (Green House Gas) emissions. The International Maritime Organization (IMO) has recently begun revising guidelines for the control and management of ship's biofouling, and New Zealand and California in the United States are already regulating biofouling management under their own law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anagement status of the submerged surface of ships and marine organisms attachments on five international ships entering South Korea, and analyzed species group and coverage (%) of biofouling communities to evaluate the LoF (Level of Fouling) rank. Macroflouling was observed on all ships surveyed, and specially, the adhesion of macro organisms in niche areas such as bow thruster, bilge keels and sea-chest gratings appeared to be at a serious level. This study proposed the management direction our country should take with regard to ship's biofouling and the improvement measures for evaluation of LoF rank and inspection methods of hull and niche ares.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Epiphytes on Seagrass - I. Variations of the Epiphytic Community and Biomass Related to the Host Plant ($Zostera$ $marina$ (eelgrass) (해초에 부착하는 부착생물 군집의 생태학적 특성 - I. 잘피 ($Zostera$ $marina$ L.)의 성장에 따른 부착생물의 군집 변화)

  • Chung, Mi-Hee;Youn, Seok-Hyun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 /
    • v.29 no.4
    • /
    • pp.362-372
    • /
    • 2011
  • The relationships among total epiphytes, algal epiphytes and eelgrass ($Zostera$ $marina$ L.) were studied at eelgrass medows from July, 1998 to July, 1999 in Yulim-ri, Yeosu, Korea. Epiphytic diatoms on eelgrass leaves were observed from July to December 1998.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inferred the following three (3) conclusions : 1) As eelgrass grew older, biomass of epiphytes increased, according to relationships between the leaf length and area of eelgrass and biomass (DW, AFDW and Chl. $a$) of epiphytes. 2) According to the ratio of dry weight, ash-free dry weight and Chlorophyll of epiphytes, the algae with calcareous or siliceous skeletons, such as coralline algae or diatoms, were dominated in the epitphytic algae community. 3) The autotrophic index (AI) calculated from AFDW and Chl. $a$ of epiphytes varied from 151 to 375. However, the period of autotrophic community was shorter than heterotrophic community and the value of AI was high. From these results, we inferred that heterotrophic community, including detritus or microorganisms were dominated in the most of research period.

Preventing marine organisms adhesion by oil-infused PDMS (오일이 주입된 PDMS를 이용한 해양생물의 부착방지 방법에 대한 고찰)

  • Kim, Su-Yeong;Yun, Yeong-Cheol;Im, Chae-Gang;Jeong, Yong-Chan;Lee, Su-Yeol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Surface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8.06a
    • /
    • pp.45-45
    • /
    • 2018
  • 홍합, 따개비 등의 접착성 해양생물은 선박의 하부나 발전소 해수 공급용 튜브에 부착하여 운영 효율을 저하 시키고, 냉각기기 고장을 유발하는 파울링(Fouling) 문제를 야기시킨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서 초접착성 해양생물이 주로 부착하는 부위에 $Cu_2O$, ZnO 등을 포함한 유기화합물로 표면처리를 하여 부착방지를 하고 있지만, 이 소재들을 장시간 사용 시 해양 오염 및 부식을 가속화하는 문제를 초례하기 때문에 최근에는 사용을 금지하고 있다. 이러한 유해성 소재 문제를 해결하고자 친환경적이고 부작용이 없는 초접착성 해양생물 부착방지 소재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낮은 표면장력을 갖는 PDMS(Polydimethylsiloxane) 소재를 기반으로 소수성 oil을 침투시킨 I-PDMS(Oil-Polydimethylsiloxane) 표면처리법을 고안하였고, 이 방법을 활용하여 초접착성 해양생물에 대한 부착방지 성능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기존의 개발품들 보다 성능이 향상된 I-PDMS 제조하고자, Nano-indentation을 이용한 기계적 특성 평가, X컷 및 cross-cut을 이용한 부착력 평가, 실제 바다환경에서 해양생물의 부착력 시험, 바다 환경을 모사한 수조에서의 I-PDMS와 비교군 기판에서의 홍합 거동, 홍합과 기판의 접착강도 시험, 해양 미생물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이를 통해서 I-PDMS 성능 및 내구성을 입증하고자 하였다.

  • PDF

A Case Study on the Management of Biofouling for Protection of the Marine Ecosystem (국외사례를 기반으로 한 선체부착생물 국내 관리방안 연구)

  • Ha, Shin-Young;Park, Han-Seon
    •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 /
    • v.44 no.3
    • /
    • pp.151-157
    • /
    • 2020
  • Harmful aquatic organisms introduced by ship movement cause marine ecosystem disturbances and are in the form of ballastwater and biofouling. Harmful marine life from ballastwater has been considerably reduced because mandatory treatment on all vessels is required to install onboard vessels. However, there remains risk of migration because biofouling is recommended to countries for management through the IMO guidelines. In particular, biofouling management has recently attracted attention for achieving IMO GHG reduction targets because it contributes to energy efficiency, as well as there are reasons for marine ecosystem protection. In recent years, increasing international consensus on the need for biofouling management is likely to lead to enforcement regulations. Thus, this study suggests the management method of hull attachment organisms in Korea, focusing on the cases of foreign countries that have regulated hull attachment organisms.

분홍성게 치성게 사육 파판상의 부착규조류 천이

  • 김재우;좌종헌;정상철;이준백
    • Proceedings of the Korean Aquaculture Society Conference
    • /
    • 2003.10a
    • /
    • pp.97-97
    • /
    • 2003
  • 유용 수산생물인 전복, 소라, 성게 등 무척추동물의 종묘생산에 있어 부착 규조류는 수서 생태계의 일차 생산자로서 유생의 변태와 변태 후의 초기 먹이생물로 활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단일 부착규조류의 실내 배양을 통해 유용 수산생물 종묘의 대량 생산을 유도하고 있다. 부착규조류의 생물량 및 종 조성에 따라 이들 조식동물의 성장과 먹이 효율성에 커다란 영향을 끼친다. 이 연구는 종묘생산의 환경 조건과 동일한 현장에서 유수식 수조에 투명 플라스틱 부착파판(30$\times$40cm)을 설치하여 1997년 10월부터 1999년 4월까지 실내수조에 설치한 부착파판을 10일 간격으로 회수하여 부착된 규조류의 생물량과 환경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실험기간 동안 자연광을 55~75% 차단한 상태에서 실험을 진행하였고 수온과 염분은 각각 14.1$^{\circ}C$~28.6$^{\circ}C$와 32.5$\textperthousand$~35.3$\textperthousand$의 범위를 보였다. 실험기간 동안 부착규조류의 총 출현종수는 27종(17속 25종 2미동정종)으로 중심규조류(centric diatom)가 4종 그리고 우상규조류(pennate diatom)가 23종이었다. 현존량의 30% 이상을 점유하는 부착 규조류들은 Bacillaria paxillifera, Cocconeis scutellum, Diatoma hyalina, Navicula mollis, Nitzschia sp., Synedra tabulta 등 6종이 우점하였다. 부착규조류의 현존량은 2.5$\times$$10^3$~ 5.0$\times$$10^{5}$ cells $cm^{-2}$ 의 분포 범위로 1999년 4월에 가장 높고 1997년 10월에 가장 낮았다. Chlorophyll $\alpha$량 ($\mu\textrm{g}$ chl $\alpha$ $cm^{-2}$)은 0.02 ~ 1.72 $\mu\textrm{g}$ chi $\alpha$ $cm^{-2}$의 범위로써 부착규조류의 현존량과 유사한 분포 특성을 보였다. 유수식 실내수조에 부착된 부착규조류의 부착 형태, 우점종과 현존량은 배양 시기에 따라 종간 특이성을 보였다.다.

  • PDF

A Survey of the Rocky Intertidal Biota in Uldolmok, Korea (울돌목 암반조간대 부착생물상 연구)

  • Park Ja-Yang;Lim Byung-Jin;Lee Jae-Il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06a
    • /
    • pp.502-506
    • /
    • 2005
  • 2003년 11월과 2004년 4월의 2회에 걸쳐 상용조류발전소 건설 예정지인 울돌목에서 발전소 건설로 인해 야기될 주변생태환경의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4개 지점의 주변 암반조간대에 형성된 기존의 부착생물상 조사가 수행됐다. 울돌목 주변의 암반조간대에 형성된 부착생물상은 서식 형태에 따라 크게 대형해조류(Macroalgae)를 포함한 고착생물, 소 이동성 부착동물, 이동성 소형 무척추동물 등으로 구분된다 부착생물상은 서식양상에 있어 각각의 정점별 특이성이 관찰되었으며, 이는 각기 다른 비생물학적 요인에 따라 지역 특유의 서식환경이 조성되어 있음을 시사하는 간접적인 결과로 간주된다. 이같은 지역 간 생물상 차이는 조위에 따른 수직분포 분석결과 주로 중부조간대를 중심으로 형성된 생물상에 따라 대별되고 있음이 발견되었다.

  • PDF

국내 선박부착생물 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 Ha, Sin-Yeong;Park, Han-Seon;Lee, Gyeong-Mi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9.05a
    • /
    • pp.236-237
    • /
    • 2019
  • IMO는 MEPC 73차(2018.10) 회의에서 선박부착생물 관리절차, 방오성능, 수중소제, 선체설계 및 교육사항이 구체적으로 명시될 수 있도록 기존 지침의 유효성평가가 승인되었으며 수집된 정보를 바탕으로 관리지침서 개정을 검토하고 있어 향후 선박부착생물 관리 가이드라인도 규제화 될 가능성이 높다. 우리나라는 IMO 선체 부착생물규제 대응하기 위해 외래 유해침임종 관리를 위한 최적을 방안을 도출 할 필요가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