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생물측정학

검색결과 765건 처리시간 0.02초

번식기에 개구리 여포의 스테로이드 생성변화와 난자의 성숙능 획득 (Steroidogenic Shift and Acquisition of Meiotic competence by Cultured Ovarian follicles of Rana at Breeding Season)

  • 안련섭;이용탁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74-181
    • /
    • 1994
  • 3 종의 한국산개구리를 사용하여 여포들이 생성하는 스테로이드와 난자의 성숙능이 번식기 근처에서 어떻게 변하는가를 조사하였다. 개구리의 여포를 생체외 배양하면서 이들이 뇌하수체추출물(frog pituitary homogenate, FPH) 혹은 CAMP의 자극으로 생성하는 progesterone(Pa)과 testosterone(T)의 양을 측정하여 이로부터 P4yT의 비율을 구하였으며 여포난자들이 FPH. P4 혹은 12-0-tetrsdecanoyl phorbol-13-acetate(TPA)에 반응하여 성숙을 일으키는 시기를 조사하였다. 북방산개구리의 여포난자는 11월 부터 호르몬에 반응하여 성숙을 일으켰으며 2월에 PJT의 비율이 급격히 증가하였다 참개구리는 5월에 가서of PJT의 비율이 현저히 증가하고 FPH에 반응하여 성숙을 일으켰다. 그러나 P4에 의한 난자성숙은 3월부터 시작하였다 옴개구리는 7월에 P4/T 비율의 증가가 있었으며 이때부터 또한 TPA에 반응하여 난자의 성숙을 일으켰다 따라서 3종의 개구리에서 모두 각각의 번식기 근처에서 PJT의 비가 급격히 증가하고 또한 성숙능이 생긴다는 것을 알 수있었다.

  • PDF

골격근 microsome 의 ATMase 의 활성, 골이이오나용, 및 Ca 흡수작용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ATpase Activity , Relaxing Activity and Calcium Uptake of Rabbit Skeletal Muscle Microsomes)

  • 하두봉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8
    • /
    • 1967
  • 토끼의 골격근 homogenate에서 23,000$\times$G, 60 분간의 원심분리와 얻은 근 microsome의 ATPase 활성, 근수축에 대한 이완작용, 및 Ca 의 흡수작용을 여러 가지 조건에서 측정하였다. ATPase 활성은 Ca++ Mg++ 양 이온의 존재에 의하여 활성화되며 , 5 mM Mg++ 의 존재하에서는 Ca++ 의 최적농도는 0.1mM이다. Oxalate의 존재하에서는 1 mM 의 Ca++ 이 최적농도이므로 oxalate의 작용은 불용성 Ca-oxalate의 작용은 불용성 Ca-oxalate를 microsome vesicle so 및 medium 내에 침전시켜 유리 Ca++ 농도를 저하시키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Microsome의 이완작용은 조제후 120 시간까지 시간에 따라 감소되어 가나, 그이 ATPase 활성은 거의 변화가 없는 것으로 보아 Ca++ + Mg++ -의존성 ATPase 는 이완작용에는 직접 관련이 없는 것으로 해석된다. Oxalatedmlwhswo는 microsome의 Ca++ 흡수량을 현저히 증대시키며 동시에 흡수포화에 도달하는 시간을 지연시킨다. Oxalate의 이러한 효과도 Ca-oxalate의 형성에 기인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Microsome 내에 축적되는 Ca 의 량은 ATP 농도가 커질수록 많아진다. 그러나 축적된 Ca 의 량과 ATP 농도사이에 화학정량론적 관계는 없는 것같다.

  • PDF

노랑턱멧새(Emberiza elegans)의 Song에 의한 종 인식 (Species Recognition on the Basis of Song by Yellow-throated Bunting (emberiza elegans))

  • 성하철;박시룡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573-579
    • /
    • 1994
  • 본 연구는 1992년 3월에서 1993년 5월까지 충북 청원군 강내면 다락리 야산에 서식하는 노랑턱멧새(Emberizo elegans) 집단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종 인식을 위한 의미있는 song 특징을 알아보기 위해 같은 과(요)에 속하는 붉은뺨멧새(Emberizo fucata)와 쑥새(Emberiza rustsca)의 'stereotyped song'을 분석하였다 또한 세력권을 형성한 5개체를 대상으로 song에 기초한 playback 실험을 통하여 종 인식 능력을 알아보았다. 스피커에 가장 가까이 날라온 거리와 이 거리에서 머문 시간을 측정한 결과 붉은뺨멧새의 song에는 반응이 없었으나 쑥새의 song에는 의미있는 반응을 보였다. 따라서 노랑턱멧새와 두 종에 대한 song 특징의 분석을 토대로 종간 인식의 가능성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 PDF

매미나방(Lymantria dispar)에서 Juvenile Hormone Binding Protein(JHBP)의 확인 및 정체 (Identification and Isolation of Juvenile Hormone Binding Protein from Hemolyrnph of Lymantria dispar L.)

  • 이인희;김학열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96-202
    • /
    • 1991
  • 매미나방 종령유층 혈림프내에 존재하는 JHBP을 Dextran Coated Charcoal (DCC)binding assay와 gel filtration에 의해서 확인하였고, JHBP의 pI값은 5.3으로 밝혀졌다. JHBP의 정저는 혈림프단백질을 먼저 PEG로 침전시킨 후 ion exchange chromatography와 gel filtration 방법을 통하여 행하였다. 정체된 fraction의 JH에 대한 binding activity는 [3H] JH-III의 radioactivity 측정과 DCC binding assay를 통해 확인하였고, 정체된 단백질의 순수도는 각 정체단계에 따라 전지영동을 하여 확인하였다.

  • PDF

연두금파리의 발생에 따른 cyclic AMP, cyclic AMP-Dependent Protein Kinase, Ecdysteroids의 변화 (Wariations in cyclic AMP, cyclic AMP-Dependent Protein Kinase and Ecdysteroids during Development of the Blowfly, Lucilia illustris)

  • 김유경;류진수이경로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565-572
    • /
    • 1994
  • 연두금파리의 유충-번데기-성충의 발생에 따른 cyclic AMP(CAMP)와 ecdysteroids의 농도 및 cyclic AMP-dependent protein kinase(PKA)의 활성도를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HPLC)와 Liquid Scintillation Counter(LSC)를 이용하여 측정하고 상관 기능 변화를 조사하였다. CAMP의 농도와 PKA의 활성도는 종령유충 및 성충에서 낮은 갓(0.29 UM/g, 5.52~5.59 unit/mg)을 나타내었고 번데기 0일(0.49 UM/g. 92.22 unit/mg)과 7일(0.50UM/g, 24.45 unit/mg)에서 최고치를 보였으며 번데기 4일에서 최저수준(0.13 $\mu$M/g3.23 unit/mg)을 나타내었다. Ecdysone 농도는 번데기 2일에 최고치(37 84 USlg)를 4일에 최저치(18.46 Ugyg)를 보인 후, 5일에 24.37 1519로 상승하였으며 성충에서는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20-hydroxvecdysone 농도는 번데기 4일(23.66 UgyS)과 번데기 6일(14.90 Ugyg)에 최고치를 이루었고, 7일에서 최저치(1.21 USi9)를 나타내었다.

  • PDF

선재도산 이매구 유생의 출현빈도에 관한 생태학적 관찰 (Ecological Observation on the Appearance Frequency of the Bivalve Karvae in SUn-Jae Island)

  • 최기철;주일영;이종국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13-20
    • /
    • 1961
  • 우리나라 서해안인 경기도 부천군 선재도에서 산출되는 이매구류의 출현 빈도 분포 상태를 1959년 8월부터 1960년 10월에 걸쳐서 생태학적인 조사를 하였다. 1) Sampling 은 motor pump를 사용하여 원하는 깊이에 따라 각각 plankton을 채집하여 현미경으로 고나찰하여 KArvae 의 수를 조사하였다. 2) 각 stage의 larvae을 측정한 결과, 가장 어린 것은 60$\times$54$\mu$이었고, 가장 큰 것 은 320$\mu$336$\mu$이었다. 3) 이매구의 larvae 들은 수중에서 불규칙하게 분포하였다. 온도의 상승에 따라서 larvae의 분포는 증가되고, 대체로 온도가 하강함에따라서는 감소되었다. 4) 어린 stage의 larvae 수는 7월-9월 에 걸쳐 출현빈도가 높았다. 이것은 이시기가 선재도에 있어서는 이매구류의 산란시기라고 생각된다. 5) 8월-9월에 걸쳐서 대형의 alrvae의 출현빈도가 감소되는데, 이것은 larvae가 착생되었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 PDF

한국산 보리멸속(보리멸과) 어류 1 미기록종, Sillago parvisquamis Gill (New Record of the Sillaginid Fish, Sillago parvisquamis (Pisces: Sillaginidae) from Korea)

  • 김익수;이완옥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21-25
    • /
    • 1996
  • 1990년부터 1995년까지 우리나라 전 연안에서 채집된 보리멸속 Sillago 어류의 표본을 검토한 결과 지금까지 국내에 출현한다고 보고된 보리멸과 청보리멸의 2종 외에 우리나라에서는 기록된 적이 없는 종인 점보리멸(국명신칭) Sillago parvisquamis가 1995년 3월 25일 여수에서 1개체(체장 166.6mm)채집되었다. 이 미기록종을 포함한 보리멸속 어류 3종의 검색표와 국내 출현 개체들의 측정치를 제시하고 분류학적으로 논의하였다. 한편 우리나라에서 흔하게 출현한다고 알려진 보리멸은 알려진 것과 달리 본 연구에서 1개체도 채집되지 않았다.

  • PDF

북방산개구리 난자의 자발적 성숙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spontaneous maturation of follicular oocytes of Rana dybowskii in vitro)

  • 안련섭;최한호권혁방배동규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109-115
    • /
    • 1993
  • 본연구는 북방산개구리 여포난자의 자발적 성숙과 관련된 몇가지 요인들에 대해 조사하였다. 자발적 성숙을 일으키는 여포에서 여포조직을 제거하여 denuded 난자를 만든다음 배양했을 때에는 자발적 성숙을 일으키지 않았다. 이들 denuded 난자에 frog pituitary homogenate(FPH, 0.05 gland/ml)를 처리하여도 역시 성숙이 일어나지 않았으나 progesterone(P4, 0.5 Ig/ml)을 처리하였을 때에는 성숙이 일어났다. 동면기간에 여포들이 생성하는 P4와 testosterone(T)의 양을 측정해본 결과 동면초에는 비슷한 양의 P4와 T를 생성하였으나 후기에는 P4만 생성하고 T는 거의 생성하지 않았다. 배양액에 estradiol을 첨가하면 농도에 의존하여 FPH에 의해 촉진된 P4의 생성을 억제할 뿐 아니라 성숙도 비가역적으로 억제하였다. 배양액에 첨가한 hvpoxanthine은 CAMP와 항진적으로 난자의 성숙을 억제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자발적 성숙과정에 여포세포와 P4/T 비율의 증가가 중요한 요인이 된다는 것과 일반적인 난자성숙억제제는 자발적 성숙을 역시 억제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 PDF

흰쥐 신피질 세포막과 소포체 막의 calcium 수송에 미치는 cadmium 및 metallothionein의 영향에 관한 연구

  • 최임순;김옥용;박용빈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529-534
    • /
    • 1993
  • 흰쥐의 신피질 세포막과 소포체 막을 분리하여 카드를 및 Metallothioneln(MT)을 투여하였을 때 세포막에 존재하는 Ca-ATPase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전기영동상에서 분리된 MT가 분자량 12KD 정도의 위치에 band가 나타났으며, 분리한 각 세포의 막에 카드윰을 농도별로 처리하였을 때 고농도일수록 Ca-ATPase의 활성도가 감소하였으나, MT를 처리한 경우 신피질 세포막은 거의 대조군과 유사한 결과를 나타냈고, 소포체 막에 MT를 처리한 경우는 20mg/ml의 카드윰을 처리한 경우와 유사하였다. 이와같은 결과로 보아 카드윰은 세포막의 Ca-ATPase의 활성을 저하시켜 세포내 칼슘 항상성에 영향을 미치는 MT는 Ca-ATPase의 활성을 회복시켜 카드뮴에 의한 세포독성의 방어작용에 부분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생각된다.

  • PDF

배추흰나비의 유충기에서의 trehalase의 정제와 특성 (Purification and Properties of Trehalase from Larvae of Pieris yapae L.)

  • 여성문;김학열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387-400
    • /
    • 1987
  • 배추흰나비의 변태과정에 따른 중장내 trehalase의 변화와 분포 및 특성을 측정, 비교하였으며, 5영말유충의 중승내 trehalase를 정제하여 다른 기관과의 상호관계를 면피학적 방법으로 구명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중장조직의 trehalase 활성은 5영초보다 5영말에서 높았으며 trehalase는 암, 수 모두 중장 후부에 많이 존재하였다. 전라초부터 우화직전까지는 중장내용물에서 활성이 나타났는데 누직후에 가장 높았으며 중장의 trehalase는 soluble form 이었다. 혈림프에서도 trehalase가 확인되었는데 나화직전에 높게 나타났다가 나화직후에 급진적으로 액소하였다. 중승 trehalase의 최적 P광는 6.0으로 전변태단계에 걸쳐 일정하게 나타났으며, Km값은 2.86$\times$10-3M이었다. 최종 정제된 나소의 순도는 약 9.2이며, Rm값은 0.3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