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색상면적비

검색결과 30건 처리시간 0.026초

디지털 비디오에서 문자 영역 이진화를 위한 색상 극화 기법 (The Color Polarity Method for Binarization of Text Region in Digital Video)

  • 정종면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4권9호
    • /
    • pp.21-28
    • /
    • 2009
  • 색상 극화란 주어진 텍스트 영역에서 글자색이 무엇인지를 결정하는 과정으로서 텍스트 추출을 위해서 선행되야 하는 작업이다. 본 논문에서는 텍스트 영역이 주어졌을 때 글자 영역을 추출하기 위한 색상 극화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은 글자 영역과 배경 영역에 대한 관찰을 바탕으로 두 영역 사이의 면적 비율과 표준편차비율의 관계를 색상 극화에 이용한다. 이를 위하여 그레이 스케일로 주어진 텍스트 영역을 Otsu의 방법으로 이진화하고 이진화된 두 영역을 각각 4-CC 레이블링한다. 레이블링된 두 그룹의 영역에 대해 각각 면적과 영역 중심으로부터의 거리에 대한 표준편차를 계산한 다음 두 그룹에서 면적이 가장 넓은 영역을 갖는 영역 사이의 면적 비와 표준편차가 가장 작은 영역들 사이의 표준편차 비를 이용하여 색상 극화를 수행한다. 다양한 폰트와 크기를 갖는 텍스트 영역에 대한 실험을 통해 제안된 방법이 강건하게 색상 극화를 수행함을 확인하였다.

색상 면적비 변화에 따른 한복배색의 조화감 비교 연구 - 톤 온 톤 배색을 중심으로 - (A Comparative Study of the Harmony of coloration according to Transformation of Color Area-Ratio in Traditional Korean Dress - On the Tone on Tone coloration -)

  • 강경자;추미선;팽숙경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3권5호
    • /
    • pp.107-115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compare the harmony of tone on tone coloration according to transformation of color area-ratio in traditional Korean dress. The respondents were asked to evaluate 36 stimuli of the traditional Korean skirt and jacket with different color tone. The subjects were 83 female undergraduate studen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or red colors, combinations of vivid/dull, vivid/dark, and light/dark made a difference in the harmony of coloration according to the transformation of color area-ratio. For yellow colors, combinations of vivid/dark, light/dull, and light/dark made a difference in the harmony of coloration according to the transformation of color area-ratio. For green colors, combinations of vivid/dull, vivid/dark, light/dull, and light/dark made a difference in the harmony of coloration according to the transformation of color area-ratio.

색상대비 물방울무늬의 크기와 면적비 변화에 따른 원피스 드레스 착용자의 이미지 연구 (A Study of the Changes in Dress Wearers' Images in Relationto the Changes in the Size and Area Ratio of Polka Dots Relative to Coloration)

  • 김선미;정수진
    • 복식
    • /
    • 제58권6호
    • /
    • pp.54-68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ot pattern size(0.8, 1.8, 2.5, 5, 8), color combination(BG/R, Y/B), area-ratio on image formation. Sets of stimulus and response scales(7 point semantic) were used as experimental materials. The stimuli were 20 color pictures manipulated with the combination of dot pattern size, color combination, and area-ratio using computer simulation. The subjects were 240 female undergraduates living in Gyeongnam-do. Image factor of the stimulus was composed of 5 different components, visibility, attractiveness, cuteness, stability and high class image. In the cuteness, color combination, dot pattern size showed independent effect. In the stability, area-ratio, dot pattern size showed independent effect. Interaction effects of color and area-ratio combination was significant on cuteness. For visibility image 8cm yellow dot/blue background, for attractiveness image BG/R coloration, for cuteness image Y/B coloration and for stability image 0.8cm yellow dot/blue background were effective. According to the variation of dot pattern size, color combination and area-ratio, it was investigated that the images for a dress wearer were expressed diversely, were shown differently in image dimensions, and could be produced to different images.

치마$\cdot$저고리의 색상 면적비 변화에 따른 한$\cdot$미 여대생의 조화감 비교 연구 - 유사배색과 대비배색을 중심으로 - (The Comparative Study of the Harmony of Coloration according to Transformation of Color Area-Ratio in Traditional Korean Dress of Korean and American Students - On the similarity and contrast coloration -)

  • 강경자;문주영;임지영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17-26
    • /
    • 2005
  • In this research, in order to find out the effect of the area ratio in the harmonic sense assessment of the coloration of Korean clothes, the coloration of a Korean jacket and a skirt was compounded with a similar coloration and a contrast coloration. The respondents were asked to evaluate 16 stimuli of the traditional Korean skirt and jacket with the coloration of the Korean jacket/ skirt, the skirt/ Korean jacket was separately compounded to be 4 tones such as vivid, light, dull, dark. The subjects were 44 female undergraduate students. The results of each can be summerized as follows. As to similar coloration, the korean yellow jacket and red skirt, Korean students feel vivid and dull tone was harmonious, and American students feel vivid, light, and dark tone were harmonious coloration. In inversed case, red korean jacket and yellow skirt, both countries' students recognized that the vivid tone was harmonious. Korean students gave higher points to korean traditional dress in similar coloration such as yellow korean jacket which was small area and red skirt which was large area coloration than inversed color area ratio which red korean jacket and yellow skirt. As to contrast coloration, the korean green jacket and red skirt, Korean students feel vivid tone was harmonious, and American students feel vivid, dark tone were harmonious coloration. In inversed case, red korean jacket and green skirt were recognized that any tone was not harmonious for both countries' students. Both countries of student showed the culture gap. Compared with American students, Korean students were familiar with korean dress's traditional coloration, as a result familiar coloration was recognized harmonious coloration.

  • PDF

아파트 외부 색채 환경의 실태연구-일산 신도시 아파트 중심으로- (A study on the realities of color in apartment exteriors)

  • 박연선;김지혜
    • 디자인학연구
    • /
    • 제20권
    • /
    • pp.265-276
    • /
    • 1997
  • 우리 나라 공동주택 외부 색채환경의 현황을 조사하고 문제점을 파악하며 바람직한 외부 색채환경 조성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조사는 일산 신도시내 아파트 표본 16점을 선정하여 아파트에 적용된 색상을 시감 측색 방법을 통해 주조, 보조, 강조 색으로 구분하여 측색 하였다. 또한, 배색된 색채의 면적 비를 산출하여 적용색상의 구성비를 조사하고 이를 통해 단지 내 색채환경을 평가하였다. 일산 신도시에 적용된 색채계획 지침을 검토하여 계획안가 현재 시행 되어있는 색채 현황의 비교를 통해 계획상의 문제점, 시공상의 문제점을 유출하였다. 현재 우리 나라 아파트 외부색채환경은 열악한 상태이고 색채계획도 초기단계에 있어 미흡한 부분이 많으며, 시행에서도 오차가 크다. 바람직한 색채환경 조성을 위해서는 지역별 특성을 살린 색채계획수립, 철저한 색채심의를 통한 색채환경 관리, 외장 시공기술의 향상과 표준 색상 지 보급, 건축가들의 색채에 대한 이해 촉구, 색채의 중요성에 대한 교육과 홍보가 요구된다.

  • PDF

색상 단순화와 윤곽선 패턴 분석을 통한 이미지에서의 글자추출 (Text extraction in images using simplify color and edges pattern analysis)

  • 양재호;박영수;이상훈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8호
    • /
    • pp.33-40
    • /
    • 2017
  • 본 논문은 이미지에서 효과적인 문자검출을 위해 색상단순화 및 윤곽선에서의 패턴 분석을 통한 문자 검출방법을 제안한다. 윤곽선 기반방법을 사용하는 문자검출 알고리즘은 단순한 배경의 이미지에서는 우수한 성능을 보이지만, 복잡한 배경의 이미지에서는 성능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제안하는 방법은 복잡한 배경에서의 비문자영역을 최소화하기 위해 이미지 단순화 및 패턴분석을 통한 문자 검출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먼저 이미지에서의 문자영역 부분을 검출하기 위하여 전처리 과정으로 K-means 군집화를 사용하여 이미지의 색상을 단순화하고, 색상 단순화 과정에서의 물체의 경계의 흐릿해짐을 개선하기 위해 고주파통과필터를 통해 물체의 경계를 강화한다. 그 후 모폴로지 기법의 팽창과 침식의 차이를 이용하여 물체의 윤곽선을 검출하고, 획득한 영역의 윤곽선 부분의 정보(높이, 너비 면적)를 구한 후 패턴분석을 통해 조건을 줌으로써 문자 후보영역을 판별하여 문자가 아닌 불필요한 영역(그림, 배경)을 제거한다. 최종 결과로 라벨링을 통해 불필요한 영역이 제거된 결과를 보여준다.

물방울패턴이 원피스드레스 착용자의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무채색 배색을 중심으로- (The Effect of Dot Pattern on Dress's Wearer Image -On the Neutral coloration-)

  • 김선미;강경자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407-419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 of four clothing cues dot pattern size and ground field of color area ratio on dress's wearer image. The experimental materials developed for this study are a set of stimuli and response scales(The 7-point semantic). The stimuli were 30 color pictures manipulated with the combination of dot pattern size, dot pattern on background of color area ratio and neutral dress's using computer simulation. The subjects were 180 female undergraduates living students in Gyeong-nam.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mage factor of the stimulus was composed of 5 different components (visibility, gracefulness, attractiveness, cuteness, womanly). Especially, Neutral color combination independently influenced the every components. In regarding the effect of interaction between each variable, the combination of dot pattern on background of color area ratio, dot pattern size on the combination had cuteness, womanly.

차밭에 설치된 차광망의 동해경감 효과 (Effect of Shade Net on Reduction of Freezing Damage at a Tea Garden)

  • 황정규;김용덕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46-154
    • /
    • 2014
  • 월동기간 동안의 차나무에 대한 차광망 색상과 차광율에 따른 동해경감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차광율 변화에 대한 효과는 차광율이 높아질수록 차나무생육이 불량하고 동해 피해율이 높았으며, 무처리구 대비 55% 차광율에서 신초 및 생엽수확량이 좋게 나타났다. 차광망 색상별로 보면, 투명망(차광망 55% 수준) 처리구와 녹색 차광망 처리구가 무처리구와 검정 차광망 처리구에 비해 생엽수확량과 피해면적이 감소하였다. 투명망 처리구가 무처리구에 비해 동해 피해율이 50%이상 감소하고, 생엽수확량은 무처리구보다 투명망 처리구에서 단위면적당(10a) 68kg 더 많았다. 차광망의 색상별 동해경감은 검정<녹색<투명 색상 순으로 동해 경감률이 다소 높게 나타났다. 처리구간의 미기상변화를 보면 처리구가 무처리구에 비해 평균기온은 $0.7^{\circ}C$ 낮았으며, 평균상대습도는 14.9% 높게 관측되었고, 지중온도는 $0.6^{\circ}C$ 낮은 반면에 토양수분은 4.6% 높게 관측 되었다. 또한 차광망 피복물 설치에 의한 평균풍속은 무처리구 대비 0.7m/s 감소하여, 바람에 의한 과잉 증발산과 토양의 건조를 줄여주는 효과가 있었으며, 동해경감의 방안으로 활용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해도형 폴리에스터 초극세사 편성물의 감량 거동 및 염색 특성 (Weight Reduction Behavior and Dyeing Properties of Sea-island Type PET Nanofilament Knitted Fabric)

  • 이정진;김현성;신은숙;옥치민;김형노
    • 한국염색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염색가공학회 2012년도 제46차 학술발표회
    • /
    • pp.27-27
    • /
    • 2012
  • 나노필라멘트는 단면직경이 수백 나노미터에서 수십 나노미터 수준인 초극세 장섬유를 말하며, 해도형 복합방사로 얻어진 섬유를 알칼리 감량을 통해 해성분을 용출하여 도성분에 해당하는 나노필라멘트를 얻는다. 이러한 나노필라멘트사는 극세사와 마찬가지로 단위중량당 표면적이 크고, 작은 굴곡반경 및 낮은 굴곡 반발성으로 인하여 일반 합성섬유에 비하여 고가성 및 새로운 기능성을 부여하는 제품에 응용될 수 있다. 나노필라멘트 편물은 원사섬도, 편물의 조직, 밀도 및 중량 등에 따라 분할율과 용출 특성이 상이하므로 후가공 공정에 있어서 감량공정은 매우 중요하다. 또한 나노필라멘트와 같은 세사의 경우 일반사보다 비표면적이 증가하여 동일한 염색조건에서 옅은 색상을 나타낸다. 이로 인해 같은 색상을 위하여 보다 많은 염료를 투입해야 하며, 결과적으로 견뢰도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 연구에서는 800nm급 해도형 나노필라멘트 PET 100% 또는 나노필라멘트와 일반 PET사를 복합한 편물을 이용하여 알칼리 감량거동 및 분산염료에 대한 염색성과 견뢰도를 연구하였다. 알칼리 감량이 진행됨에 따라 감량률이 증가하였으며, SEM분석, DSC분석, 양이온염료 염색법 등을 통하여 해성분 용출 및 도성분 분할이 진행되는 정도를 평가할 수 있었다. 나노필라멘트 편성물은 염료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지속적으로 K/S값이 증가하였으나, 일반 극세사 편성물에 비해 낮은 K/S값을 얻었다. 또한 나노필라멘트/일반 PET 복합편물에 있어서 염색온도가 110에서 $130^{\circ}C$로 증가함에 따라 K/S값이 감소하였는데, 이는 고온에서 분산염료가 나노필라멘트로부터 일반 PET사로 이염이 더 많이 발생하였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세탁견뢰도의 경우 양호하였으나, 일광견뢰도의 경우 1등급으로 매우 낮았다.

  • PDF

Mixed Driving 방식을 이용한 QVGA급 LDI의 Source Driver 설계 (Design of Source Driver for QVGA-Scale LDI Using Mixed Driving Method)

  • 김학윤;고영근;이성우;최호용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D
    • /
    • 제46권11호
    • /
    • pp.40-47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mixed driving 방식을 이용하고 이미지 개선을 위해 $\gamma$-correction을 수행하는 QVGA급 TFT-LCD driver IC의 Source Driver를 설계한다. 240 RGB ${\times}$ 320 dots resolution을 가진 source driver는 720개의 채널을 통해 TFT-LCD 패널을 구동하고 18-bit의 RGB 데이터를 사용하여 26만 color를 수행한다. Mixed driving 방식은 종전의 좋은 구동력을 가진 channel amp. driving 방식에 저면적이 가능한 gray amp. driving 방식을 혼합한 방식으로서, 영상이 동일 색상을 가지는 worst case를 감지하여 구동력을 높여주는 방식을 사용함으로써 적절한 구동력과 저면적을 구현하는 설계방식이다. 본 Source Driver는 $0.35{\mu}m$ Magnachip embedded DRAM 공정을 사용하여 설계하였으며 Hspice를 사용하여 시뮬레이션을 하였다. 실험결과, 기존의 gayscale driving 방식에서는 hsync time을 만족시키지 못하는데 비해 $17{\mu}s$의 channel 구동시간으로 충분한 timing margin을 가지고 액정 channel 을 구동할 수 있으면서, 구동 앰프 78개와 제어회로를 갖는 저면적으로 설계되었다.